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 학위 기간 공유해봐요

2023.02.09

43

13863

5년 졸업을 주변에서 본 적이 없어서(skp 중 하나이고 자대생입니다.)

반도체 설계 쪽 들어오신 분들은 다 알거라고 생각하는데 석박통합이나 석사, 박사 따로 하나 졸업하는 거 기간 차이 없다는 걸..
(사실 석박 하면 뭐 학위 빨리 준다고 광고 했는데 사기당한 거 같은 기분도 좀 듭니다. 물론 본인 내실이 가장 우선인 건 맞지만요.)

제 생각에 평균 6~7년이 저희 분야는 디폴트인 것 같은데 학위 기간 이것보다 평균적으로 빠른 연구 분야에 속하신 분들 계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3개

IF : 5

2023.02.09

spk 다른 분야 출신입니다. 특히나 전문연때문에 통합 6년이 표준이 된 듯 합니다. 거기 따라서 박사과정만 하는 경우 4년부터 시작인 것 같아요. 전 5년부터 8년까지 봤는데, 5년은 교수님 정년 걸려서 빨리 나간 경우밖에 없었습니다.

대댓글 5개

2023.02.09

저도 그래서 솔직히 5년보다 빨리 졸업했다는 분들 보면 뭐지 싶더라구요. 솔직하게 탁 까놓고 우리나라에서 그나마 제일 똑똑한 학생들 모인 곳에서도 기본이 6년인데.. 학위 논문만 쓰고 디펜스한다고 교수님이 나가게 해주는 구조가 아니잖아요? 탑 컨퍼나 저널로 보여줘야 나갈 수 있는거니..

IF : 5

2023.02.10

졸업한거 자체는 알아서 내보냈겠거니 하고 그것 그대로 받아들여야죠. 그리고 좀 위험한 생각이라 보는게 spk 학생이 반드시 더 똑똑하고 주어진 시간 안에 반드시 실적 더 잘내며 더 역량이 뛰어나단 보장이 있는 것도 아니고요. 그냥 그 사람이 현재 자기 위치에 맞는 퍼포먼스를 내고 있느냐 아니냐 하나만 보고 판단하면 된다고 봅니다.

2023.02.10

모르겠네요. 말씀하신 게 현대 사회의 도덕률 아래에서 정론임은 부인하진 않지만 저는 서열과 그에 따른 경향성을 당연하게 믿는 사람이라서요. 물론 당연히 아웃라이어도 있고 학생들 수준도 정규 분포일테니 겹치는 부분도 많을테니 일반화는 안되는 건 맞지만요. 그래서 어느 정도 수준 이하의 대학원에서 4~5년 만에 나온다는 건 학위 장사일 확률이 매우 높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2023.02.10

아시는지 모르겠지만 지도교수 입맛대로인 한국이나 미국과 다르게 유럽은 볼로냐 프로세스에 의해 학부3 석사2 박사3으로 표준화 되어있습니다. 이 전에 유럽박사가 기준 높게 가져간다고 학위기간 정말 긴거로 악명높았었죠. 그 동네에서 박사를 왜 3으로 줄여놨을까요?
박사가 코스웍도 아니고, 학위기간 길다고 지도교수가 부족한거 다 메꿔주는거도 아니고 박사 길게 가져간다고 좋은 연구자가 될 이유가 없습니다. 어차피 탑 저널이니 컨퍼니 해봐야 네이처 사이언스 본지내는거도 아니고 Q1 저널 3개쯤 내는거잖아요?
한 랩에서 국제표준도 아닌 그 랩 시스템하고 교수 맞춰가면서 같은싸이클 세번 돌리는가보다, 박사때 하나, 첫번째 포닥에서 하나, 두번째 포닥에서 하나 내는게 훨씬 검증된 독립된 연구자입니다. 졸업한 랩에서 절대 포닥하지 말라는게 이런이유고요.
유럽 박사들 기간 짧다고 무시하는 사람들 있는데 얘들은 위에 언급한것처럼 포닥을 훨씬 오래, 많이 합니다.
저도 물리과 출신이라 아랫분 댓글처럼 학위 드럽게 오래했고 (석박 8년) 화학도 화공보다 학위기간 긴거로 알고있습니다. 자연과학 박사들이 공대 박사들보다 뛰어난가요? 그냥 교수들 자존심때문에 오래 붙잡고 있는거지. 포닥할때 나랑 연구기간 비슷한데 탑 기관에서 포닥 두번씩 거친애들 보니 정말 의미없는 짓 했다 싶더군요.

