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네트워크 분야 학회 및 저널 실적 문의

행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3.02.11

19

5158

전자/CS에 속하는 분야 중 네트워크 쪽 연구실 실적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csranking에 보면 ACM SIGCOMM과 NSDI만 보라고 적혀있는데, 그렇게 보면...
지난 10년 간 국내 실적을 카운트 한 것을 보여주는 제가 이 글에 올린 첨부 파일에서 볼 수 있듯,
국내에 너무 숫자가 적어 연구실 찾아보기가 힘들어 여쭤봅니다.
(ACM SIGCOMM 이라는 건 10년 간 교수님 2분으로부터 국내에 6편 밖에 나오지 않았더라구요...
그 마저도 랩실 홈피 들어가서 봐보면 교수님들 임용 후 발표 숫자는 더 줄어들더라구요...)

랩실 실적을 알아볼 때 ACM SIGCOMM과 NSDI 외 살펴 봐야 할 의미 있는 학회나 저널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ACM SIGCOMM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Computer Communication Review나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라는 저널이 있던데
구글 찾아보면 저 저널들의 IF(각각 1.xx / 3.xx)가 다른 통신이나 네트워크 저널들에 비해 낮은 편인 것 같기도 하고
알아보기가 힘듭니다.

혹시 조언을 얻을 수 있을까요?
너무 모호하게 여쭤보는 것 같은데, ACM SIGCOMM, NSDI를 제외하고
학회 + 저널 해서 5개 정도만 나열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3.02.11

자 컴공/전자 쪽은 그런 식으로 조사하시는건 잘 안 맞아요. 이 쪽은 전반적으로 저널 IF가 낮고 SCI인데 별로인 저널이 많아서, 정량 수치와 무관하게 업계에서 주관적인 평판이 높은 저널들을 알아보는게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IEEE Transaction들인데, 통신 안에서도 세부분야별로 선호하는 transaction이 달라요. IEEE Communication Society 출판물 목록만 봐도 한두개가 아닙니다. 거기다 통신으로는 분류되지만 전력망 하는 사람들은 또 내는 곳이 아예 다르고요. 그니까 관심 있는 해외 석학 랩에서 어떤 곳에 주로 논문을 내는지를 보거나 직접 물어보세요.

대댓글 9개

행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3.02.11

저널에 관해선 IF 보다는 관심 있는 세부 분야를 하는 해외 석학 랩에서 주로 내는 저널을 찾아보라는 말씀이시군요. 감사합니다!

2023.02.11

제 생각에는 저렇게 탑 컨퍼런스 실적을 보는게 맞는데, 네트워크는 다양한 컨퍼런스에 논문이 나와서 시스템 등등 다른 컨퍼런스도 함께 살펴보는게 맞는 듯 싶습니다.
아랫분이 관련 학회들 잘 정리해주셨네요.
저널 실적은 크게 고려할 필요 없습니다.
행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3.02.11

찾아보니 제가 관심 있는 쪽은 학회로 치면 SIGCOMM과 NSDI를 보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근 10년간 주저자 or 교신저자로 검색해보면 (즉, 공저자 제외), 국내에서
SIGCOMM: 연구실 한 곳에서 3번
NSDI: 연구실 세 곳에서 각각 2번, 6번, 2번
정도 발표한 것 같습니다.

너무 어렵네요.
행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3.02.11

IEEE INFOCOM, CoNEXT 정도에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 정도...?를 보면 되는 걸로 점점 파악해 나가고 있습니다. 모두 감사합니다.

2023.02.11

원래 한국에서 탑컨퍼런스 논문 쓰는 교수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물론 ml cv 같은 분야는 워낙 논문 자체가 많으니 제외하구요.
저는 네트워크는 아니고 다른 분야인데 탑컨퍼런스 논문이 한국 전체에서 1년에 몇 편 안나옵니다.

2023.02.12

보일/ 그건 좀 CS 중심적인 관점이라고 봅니다. EE 문화에 익숙한 교수님들은 저널을 더 선호하시는 경향이 아직까지도 있습니다

2023.02.12

@행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 참고로 JSAC 과 TCOM 은 Wireless/Mobile 쪽으로 보셔야해요 (SIGCOMM & NSDI 보다 MobiCom 과 관련 있습니다).

