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지잡대 재학중인 22살 미필인 한 사람입니다. 인공지능이 관심이 있고 컴퓨터 비전을 희망하는 사람입니다. 저는 제 대학교에 들어가자마자 인생이 망한 것 같아 남들 다 술 먹고 놀 때 기숙사에서 코딩만 하고 살았습니다. 그렇게 코딩만 하니 실력이 빠르게 늘어 1학년인데 운 좋게 연구실에 들어갈 기회가 생겼습니다.
딥러닝을 공부해보니 너무 재밌고 이거다 싶어서 2학년 동안에는 이것만 파고 이번에 KCI에 First Author로 제출도 했습니다. 김박사넷을 뒤져보니까 KCI는 큰 인정도 못 받는 눈치고 상위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은데 다들 스펙이 좋으신 거 같아 겁만 납니다.
kaggle이나 dacon 같은 인공지능 경진 사이트에서 작년 12월부터 달려봤는데 아직 큰 수상이나 이력을 남기진 못해서 인공지능이 제 길이 맞나 계속 의심만 듭니다.
일단 전 공군 입대에 박아두고 많은 고민을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저라면 어떻게 하실 거 같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4개
2023.02.22
뭐 그나이에 본인이 힘들다는건 잘 이해가 됩니다만, 22살에 인생망햇다는 소리 하시면, 사회에서 욕먹습니다.
22살만 살고 죽으실건 아니자나요. 가는데 순서는 없지만, 적어도 80살까진 사실거 아닙니까. 확실히 좋은 학교에는 유명하거나 좋은 랩실들이 많다는걸 아실겁니다. 이미 지난 시간이지만, 22살이면 편입 한번 해보는거 추천드립니다. 아니면, 탈출해서, 다른 대학원 랩실로 입학해보는건 어떤지요.
이미 공군가기로 정하셧다면, 공군기간동안 편입공부해서, 학부 세탁하고, 좋은 랩실 갈것같습니다 (아니면 그시간동안 다른 진로를생각해도되구요).
개인적으로 봤을때, 미래 진로 고민할시간은 많으신것같습니다. (병역기간떄문에) 아무쪼록 응원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2.27
ㅇㅈ요 무슨 82세 92세도 아니고 22세가 그깟 대학 간판 하나 때문에 인생 망했다니,, 어이가 없네요ㅋㅋ..
2023.02.22
학부2학년 22살에 CS분야에서 혼자 1저자로 KCI 작성하신거면 충분히 능력도 있으신 것 같은데요? 과한 자만은 안되겠지만 지금처럼 인생 망했다느니 이런 부정적인 생각만 안가지시고 해오던것만 하시면 충분히 잘 하실 것 같습니다.
2023.02.22
내용은 자랑이네요? ㅋㅋ
대댓글 1개
2023.02.22
자랑거리가 될 것은 없어보이는디유
2023.02.22
그냥 그러려니 현실받아들이면서 적당히 할듯
2023.02.22
22살이면 맘먹고 재수를 한다 쳐도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충분히 잘하고 계시니 너무 걱정마세요.
방정맞은 장자크 루소
IF : 1
2023.02.22
여러 고민해보면 좋습니다. 대학원 생각있으시면 인서울로 편입하시고 학점관리하시면 좋은곳 가능할겁니다.
2023.02.22
그정도 실력이면 3 4학년때 열심히해서 높은 저널쓰면 어디 대학원이든 갈 것 같은데요
2023.02.22
나 22살땐 KCI는 고사하고... 논문의 논자도 생각 못했는데...
IF : 5
2023.02.22
22살이 망하면 얼마나 망한다고 라고 생각하니 글이 잘 눈에 들어오지 않네요..
2023.02.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잡대에서 용될 수 있는 커리어 잘 쌓아나가고 있는 듯. 실질적인 퍼포먼스 (논문이든 뭐든) 뭐라도 내면 원하는 대학원 갈 수 있을 듯
2023.02.22
망한 건 아니고, 막막하니 쓴 글인듯. 개인적으로는 코딩보다 학부 공부를 열심히 해서 수석이나 차석을 하길 바람. KCI가 잘한 건 맞지만 길게 보면 전공 지식이 매우 중요하고, 교수들도 그걸 알고 있음. 지잡대에서 학점도 안좋으면 그걸 극복하긴 너무 힘듬.
2023.02.22
22살 2학년때 논문내는 사람이 전국에 몇이나 되겠음 학부 수업, 학교 적응, 대학 초기는 동기들 술약속만 해도 빡센데 그사이에 논문까지?
2023.02.22
저는 수능조지고 전문대가서 취업했다 아니다 싶어서 퇴사하고 바로 편입시험 준비해서 지거국 물리학과 편입해서 올해26이네요 작성자분 말대로면 제가 더 망한듯?
근데 뭐 어쩔건가요 혼자 "아 난 인생망했어"하고 있으실건가요?
