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게 글쓴이분 산학에서 때는 금액이 사립대가 더 많다는 것도 아니고, 인건비 때문에 연구에 쓸 돈 없다고 하신 이유가 뭐에요?
-ist든 아니든 인건비로 보통 연구금액의 30% 이상정도 잡고 웬만하면 연구수당도 풀로 잡지 않나요? (필요한 장비비가 많지 않는이상..)
저도 -ist인데 오히려 저희는 학교내부규정(간접비+교수직접비가 전체 예산 몇퍼이상)때문에 더 거지같던데,, 사립대에서는 이런규정 있는곳 못봐서 현물로만 잡던데요..
학생들의 장학금(등록금)차이라고 말하기에는 사립대도 등록금도 안주는곳 많고, -ist도 거의 풀로주는곳도 많고 케바케아닌가여
2020.05.30
뭐 인프라자체는 ist가 좋다고 할 수 있고 논문질?양? 서성한보다 당연히 좋을거임 선양국쓰같은 특이한 케이스 제외
근데 udg는 더이상 올라갈 수 없는 한계가 있음
소속된 대학원학생들 출신을 보면 udg랑 pk랑 차이가 너무남
udg랩실소속 학생들 보면 자대출신 제외하면 나머지 경북, 부산, 경희 (이상하게 경희 ㅈㄴ많음) ~ 건동홍숙라인으로 차있음. spk가 spkykssh위로만 있는거랑 너무 차이나서 서울 상위권 대학 ykssh라인 학생들은 spk목표로 했다가 그냥 안되면 자대가는게 현실
이게 아무리 실적 잘뽑아내도 udg가 더이상 뜨지못하는 이유임
최상위권 학생들이 많이 진학을 안하기 때문
2020.05.30
그럼 spk급 레벨로 올라가는 방법이
1) udg학부 자체의 입결이 spk급으로 떠버려서 자대생만으로 최상위권 학생이 충족되게하는 방법
2) 쌉오지는 대가 교수 대려와서 최상위권학생들 오게 꼬심
둘다 쌉불가능
아무리 실적좋아도 계속 spk와 차원이 다른 취급당할수밖에
Wilhelm Konrad Roentgen*
2020.05.30
등록금 때문에 그렇죠.
ist 는 대학원 장학금이 많아요.
그런데 서성한은 어찌보면 연고대도 학교 장학금은
극히 일부 학생만 지원되죠.
다른 한편으로 보면 국립대 대학원 운영보다 어려워요
국립대는 서성한연고 등록금 반밖에 안하니 같은 1억 연구비를
받아도 지원할 수 있는 학생수가 차이나죠
1억 보다 큰 과제요? 학과에 따라 드르지만 연구재단 중견 잘해야 1억임 더 많은 금액 가져가는 교수는 극히 일붑니다.
BK라고 다 같은 BK가 아닙니다. 서성한연고에서 받는 BK는 spk나 ist에서 받는 것과 규모차이가 있죠.
Bk 원래 목적이 설대 대학원 지원이였다는 것은 아시죠?
그리고 내말이 기타 ist가 spk를 뛰어 넘는 다는게 아니자나요.
서성한등 서울대를 제외한 종합대 이공계 대학원 보다는 괜찮다라는거지요. 구조상 대학원 운영에 따는 차이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거죠
Arnold Sommerfeld*
2020.05.30
근데 제가 느끼기로는 상위권사립대들은 순혈주의 + 해외대학 선호가 엄청 심해서 좋은 해외대학나왔으나 연구실적이 적은 분들이 너무 많고, 트랜드에 맞는 연구하는 젊은 교수가 너무 적음..
-ist는 (카이제외) 교수진들을 뽑을때 출신 학부도 비교적 크게 안보는것 같고, 실적 좋은사람 위주로 뽑으려는 것 같다고 생각함. 또 사립대에서 젊고 유망한 교수는 spk에서 뽑아가려고 해서 이직도 많이하고 (최근 카이스트 기계과에서 서강대 젊고 유망한 교수 두분 데리고간것에 연대 전자과 젊은 유명한 교수가 서울대 물리학과로 옮긴것 등 예시는 많을듯)
y대 자대대학원 진학한 친구들보면, 학교가 인프라구축이나 이공계를 키울 생각은 없고, 그냥 박사졸업여건만 높여두면 될줄아는것 같던데..(현재 박졸이 SCI주저자3개/공동2개?인가로 들음) 학생들은 졸업여건 맞추려고 그냥 적당한 저널 다작만 하게 되는듯. 같은학과 카이스트는 평균적으로 박사졸업할때 2개-3개정도로 그중 한두개가 좋은저널에 쓴 케이스가 많고, 학교내부조건은 SCI저널1개인가? 엄청 낮고, 대부분 지도교수가 졸업여건을 결정함.