@방정맞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 한국 EE 는 저널로 평가를 해서 그런것도 있지만, 냉정하게 네트워크 쪽 탑컨퍼는 너무 내기 힘들어서 그렇습니다. 이 학회들은 1년에 페이퍼 50개도 안뽑아서, 전세계적으로도 여기에 매년 꾸준히 페이퍼 내는 교수님들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그나마 상위권 저널 IEEE TCOM & TWC & JSAC & IOTJ 등도 Wireless/Mobile 쪽 입니다. 그래서 보통 한국 EE 네트워크 교수님들은 Cloud/Information/Computer/Intelligent Systems 관련된 Interdisplinary 한 저널에 페이퍼 냅니다. 작성자님이 SIGCOMM & NSDI 쪽에 관심 있다고 하셨으니, 한국 탑스쿨 기준으로 알아보실거면, 2티어까지 고려하시더라도 학회 기준으로 보셔야 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2023.02.12

Interdisplinary -> Interdisciplinary 정정
행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3.02.12

@너그러운 막스 플랑크
감사합니다! 각 저널들 홈피 들어가서 명시되어있는 분야들도 확인하고, 게재된 논문들도 열심히 보는 중입니다.

말씀주신 대로 2티어 학회도 참고하여 연구실들을 잘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쁜 찰스 배비지*

2023.02.11

전 CS지만 네트워킹 분야는 아닌데 SIGCOMM, MOBICOM이 top-tier conference라고 들었네요. 학회의 경우 BK21 CS 우수학회 목록 구글링하시면 인정 IF4에 해당하는 네트워킹 학회들 찾으실 수 있을거에요

대댓글 1개

행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3.02.11

IF 4점인 학회 위주로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2.11

네트워크 분야 자체가 좀 광범위해서, 크게크게 잡아보면

1티어: SIGCOMM & NSDI (Computer/Communications Networks), MobiCom (Wireless/Mobile Networks), OSDI & SOSP (OS and Systems)

1.5~2티어: CoNEXT & IMC & SIGMETRICS & INFOCOM (Computer/Communications Networks), MobiSys & SenSys & UbiComp & IPSN (Wireless/Mobile Networks), ATC & EuroSys (OS and Systems)

대댓글 3개

행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3.02.11

보기 편하게 적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잘 참고하겠습니다!

IF : 1

2023.02.21

SIGMETRICS 이나 EuroSys 를 1.5-2티어로 생각하는 수준이라면, NSDI 나 MobiCom 도 1.5-2티어로 내려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그 외 SIGCOMM, OSDI, SOSP 는 뭐 역대 국내에서 게재한 사람이 10손가락 내외니, 명실상부 1티어가 맞구요.

2023.02.21

OS 에서 OSDI & SOSP 가 묶이듯이, 네트워크에선 SIGCOMM & NSDI 로 묶입니다. 커미티가 거의 동일하고, 여러 네트워크 거장들이 두 학회를 동급으로 봅니다 (검색해보시면 기록도 나와있습니다). MobiCom 은 주제가 너무 구체적이라 성격이 좀 다르지만, 1.5-2 티어는 아닙니다. 어느 나라의 어떠한 자료를 기준으로해도 MobiCom 이 1티어가 아닌적 없어요.

NSDI 와 MobiCom 이 언급한 다른 1티어 학회보단 상대적으로 한국 게재가 많은 이유는 2010년 대 말에 적용된 multi deadlines 때문이구요.

당장 한국 BK 리스트만해도 SIGCOMM, NSDI, MobiCom, OSDI, SOSP 는 모두 4점(만점)이고, EuroSys 2점, SIGMETRICS 3점 입니다. 다른 나라 자료들 기준으로해도 EuroSys 와 SIGMETRICS 는 1티어 그룹 일때도 있지만, 2티어 그룹이 되기도 합니다. 사람마다, 그리고 분야마다 보는 관점이 다를수 밖에 없어요 (네트워크 관점 vs 시스템 관점도 꽤 차이 나는것 같아요). 어차피 모두를 만족 시키는 기준은 없고, CORE, csranking, BK, CCF, 사람들 평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그런것 같습니다. EuroSys 는 BK 에서 2점이 아닌 최소 3 or 4점이여야 할것 같네요.

2023.02.12

전 CS 네트워크 전공인데 아무래도 AI와 거리가 좀 있는 전공이다 보니 아직도 저희 랩은 저널 위주로 작성합니다.
말씀하신대로 IEEE Trans. on Networking을 최고 저널로 치구요
다만 이 저널이 쓰기가 어렵다보니 저는 여기에는 못쓰고 졸업할 것 같네요.
그 다음으로 쓸만한 저널은 Mobile Information Systems, Computer Communications,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obile Computing 등이 있겠네요.

대댓글 2개

행복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작성자*

2023.02.12

감사합니다! 박사 졸업이 보이시는 것 같은데 부럽네요 ㅜ 저도 나중에 꼭 박사 하고 싶어요

2023.08.27

네트워크도 윗 댓글들처럼 sigcomm이나 nsdi 같은 1티어 컨퍼런스가 최고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