능력도 좋아보이시는데 군대가시고 찬찬히 생각햐보세요 군대에서 여러인간군상들을 보니까 시야도 더 넓어지고 천천히 고민하긴 좋더라고요
잘하시는거같은데 너무 풀죽어있지마세요
2023.02.22
펀입 ㄱㄱ
2023.02.22
작성자분이 안타까워서 글 남깁니다 전 조선/원광대 중 하나 다녔는데 대학원 진학할때 학벌이 너무 발목을 잡을것같더라구요 그래서 편입 준비해서 4개월만에 연고대 중 하나 붙었습니다 요즘 이공계에서 의치한약수 반수가 너무많아서 편입난이도 어렵지 않습니다.. 무조건 편입하세요
2023.02.22
너무 안타까운 식으로 작성해서 씁니다. 국내에서 KCI 폄하하기도 하고 좋은 실적으로 안쳐주는 것도 사실이긴 하지만 아무의 도움없이 본인 혼자 혹은 같이 작업한 선후배가 있다 하더라도 잘한 편입니다. 편입학하시거나 아니면 상위권 대학 갈 수 있게 미리 컨택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지도교수님이 도와주신거면 몰라도 그렇지 않으면 학생이 KCI 논문 쓴거 꽤 큽니다. 만약 지도교수님의 지도가 있었다면 좋은 저널은 아니더라도 SCI급 저널에 투고될 가능성도 있어요. SCI급 저널이 상당히 좋은 것처럼 보이지만 저널마다 난이도가 다릅니다. 제가 봤을 땐 후회할만한 혹은 인생 망한 22살 이야기로 안보입니다. 걱정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본인 스스로 안좋게 생각하지 마세요.
2023.02.23
그럼 동갑내기 학생들은 얼마나 망한 거고, 본인보다 늦은 나이에 학부 신입생 된 사람은 얼마나 처 망한 인생인가요?
본인 이력 늘어놓으면서 자랑을 할거면 그냥 입 죽 닫고 주변에나 떠벌릴 것이지...
대체 몇 명을 욕보이는 겁니까? 발언을 할 때는 생각이란 걸 하고 좀 씁시다.
대댓글 1개
2023.02.25
ㄹㅇ. 걍 기만인거 같음
2023.02.23
22살에 인생이 망했다니요.. 지금 학부가 맘에 안 드시면 편입 준비 해보세요
2023.02.23
칭찬이 고팠구나. 잘하고 있단다...
2023.02.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님 어머니한테 말씀드리세용~
대댓글 1개
2023.02.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 혹시... 아 아닙니다 ㅋ
2023.02.23
작성자에게 있어서 가장 큰 위기는 스펙이나 현 상황이 아니라 자기인생 망했다고 투덜거리는 태도일것같네요. 본인을 먼저 바꾸세요.
대댓글 1개
2023.02.27
근데 내용을 뜯어보면 투덜 보다는 그냥 막막하니까 쓴 글 같아요 제목은 분명 현명하지 못한듯..
2023.02.23
KCI First Author 라는 말도 웃기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칭찬받고 싶으신 거 같은데 그런 식으로 말하면 무시당해요. 솔직히 말하면 탑컨퍼~aaai를 포함한 bmvc, wacv 등 2티어 컨퍼 1저자 가진 학부생도 드물지만 있습니다. 물론 그런 학생은 또래에 비해 월등한 실적을 가진 거죠. 학벌이 안 좋으면 편입, 반수를 하거나 정상적인 리뷰 프로세스를 거치는 학회에 논문을 출판하는 경험을 해보는 게 본인에게 필요할 겁니다. 본인이 연구하는 연구실에서 1년에 탑컨퍼 실적이 몇편 안 나오겠지만 본인 스스로가 그런 학회에 출판되는 논문 퀄리티에 준하는 논문작성과 연구를 해보세요.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지금 그렇게 혼자 꿍해져 있으면 앞으로 연구가 아니라 엔지니어가 되는 게 최선일 겁니다. 기회가 없는 건 아닙니다. 그 시기에 딥러닝 하는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한다고 깔짝거리는 사람은 많지만.. 본인이 그들과 차별화되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하셔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자신감이란 건 격려보다 본인 스스로의 노력과 그에 따른 결실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연구를 위해 밤을 지새우고 스스로 부끄러움 없이 결실을 맺는 노력을 한다면 성공하면 좋지만 실패해도 어느 누구보다 당당한 연구자가 될 것입니다.
대댓글 3개
2023.02.23
오바 자제좀. cvpr eccv iccv aaai에 무슨 학부생이 1저자로;;
2023.02.24
제가 학부 때 말씀하신 1티어 학회 중에 한곳에 투고한 경험이 있었고 미국 유학 왔습니다. 그리고 최소한 aaai 같은 수준의 2티어 1저자는 도전해 볼 만합니다. 당시에 저도 운 좋게 리뷰탈이후 점수가 올라 억셉된것도 한몫했지만 억셉을 떠나 메이저 학회 전체 과정을 겪어보는 것 자체가 큰 밑거름이 될 것이란 건 생각은 변함없습니다. 덧붙이면 저 외에도 해마다 1티어 1저자 publish된 학부생이 드물지만 생기고 있습니다.