IF : 5

2023.02.10

공감합니다. 교수가 애들 붙잡고 있고 싶어서 붙잡는거지 이미 나가도 됐을 사람들 많아요. 아무리 뭘 해도 6년은 거의 있어야되니까 학생 입장에서도 더 늘어지기도 하고요. 역시너지

2023.02.09

저희과 7-9년… 휴학 시켜서 편법으로 더 잡음..

대댓글 2개

2023.02.10

7~9년은 바이오 쪽이신가요 ㄷㄷ..

2023.02.10

아뇨 물리… 솔직히 5년 이상 한다고 더 극적으로 나아지는 거 같진 않아요. 외려 포닥가서 새로운 분야 만나고 시각 넓히면서 포텐이 터지지.. 저는 적당히 연한 채우면 세상으로 학생들 내보내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박사과정애게 대학원이 해줄 수 있는 몫은 4-5년 안이면 끝난다 믿어요.

IF : 1

2023.02.10

석사 2년 박사 4년반

2023.02.10

석2박4였는데 학과평균은 박5

2023.02.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박 4 통합 5

2023.02.10

대게 제 주변은 4년 반에서 5년 정도요! 전공 분야 바꾼 경우는 6년 반에서 7년도 보기는 했습니다

2023.02.10

석박 따로면 2,4는 정말 빠른거고 5이 기준점인데,
통합하면서 6년이 기준점이 되었죠.
통합 5년은 글쎄요 천재적인 사람도 어딘가에 있겠죠
심심한 정약용*

2023.02.10

분야에 따라 케바케지만, 최근 임용되는 교수님들은 석박통 5, 박사는 3~3.5 시키고 빨리 내보려는 경향이 많이 보이는듯

실적도 케바케지만 요즘 국내 투고수준이 꽤 올라서, 주변에 석사도 탑티어 저널(나노쪽이라 ACS Nano, JACS, nat comm, angew) 내고 나가는 학생도 몇년동안 매년 한두명 있고
여튼 이쪽은 프로세스가 점점 빨라지는듯

2023.02.10

바이오 6.5년요

2023.02.10

항공 3–4년

2023.02.10

석사 3년 박사 3.5년

2023.02.10

바이오 최대 8년까지도 봤음 (통합) 그 랩은 대부분 8년 이렇게 걸리는거같더라
건강한 존 필즈*

2023.02.10

석박 4.5

2023.02.10

솔직히 지도교수 인식이 가장 영향을 크게 끼치는거 같은데.... 저는 서울 중위권 석박 4.5년이고, 분야는 재료, 실적은 JCR 1 % 주저자/3 % 2개 주저자/10 % 1개 주저자 그 외 공동 주저자 및 1저자 4개, 공저자 1개입니다. 교수님께서 이정도면 필드 나가서도 내 이름 먹칠하진 않겠다 하셔서 졸업시켜주셨습니다.

2023.02.10

석2 박 7.5

2023.02.10

석박 통합 3.5... 졸업당시에는 분야 내 SCIE Q1 2편, Q3 1편...

2023.02.10

석박통합 9년입니다...
SPK도 아닌 공대인데 박사가 너무 길어서 슬프네요
비단 저희 랩실 뿐만 아니고 저희 학과 전체를 두고 봐도 통합 6년으로 졸업 시키는 교수님이 없더라구요
최소가 6.5년이고 10년차도 몇 명 봤습니다...

대댓글 2개

울적한 장 폴 사르트르*

2023.02.10

이론물리도 아니고 공대인데도 그럴수가... 그 분야가 원래 그런 경향이 있나요???