사립대들은 이공계를 키우기위해서는 뭔가 구조적으로 개혁이 필요할것 같긴함. 종합대 이미지에 인서울메리트로 당연히 입결은 항상 -ist보다 높겠지만, 이공계 대학원생들 실적만으로만 보면 평균적으로 -ist보다 밀리는 연구실이 많다고 생각되네요.
Helen B. Taussig*
2020.05.30
여기가 spk로 학벌세탁 하려드는 서성한중 따리 학점도 3중후반 어중간한 애들이 바글거려서 그렇지 실제로 과기원 무시하는 사람 못봤음. 연구환경이랑 실적은 spk보다 딸리지만 평균적으로 연고대보단 나은듯.
Siegmund Gabriel*
2020.05.30
재미있는 주제라고 생각하고 위 댓글을 보니 다양한 의견을 말씀해주셨는데 제 의견도 추가해보겠습니다.
-ist 다니는 분들은 연구로만 생각하시는데 서성한은 진로가 연구 말고 정말 다양합니다. 과고가 아닌 일반고 출신인 많은 학생들은 여기 모인 분들과 다르게 연구에 관심 없습니다. 이공계 학부생들 중에 목표가 연구가 아닌 로스쿨, 변리사, 고시 등등...심지어 CPA까지 다양합니다. 그렇다고 이 학생들이 연구직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보다 뒤떨어지는건 절대 아니라는 사실은 다들 아실겁니다. 로스쿨 입학자들 스펙 어마어마한건 다들 아실테니까요. 서성한에서는 이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요구들을 -ist에 비해 확실히 충족해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명한건 성과가 아주 뛰어난 한양대 고시반이 있고 다른 학교들에도 다 있을겁니다.
-ist의 연구능력은 뛰어나지만 위에 언급된 연구 외적인 진로에는 서성한에 비하면 매우 약하죠. 그리고 연구자 사회는 매우 폐쇄적이라서 한국 사회에 미치는 힘은 매우 약할겁니다. 그러다보니 연구 외적으로 동문이 매우 약한 -ist 출신이 사회에서 손해 보는 상황이 발생 할 수 있어요. 서성한 메이저 동문 네트워크(연구자 집단이 아니라 정치인, 로스쿨, 기업 임원 등등..)에서 -ist가 사회적 인식이 서성한을 넘어서게 가만 놔둘까요...
카이스트는 과거 국가의 전폭적 지지와 과학 기술 발전이라는 국민들의 염원을 통해 이를 극복해내고 지금 위치에 자리를 잡았지만 현대 사회에서 나머지 -ist가 과거 카이스트가 받았던 전 국민적 지지를 다시 받을 일이 있을까요. -ist가 이 문제를 이겨내지 않는 이상 spk 급으로 올라갈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Wilhelm Konrad Roentgen*
2020.05.30
Siegmund Gabriel님
희안하네요.
이공계 대학원 목적은 연구입니다.
서성한이 변리사 고시 로스쿨에 유리하든말든 지금 논점이 그게 아니자나요. 그리고
ist의 연구능력은 뛰어나지만 위에 언급된 연구 외적인 진로에는 서성한에 비하면 매우 약하죠. 그리고 연구자 사회는 매우 폐쇄적이라서 한국 사회에 미치는 힘은 매우 약할겁니다. 그러다보니 연구 외적으로 동문이 매우 약한 -ist 출신이 사회에서 손해 보는 상황이 발생 할 수 있어요. 서성한 메이저 동문 네트워크(연구자 집단이 아니라 정치인, 로스쿨, 기업 임원 등등..)에서 -ist가 사회적 인식이 서성한을 넘어서게 가만 놔둘까요...
이건 진짜 웃기네요 ㅎㅎㅎ 나이가 한 60쯤 되시나요?
2020.05.30
글쓴이의 논지는, '이공계 종합대 대학원 중 서울대를 제외하고는 ist가 우세할 것이다' 라고 밝혀져 있고
따라서 이공계 종합대가 아닌 kp는 논의에서 제외대상이며
그 밑의 연고서성한을 겨냥하여 하신 말씀 같네요.
