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대학원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2023.01.21

12

2448

안녕하세요, AI 대학원을 생각하고 있는데 고민이 많아서 질문드립니다.

학부 : K, Y라인 / 전기전자공학 / 학점 (3.96/4.5)
경험 : 학부연구생(회로), 기업 인턴(삼성전자 연구소), 현재 다른 분야에서 1년 근무 중

업무 특성 상 데이터를 다룰 일이 많은데,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ML 엔지니어쪽에 관심이 생겨서 AI 대학원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번 달 중 SPK 랩실에 컨택해서 준비를 해보려고 했는데, ML 엔지니어 현직자분께 여쭤보니 미박을 무조건 추천하시더라고요.
현직자분 말을 들으니 해외 대학원을 준비해야하나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면 토플과 GRE 준비도 해야해서 하반기쯤 컨택을 할 것 같은데, 과연 이 정도 스펙으로 해외 AI 대학원이 가능성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토플은 2월부터 준비 예정입니다.

그리고 만약 준비를 한다면, 국내 랩실에 상반기에 컨택을 하면 안 되겠죠?
감사합니다. 좋은 설 연휴 보내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01.21

뭐 요즘은 국내 연구 수준이 많이 올라서 spk 인기랩 갈 수 있으면 국박도 괜찮아요. 미박으로 ㄱㅊ은 랩 갈 수 있는 거 아니면요.

국내에서 박사까지 하고 포닥으로 해외 나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1.21

연구경험이 따로 없어서 미박으로 괜찮은 랩을 갈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ㅠㅠ..
국내에서 박사까지 하고 해외는 포닥 가도 혹시 빅테크 기업 취업이 가능할까요?

2023.01.21

교수할 것도 아니고 어디 구글 리서쳐도 아니라면 포닥까지 안가도 실력으로 다 가능하죠.. 현실적으로 글쓴님 스펙(?)으로는 spk 인기랩들 두드려보시는게 최선일거에요. 사실 당연한 얘기지만 인기랩도 빡세죠..

2023.01.21

AI대학원이 미박을 말하는거예요? AI대학원이라고 하면 보통은 한국의 그것들을 말하는거고 미국은 그냥 전산학과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GRE는 요즘은 안 받는 추세라서 안 봐도 될 수도 있으니 일단 학교 조사부터 하셔야되고, 머신러닝 쪽은 미국은 거의 컨택이 안됩니다. 너무 컨택이 많아서 상위권 학교는 특히 교수님들이 컨택을 잘 안 받으시고요, 정식으로 입시 뚫어서 오는 케이스가 제일 많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1.21

해외 대학원을 붙을 스펙이 되느냐) 일단 논문이 있지 않으신 이상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연구경험이 있으시다면 그나마 나은데, 그게 아니라면 추천서, SoP에 달려 있으니 말씀만 듣고는 판단할 수 없습니다.

2023.01.21

넵 미박과 국내 둘 다 생각 중입니다! 연구 경험이나 관련 분야 논문이 따로 없어서 좋은 학교에 붙을 확률은 아무래도 적을 것 같습니다... 국내대학에 상반기에 컨택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허기진 쇠렌 키르케고르*

2023.01.21

탑티어 논문 없으면 미박 좋은 곳은 힘들 겁니다. ai 인기는 세계적이고, 미국은 세계 곳곳에서 지원
튼튼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3.01.21

지금 미박하고 있어요. 궁금한거 있으심 답변드릴게요. 10분전에 논문 제출해서 지금은 한가함ㅋㅋㅋ

대댓글 3개

2023.01.22

우와 미국에서 박사과정 중이시군요! 우선 논문 제출한 거 축하드립니다 ㅎㅎ 어느 분야로 논문 쓰신건가요??

가장 일반적인 질문으로는, 출신 학부 라인 및 학점 + 연구 경험 등이 어떻게 되시나요? 정량적인 것을 토대로 어느정도 일반적인 짐작이 가능할 것 같아서요!

그리고 미국 어느쪽 대학일까요? 다이렉트인가요, 아니면 석사 후 박사가는 건가요?

마지막으로 왜 굳이 미박이었나요?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튼튼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3.01.22

감사합니다. 제 연구분야는 1) NLP, 2) Medical informatics이고, 이번에는 ACL에 NLP 쪽 연구들을 제출했습니다.

1) SSH 학석, 후 전문연 3년, 학점은 낮은데 마그나쿰 라우데입니다.

2) 동부에 있는 대학입니다. 유명한 대학은 아닙니다.

3)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연구 환경이 미국이 압도적으로 좋기 때문이죠. 경험상 보유 데이터, 리소스, co-worker, 수업 모든 면에서 미국에서 박사를 진행하는게 좋다고 생각했고, 실제로도 그렇습니다. 예를 들면, 저는 지금 미국 내 병원 100개소 이상의 데이터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취합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있고, 레이블링은 co-worker MD 선생님들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유사 분야에서 일했지만, 주로 소량의 한국어 데이터 혹은 이미 있는 벤치마크 데이터 위주로 연구를 수행 할 수 밖이 없었는데, 여기서는 그런 걱정은 전혀 없더군요. 그리고 수업에 들어오시는 교수님들만해도 인용수가 수만편이 넘어가는 이 분야에서 모를수가 없는 교수님들이시다보니, 프로젝트나 공부하다가 모르는게 있다는 핑계로 교수님이랑 면담 신청하고 얘기하면서 조금씩 더 배워가기도 하구요.
튼튼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3.01.22

마지막으로 새해복 많이 보내세요!

2023.01.21

미박 cs 상상초월로 개빡셈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