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다 기회가 생겼는데, 나중에 사회에 나가서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공대이고, SKP는 인기랩입니다! 학부연구생하면서 논문쓰는게 재밌었어서 대학원 가려고 했는데, 주변에서는 다들 대기업 빨리 갈 수 있으면 학사나 석사로 빨리 가는게 제일 좋다고 하셔서요.. 그냥 다양한 분들의 의견 듣고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3.02.06
취업만을 생각하시면 학사졸 취업이 가성비좋아요
대댓글 2개
2023.02.06
취업만을 생각하는건 아닌데요, 30살에 사회에 나가서 할 수 있는게 많을지 의문이라서요..
2023.02.06
연구에뜻이 있으시면 후자고 돈버는게목적이시면 학사졸후 취업이 더 좋아요
2023.02.06
근데 학부 학벌이 엄청 좋지않은 이상 학부만 졸업해서 좋은 직무로 가기 빡셈
2023.02.06
본인 가치관 따라 달라요
돈 버는 게 목적이면 무조건 학사졸 후 대기업이 가성비 좋습니다 박사는 그런 것만 보면 생각보다 가성비 떨어져요
당당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3.02.06
결국 본문은 "주변에서 대기업가래요 어떡할까요?" 인데 본인이 더 끌리는거는 없나요? 다른 사람들은 님을 잘 모르니 기준은 결국 돈일꺼에요.
사실 이건 비교 우위로 순위가 정해질 수 있는 것이 아니죠. 연구 관심 없고 빨리 돈 벌고 싶으면 대기업 가시고, 당장 돈버는 것을 포기할 만큼 연구가 좋으면 박사 가시면 됨. 선택의 기준은 주변사람들이 아니라 본인임. 본인이 뭘 좋아하는지 고민해보세요.
2023.02.06
연구를 하고싶으면 대학원 아니면 학사 후 취업 이라 생각합니다! 뭐가 더 좋을까는 본인 기준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023.02.07
롱런 또는 자기 주도 적인 일을 하고 싶으면 석박사죠. 학사는 짧게 배웠기 때문에 회사가서 미친듯이 공부하지 않는 이상 대학원에서 미친듯이 공부하고 연구했던 박사들 보다 대부분 이론 베이스의 문제 해결 능력이 훨씬 떨어져 결국 나중엔 더 젊고 싼 인력으로 대체될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돈으로 보면 대기업기준으론 큰 차이 없을 순 있으나 자기 주도적인 일하고 싶은 사람에게 남이 시킨일만 하면 만족도는 매우 낮겠죠
재치있는 존 스튜어트 밀*
2023.02.07
학사졸은 도전의식을 갖고 치열하게 살기보단 단조롭게 살기에 좋은것 같습니다. 소득관련해서는 말씀하신것처럼 막 많이 버는건 아니구요, 진짜 잘주면 초봉 8000 정도입니다. 업무자체는 (개발이나 연구직군이 아닌 일반사무 또는 관리보조 직군일 경우) 도전의식이 생길리 만무한 작업인 경우가 보통인지라, 회사다니며 돈 벌고 취미생활하며 돈 쓰는것 외엔 딱히 삶의 도전적 과제나 목표, 성취감을 달성하기 힘든 단조로운 인생을 살다가 보통 그냥 결혼합니다. 아, 만약 직장이 서울이나 판교라면 돈도 잘 안모여서 결국 다들 재테크 공부에 몰두하시더라구요. 외국계 기업도 사람사는 생리는 비슷합니다. 외국계 3년차 연봉 8000 받고 다니다가 퇴사후 대학원 다니는데, 논문 쓰는것도 너무 즐겁고 어느 한 분야의 최전선에서 해외연구자들과 교류하며 인류의 지식과 과학 발전에 제가 공헌하고 있다는 사실에 너무 만족하며 생활하고 있어요. 나이가 두세살만 더 어렸어도 해외유학을 도전해봤을텐데 그게 아쉽네요.
2023.02.10
전 둘다를 제안합니다. 제 경우에 삼전 입사후, 회사에서 석박을 모두하고 있습니다. 석사는 회사지원으로, 박사는 자비로 했도, 작년에 졸업 했습니다. 박사과정시 자비로 파트타임이라 랮과제는 안했구요, 연구논문은 탑티어 학회2개, 세컨티어 1개, SCI 저널 2개 등재했습니다. 연구 토픽은 회사보안 충돌하면 안되어서, 금/토/일 주말에 스벅에서 지냈습니다. 쉽지 않았고,학사후 곧바로 취업한덕에 집도 2채 소유하게되었고, 결과적으로 두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위안중입니다. 해보니 죽지 않을만큼 힘들었습니다. 네 죽지 않더라구요. 짧으나마 제경험이 힘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2.11
멋집니다. 진짜 쥐어짜이듯 사셨겠네요. 정말 대단한 정신력, 근성이십니다. 꼭 더더 성공하실꺼에요
2023.02.11
본인의 맘이 끌리는데로... 남의 의견은 중요하지 않음. 내가 뭘하고 싶은지가 중요할뿐.... 20대는 내가 하고싶은 것과 내가 해야만 하는 것은 구분해야될 나이가 아닌가 싶음. A코스나 b코스나 영원히 다른 경로라고 판단해서 묻는 것인지요.
2023.02.11
본인이 연구가 적성맞으면 2년투자해서 석사 마치구 가는게 좋아보이네요 대기업연구소두 갈수있고 석사따면 선택의 폭이 많습니다
2023.02.11
교수나 정출연 정규직 갈 수만 있다면 박사죠 요즘 교수랑 출연연 정규직 임용이 힘들어서 그렇지...
상처받은 맹자*
2023.02.11
논문 쓰는게 줄거우면.. 공부해야지.. 근데 연구갸 아니고 벌써 논문 쓰는게 즐겁다고? 흠.
2023.02.14
삼성에 다녔었고 주위 LG, SK 하이닉스, 네이버를 보아도 학부졸업후 쭉 다니신분들과 박사취업이 버는게 같다라는건 전혀 동의할수가 없네요. 다른 댓글들보고 놀라서 씁니다. 학위하는동안 몇년 버는것 때문에 그렇게 생각들 하시나요? 연봉이라는건 내려가지 않고 그대로거나 올라가기만 하기땜에 뒤가 중요합니다. 학부졸업하고 바로 취직하셔서 몇살까지 일할수 있으실것 같나요... 박사쪽이 훨씬 많이 법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안봐도 회사에서 하는일이 달라서 본인이 느낄 만족감이나 성취감도 박사후취업쪽이 클 가능성이 넢습니다. SKP에서 박사를 할수있다는 가정하에(이것도 쉽지 않겠지만) 학부졸업후 취직하겠다는 제 지인이 있다면 저는 뜯어 말립니다..
2023.02.06
대댓글 2개
2023.02.06
2023.02.06
2023.02.06
2023.02.06
2023.02.06
2023.02.06
2023.02.07
2023.02.07
2023.02.10
대댓글 1개
2023.02.11
2023.02.11
2023.02.11
2023.02.11
2023.02.11
2023.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