중론을 정리해보면 ist는 대학원생 인풋보다 가르치는 교수진의 조건이 괜찮고, 연고서성한은 인풋이 교수진보다 괜찮다은 것 같고요.
이공계 대학원의 연구역량을 탐구하면,
1. 대학원생 인풋 수준 2. 실험장비 등 연구환경 3. 인건비 및 펀딩 4. 교수진의 수준 외에 더 있을까요?
서성한에서 학부연구생하다가 지금은 spk에 있는데, 서성한 대학원은 답이 없다
학부면 모를까, 대학원은 평균적으로 서성한보다야 ist가 확실히 더 나을거임
근데 spk갈 애들은 가고, 떨어지는 애들은 대부분 자대 감
자대 대학원이 개막장이어도, 좋은 랩들이 아예 없지 않아서, 굳이 다른 대학 갈바에야, 자대 좋은 랩으로 가면 되거든
문제는 남은 병신같은 랩들이 운영이 안되니까 처음 들어보는 대학 출신들이나 외국인으로 채우면서 점점 논문도 연구도 병신이...
Wilhelm Konrad Roentgen*
2020.05.30
Walter Rudolf Hess
정말 한심하네
존대가 아깝다.
사회 나가바라
그렇게 자랑스러워하는 니 동문이 너에게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다들 지 앞가림하기도 벅차
Walter Rudolf Hess*
2020.05.30
?? 사회나갔는데 학교모임까지 따로 있는데? 도움도 많이받고ㅋㅋ 여기서 훌리짓하는 너가 가장한심한겨
Helen B. Taussig*
2020.05.30
나도 그냥 지나치려다가 한마디 하겠다. 자꾸 이런 이야기류(연고서성한)vs지방과기원(지유디)가 도돌이표처럼 맴도는 이유는 여기 글쓴이들이 과기원의 존재이유를 망각하고 논점을 흐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김박사넷은 연구자 과학자 되려고 대학원 기웃거리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사이트고, 연구가 하고싶다고 러프하게 학교선택에 고민하면 당연히 지방과기원을 추천해주고 싶음. 객관적으로 연구실적 연구환경 장학금 훨씬 괜찮으니까.
그런데 갑자기 어디선가 이상한 사람들이 궤변을 들고 나타나서 입결이 어쩌고 인지도가 어쩌고, 위에 보니까 말투는 고상하지만 이것도 궤변이 따로 없음. 애초에 과학자들 양성하려고 만들어진 기관에 (지스트는 학부생이 한학년에 200명밖에 없음) 갑자기 변호사 변리사 행정고시 이런걸 들먹이지 않나. 그리고 사회, 인맥 이야기를 하는 것도 웃김. 코웍할때 동문인데 아는것도 없고 실력없으면 누가 밀어주고 댕겨주나? 더 꼴보기 싫어서 쥐어박고 싶을듯.
2020.05.30
옆에서 보니 Walter Rudolf Hess님은 연고는 아니고 서성한 같네요
연고는 신경도 안 쓸텐데 기가차서 부들대는게 느낌이 서성한 같음...
저는 지나가는 바보입니다
Wilhelm Konrad Roentgen*
2020.05.30
원래 지뿔도 없는 것들이 혼자 안되니 모임 만들어서 억울한거 함께 술먹고 서로 다독이고 그러는거다. 열심히 살아라
Enrico Fermi*
2020.05.30
ugd애들 수준참 ㅋㅋㅋㅋㅋㅋ
Walter Rudolf Hess*
2020.05.30
뭐래냐 ㅋㅋ 급발진하는건 너네 3명같은데? Helen, Wilhelm, Wilhelm ... 응..?
2020.05.30
대학원도 밖에 나와서 동문커뮤니티가 있나?
학부 동문회나, 연구실 홈커밍은 들어봤어도 대학원 동문은 처음들어보는데
자대 석사후에 유학가는 경우 말고는, 대부분 spk떨이들인데 굳이...