2023.02.12

아뇨 같은 분야 다른 학교를 보면 안그런데 저희만 그래요 그래서 더 빡침
울적한 장 폴 사르트르*

2023.02.10

삭2 박4
그런데 어차피 똑같이 6년 한다고 가정하면 따로 끊어서 하는것보다 이어서 하는 게 유리하긴 합니다.
박사를 다른 랩실로 가면 그거대로 불가피한 손실이 있고.
같은 랩실에서 하면 어차피 같은데서 할거를 굳이 코스웍이나 졸업요건때문에 쓸데없는 낭비가 생기고...
2년짜리 연구랑 4년짜리 연구 어중간하게 따로 잡느니 한번에 6년짜리 잡는게 낫죠.
물론 앞서 말했듯이 박사를 한다는 가정이 필요한 것입니다만은.

2023.02.10

석2 박4

2023.02.10

물리쪽이고 대형공동연구인데 5년 할 수 있었으나 전문연 때문에 6년 했습니다

대댓글 1개

IF : 2

2023.02.12

혹시.. 고에너지인가요?

2023.02.10

저희 교수님은 회사가 있습니다. 무슨 회사냐면 박사 묶어두기 회사. 겉만 보면 나쁜것 같지만 또 그렇게 나쁜(?)것만은 아닌것 같아요. 일단 석사는 2년안에 다 나가라고 하시고, 박사도 되도록이면 3년만에 일단 졸업은 시킵니다. 그리고 포닥을 회사 이름으로 계약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포닥은 경력으로 들어가고, 그만큼 페이도 더 많이 주죠. 그렇다면 왜 굳이 3년에 졸업을 시키고 포닥으로 노예 계약을 하시냐면, 우선 다들 비슷하겠지만 사실 3년만에 우수한 실적을 못 뽑아 내잖아요. 교수님 마음에는 학생들 10원이라도 더 챙겨주고자 포닥으로 전환 시킵니다. 그리고 논문 X편을 계약 조건에 걸어 버립니다. 그러면 그 학생은 취업하려면 어쩔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사실 박사 자체는 3년이긴 하지만 대체로 짧으면 1년 길면 4년까지도 포닥으로 묶인 경우를 보았습니다. 그렇지만 어느 누구도 교수님 욕한걸 본적이 없습니다. 돈은 더 챙겨주고 실적도 챙겨(?)주시니까요. 교수님의 인성에 대해 국내 가히 범접할 사람이 없다에 손모가지와 내 돈 모두를 걸 수 있습니다.

2023.02.11

통합 5.5로 졸업했습니다

2023.02.11

석사만 2.5년 Q1 SCI journal 1개 내고 나왔네요. 전공 탑1 인해외대학입니다.
쑥스러운 프랜시스 크릭*

2023.02.11

여담으로 박사 기간이랑 실력이랑 크게 상관 없습니다. 박사가 학부처럼 일종의 퀘스트(?) 완성하면 주는 학위도 아니구요. 논문 실적 별로인데 교수가 빨리 내보내는 경우도 있고, 실력 있는 학생 내보내면 논문 낼 사람이 없어 붙잡는 경우도 있습니다. 교수가 목표로 논문 더 쓰려고 자진해서 1년 더 머무는 경우도 있구요.

2023.02.11

IST 바이오 석박통합 6년했습니다

2023.02.11

외국 석1.5 박5 (코로나때문에 아무것도안하고 1년연장.)

2023.02.12

석2 박 5
랩 평균이 석2 박 4.5
빠르면 석2 박4

SKP 타분야이고 랩은 20명 정도였습니다.
전 자진해서 반학기 더 한 케이스에요.
못된 마이클 패러데이*

2023.02.12

석박통합 장점은 코스웍이 줄어드는데 있지 (2+2 ->3)
학위 총 기간은 어차피 본인 실적 쌓이는데 필요한 절대적인 시간이 정해져있으니 그닥 기대하기 힘들죠 ㅎㅎ

2023.02.15

저는 통합 6년요

2023.02.15

통합5년예정(이번학기), 1저자4개(if 6~8점대)
바이오

2023.02.17

미국 경영학은 대부분 석사 2년 + 따로 박사 5~6년합니다.

2023.03.04

통합6년이고 박사도 4년정도가 랩 평균치 였습니다.
교수님 성향이 빨리 나가라고 재촉하는 스타일이셔서
솔직히 오래한다고 실력이 그에 비례해서 상승하는지는 모르겠네요.

2023.05.06

미박6.5정도.. 저는 이번 가을에 4년차 되는데 아무것도 없어서 최소 7년각 바라보네요... 눙물 ㅠ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