쑥스러운 미셸 푸코 *
2023.02.24
탑컨퍼런 했다고 KCI한것에 비해 대단하다고 본인이 느끼겠지만.. 탑교수들이 보면 다 거기서 거기.......
2023.02.24
여기 말 계속 들으면 상위 1%말고는 다 자살해야될판
2023.02.25
인생 망하셨네요.. 안타깝습니다. 라고 써드려야 하는건지 힘내세요 라고 위로받으려고 쓰신건지 잘 모르겠어요.
2023.02.25
대체 22살들이 인생 망했다 뭐했다 하는거 보면 기만 찹니다... 열심히 사시는 거 칭찬합니다. 댓글들 보시면서 앞으로의 진로 고민 하보시면 되겠네요. 화이팅하세요.
2023.02.25
그냥 내가 이렇게 잘났어요 비틱질 같은데 ㅋㅋㅋㅋ 질투받기 좋은 사고방식이네요
2023.02.25
대학생이 무슨 논문 입니까? 딴짓 하지 마시고 방학때도 열심히 학과 공부 예습 하셔서 졸업 등수 1등 목표로 하시고 대학원을 PKS나 해외로 가시고 이후 대학원 코스웍을 끝낸 첫 SCIE급 논문 쓰셔도 충분 합니다. 가장 바보 같은 경우가 학부생이 논문쓴다고 시간 뺏기고(그렇다고 좋은 논문 쓰지도 못하겠지만) 학점 개털돼서 하위권 대학원 진학하는거.. 제가 받는 느낌은 고등학생이 대학 미적분학 1장 이해했는데 2장 이해못했다고 인생 망했어요.. 이런 느낌인데요.
2023.02.25
논문 하나 못 써보고 대학원 입학한 저 같은 경우도 많습니다.
기쁜 임마누엘 칸트*
2023.02.26
같은 글을 읽어도 확실히 느끼는 바가 다르네요 사람마다. 저는 그냥 지금 작성자의 고민요소가 학부출신성분이고, 나름 노력은 해봤지만(KCI 논문 제출(억셉 아닌 걸로 보임) 등) 자신이 해온 게 별 거 아닌 것 같고, 진로고민도 있고, 그냥 그렇게 읽혔는데 말이죠. 일단 동기들도 똑같은 고민 할겁니다. 오히려 동기들은 학부연구생을 하긴 하나요?? 그리고 만약 고민조차 안한다면, 작성자분이 한참 더 나은 겁니다. 이것저것 찾아서 대회도 해보고 하는 거 석박때도 교수가 권유 안하면 스스로 못하는 사람들 널렸어요. 나름 ist 대학원인데도. 뭐 필요가 없어서일수도 있지만, 스스로 못할 것 같은 사람 많아요 ㅎ. 그냥 그 고민이 지금 30대 40대 50대인 사람도 그 나이에 한 고민일거고, 그런 고민이 든다고 해서 인생이 잘못되었다거나 이렇게 되지는 않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은 여러 사람들이 말해주었지만 역시 학부에서 대학원을 갈거면 성적을 최대한 높이시고, 해당 대학에서 잘 가는 회사가 있다고 하면 그 회사쪽으로 알아보고 직무적합성이 높은 뭔가 내세울만한 경험을 더 해보세요.
2023.02.27
지잡 중소기업 사장입니다. 개발자를 찾고 있습니다. 하버드건 지방대건 상관없습니다. 실력과 의지만 중요합니다.
2023.02.27
작성자랑 동갑인데 어이가 없어 댓글답니다. 지방대 나왔다고 인생 망한거면 우리나라 사람들 80%는 다 망했겠네요? 그런 마인드로 인생을 살아가는데 어떻게 일이 잘 풀리겠습니까. 인생 망할까봐 겁나면 지금 백만원이든 천만원이든 꼬라박아서 학벌부터 올려야죠.
2023.03.02
22살에 인생이 어캐망함
2023.03.03
요즘 보면 과하게 영어 쓰는데 반지성주의도 문제지만 스노비즘도 엄청난 문제인듯. 아니 대학원 생활 기준으로 더 문제같음.
2023.08.01
22살 강태공
2023.10.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걸 망했다고 하는거보면 더한 하위레벨들한텐 인간취급도 안하겠네 ㅋㅋㅋ
2024.05.03
22살 벤츠 A클래스 중고 당일한도 4000만원 풀할부 엄지척! 이런 거 생각하고 헐레벌떡 왔는데 아쉽ㅎ
2023.02.22
대댓글 1개
2023.02.27
2023.02.22
2023.02.22
대댓글 1개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2
2023.02.23
대댓글 1개
2023.02.25
2023.02.23
2023.02.23
2023.02.23
대댓글 1개
2023.02.23
2023.02.23
대댓글 1개
2023.02.27
2023.02.23
대댓글 3개
2023.02.23
2023.02.24
2023.02.24
2023.02.24
2023.02.25
2023.02.25
2023.02.25
2023.02.25
2023.02.25
2023.02.26
2023.02.27
2023.02.27
2023.03.02
2023.03.03
2023.08.01
2023.10.14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