Walter Rudolf Hess*
2020.05.30
난 학부 동문 말한거
Wilhelm Konrad Roentgen*
2020.05.30
그래 지뿔도 없는 너희 학부 동문들
서로 술마시며 도닥여 주는일 밖에는 도움안되는 너희 학부 동문말한거다. 지앞가림 못해서 서로 위로하는
열심히 살아라 니 후배 도와주려면
2020.05.30
그래도 서성한 학부 나와서 서성한 박사 하는 애들이 평균적으로 어디 이상한 잡대 나와서 udg박사하는 애들보다는 잘할듯ㅋㅋㅋㅋㅋ
Helen B. Taussig*
2020.05.30
나도 그냥 지나치려다가 한마디 하겠다. 자꾸 이런 이야기류(연고서성한)vs지방과기원(지유디)가 도돌이표처럼 맴도는 이유는 여기 글쓴이들이 과기원의 존재이유를 망각하고 논점을 흐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김박사넷은 연구자 과학자 되려고 대학원 기웃거리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사이트고, 연구가 하고싶다고 러프하게 학교선택에 고민하면 당연히 지방과기원을 추천해주고 싶음. 객관적으로 연구실적 연구환경 장학금 훨씬 괜찮으니까.
그런데 갑자기 어디선가 이상한 사람들이 궤변을 들고 나타나서 입결이 어쩌고 인지도가 어쩌고, 위에 보니까 말투는 고상하지만 이것도 궤변이 따로 없음. 애초에 과학자들 양성하려고 만들어진 기관에 (지스트는 학부생이 한학년에 200명밖에 없음) 갑자기 변호사 변리사 행정고시 이런걸 들먹이지 않나. 그리고 사회, 인맥 이야기를 하는 것도 웃김. 코웍할때 동문인데 아는것도 없고 실력없으면 누가 밀어주고 댕겨주나? 더 꼴보기 싫어서 쥐어박고 싶을듯.
모르면 입이나 좀 쳐닫자 어휴
무슨 맥스 1억이 넘은지 5년도 안됐단 소릴하고 앉았냐 ㅋㅋㅋ ㅋㅋㅋㅋ
Wilhelm Konrad Roentgen*
2020.06.01
이시끼 진짜 석사 나부랭이구나
왜 답 안다나했더니 공부하고왔네
야 니네 교수 즉 교수 1의 과제 얘기하는데 중견 전체를 보면 어쩌냐 밥팅아 개인과제를 봐야지
개인과제 1억이라고 나와있자나
그리고 협동과제는 연구자 둘이 나눠쓰는거야 임마
그 옆에 있는거 도전과제자나 어휴 중견이라 하믄
보통 개인과제 말하는거야
진짜 쥐뿔도 모르는게
그리고 내가 기본 과제 얘기한건 중견은 연구실 규모가 꽤 커야
가능한거라 대부분의 교수들은 기본과제 많이 노려
물론 일정 짬 넘으면 중견 노리지만
공부한게 이정도냐 닥치고 락꾸락꾸에서 잠이나자라
니가 어찌어찌하여 큰 규모 연구실에 있으니 연구비 1억 이 우습게 보이나 본데 설대 공대교수 1인당 평균 연구비가 5억 내외야
그리고 기타 등등학교 이공계는 말해 모하냐
2억도 안되 어휴
진짜 느그 교수가 어떻게 힘들게 연구비 따오는 줄도 모르는게
교수 밑에 있으니 세상물정 모르고 입만 살아가지고
2020.06.01
니 글이나 제대로 보고 와 등신 ㅅㄲ야 어휴
지가 중견이라고 싸지르고 놓고는 개인과제야 어흥 이지랄 하고 앉았네 ㅋㅋㅋㅋ
중견 맥스 1억 넘은건 5년도 안됐어 밥팅아~
>> 이딴 소리한게 넌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뇌가 없네 진짜 ㅋㅋㅋㅋ
2020.06.01
그리고 참고로 K교수라서 눈팅하러 왔는데 너같은 ㅅㄲ 어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Wilhelm Konrad Roentgen*
2020.06.01
교수 좋아하네 교수가 중견 개인과제도 모르고
1억짜리 과제가 쉽다는 개소리 하냐
카이 교수들도 5천짜리 과제 따러 이리저리 뛰어다녀 임마
가서 카운팅해바라 1억 이하랑 그이상 중견과제 갯수를
과제에 과자도 모르는게 교수인척은 에효
형은 이제 여기 안온다 밥팅아 공부해라
지가 지네 교수가 말했다고 써놓구 이제 또 지가 교수란다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0
2020.05.31
2020.05.31
2020.05.31
2020.05.31
2020.05.31
2020.05.31
2020.05.31
2020.05.31
2020.06.01
2020.06.01
2020.06.01
20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