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랩 사람들이 모두 번역기를 사용하네요

용감한 버지니아 울프*

2023.03.09

46

8548

뜨거워서 글삭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6개

2023.03.09

ㅋㅋ요즘은 chat gpt가 훨씬 잘해주는데 권해보세요

2023.03.09

신경 쓰실필요없습니다.

본인만 잘하면됩니다.

chatgpt 이용한 영어문법 교정정도는 좋은듯 합니다.

2023.03.09

황당하고 한심하다고 느끼시는 것 같네요
본인이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처럼 되지 않도록 노력하시면 좋은 성과 있을 겁니다.

2023.03.10

나도 그러는데....

2023.03.10

저는 제가 쓴 논문만 번역기 돌려봅니다. 그걸 보신게아닐까요?
졸린 알렉산더 벨*

2023.03.10

만약 영어 수준이 안되는사람이 그러는거라면 추후 문제가 생길 여지가 있지만

솔직히 원문으로 읽는데 문제가 안되는사람이라도 번역기 쓰는 경우가 종종 있음
이는 논문 1개 읽을 시간을 30분에서 10분으로 줄여주는 역할을 하기도 함

단순히 번역기 사용이 문제되는건 아니고, 그사람이 영어를 잘 하냐 못하냐로 판단해야됨

대댓글 9개

조용한 로버트 후크*

2023.03.10

번역기를 써야 빨리 읽어진다는게 영어를 못하는거 아닐까요..?
졸린 알렉산더 벨*

2023.03.10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한국에서 초중고, 학사 마친사람이 논문을 볼 때 영어랑 국문 있으면 뭘 더 빨리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함?

아무리 영어를 공부한 사람이라도 한글 영어있으면 한글을 더 쉽고 익숙하게 읽는게 당연한걸
읽은 속도로 잘한다 못한다를 판단하는것도 웃김
조용한 로버트 후크*

2023.03.10

딱히요..? 애초에 모든 전공 용어를 다 영어로만 써왔고, 논문에서 쓰이는 관용구들도 익숙하기 때문에 전 오히려 국문이 읽는데 더 오래걸릴 것 같습니다. 평소에 한글로 된 논문을 읽을 기회가 현저히 적으니까요. (초중고대 다 한국에서 나온 토종입니다).
졸린 알렉산더 벨*

2023.03.10

아.. 예

2023.03.10

로버트 후크 개소리하는데 그거 이미 논문 수두룩함 ㅋㅋㅋ
원어민 vs 대학석박 다 미국에서 하고 연구 영어로 하는 사람 비교해도 독해속도 몇배수준으로 차이남 ㅋㅋㅋ
뭐 본인이 아시아인으로 학석박 MIT 하고 거서 교수하는 사람보다 영어독해가 빠르다고 믿는다면 할말은 없네
조용한 로버트 후크*

2023.03.10

ㄴ 애초에 전공용어를 한글로 뭐라고 하는지 모른다니까요? 논문이 있고 나발이고 모르는데 어떻게 빨리 읽어요 ㅋㅋㅋㅋ
졸린 알렉산더 벨*

2023.03.10

본인 국어 어휘력 부족하다는게 대체 뭐가 자랑이라고 얘기하는지 모르겠네
어쩌라는거임?

IF : 1

2023.03.12

로버트후크는 정말 착각속에 사는구나. 자기 객관화좀 하길
십년 이상 전에 번역본 개판일때 하는 이야기면 모르겠는데, 요새는 국문도 원문 용어랑 다 맞추고, 번역기도 전문 용어 번역 어느정도 커버치는 수준인데.
국어 어휘력 부족할거라는 추측이 신빙성돋네
조용한 로버트 후크*

2023.03.13

ㄴㄴ 국어 어휘력 부족이 아니라.. 애초에 원서로 전공 공부를 하기 때문에 한글로 전공 용어를 뭐라고 하는지 모른다고요. 말귀를 못알아 들으시네 ㅎㅎㅎㅎ

2023.03.10

영어 실력보다 다른게 더 중요한게 많습니다. 번역기로 석박들 무시하지말고 본인 실력부터 쌓으세요

2023.03.10

지금 저 있는 랩도 비슷한 상황이고, 저는 상대적으로 조금 더 오래 있었던 것 같네요. 근데 아예 영어권에서 중 고등학교 학부 다 나온 입장에서 전혀 나쁜 거라고 생각 안 해요. 영어 좀 잘 하는 게 뭐 그리 큰 훈장인가요. 번역기 도움 받아 연구만 잘 하면 그만이지.
조용한 로버트 후크*

2023.03.10

영어 실력으로 남을 무시해선 안되지만, 번역기에 의존해서 글을 읽거나 쓰는 학생들은 "절대로" 독립적인 연구자로 성장할 수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3.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게 ㄹㅇ인데 ㅋㅋ 연구실 나오세요 거기 있는 사람들은 학계에 못 남습니다

2023.03.1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개 한심하다

IF : 2

2023.03.10

조금 이해가 안되는 반응들이 제법 있네요. 다들 80년대 90년대에 대학원 다니신건지...
인문계열도 아니고 이공계라면 연구에 도움이 되는 좋은 툴은 잘 활용해야 합니다.
물론 전적으로 의존하는건 문제겠지만... 그만큼 의존할만큼 번역기가 잘 되는건 아니라서 조금만 생각이 있는 학생들이라면 번역기 도움받아가며 실력 키울 수 있습니다.

학생들 지도하는 입장에서 말하자면 영어도 못하는데 grammarly나 번역기조차 활용안하고 혼자 새로운 문법을 만들어 사용하는 학생들보면 속이 탑니다. 제가 교정해주는것도 한두번이지...

영작 중 막히는 부분들 번역기에 맡기거나, 내가 쓴 문장들 영문법이나 표형 교정용으로 사용하는거는 전혀 문제 없다고 봅니다.
어차피 번역기 한계로 인해 그대로 논문에 사용 못합니다. 그래서 수정에 수정을 반복해야 되죠. 그러면서 라이팅 실력이 자연스럽게 늘어요.
그리고 대부분의 논문 라이팅은 영어실력의 문제가 아니라, 글쓰기의 문제인경우가 많아요. 번역기조차 한국말 글쓰기 실력이 안되면 엉망으로 영작해주는건 다들 알텐데요.

논문 읽을때도 통으로 번역기에 의존하면 문제가 있지만, 부분부분 이해가 안가면 번역기 돌려봐야죠.
번역기 결과물도 학술용어 등은 제대로 번역 못하기 때문에, 그것도 어차피 또 공부해가면서 재해석 해야되요.

2023.03.10

막히는 부분 있으면 돌릴 수 있죠, 특히 영어권 사람들이 쓴 논문은 읽기 쉽지 않은 문장이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논문을 자체적으로 읽어볼려는 노력의 여부이며, 번역기에 '의존'하여 논문을 읽을려 하는 순간 그 분들은 조금은 학계에 있기 힘들지 않나 생각됩니다.

2023.03.10

Spk인데요, 미국에서 10년 넘게 있다 온 선배님도 파파고 참고하십니당ㅋㅋ

자기 자신을 좀 되돌아보세요

대댓글 1개

시끄러운 존 케인즈*

2023.03.10

미국에서 10년간 뭐한건지 되돌아봐야죠

2023.03.10

본인이 내세울만한게 영어실력뿐인게 아니신지ㅠ?

2023.03.10

지금이야 이런 식이지만 나중에는 왜 안 썼나 싶을걸요? ㅋㅋ

대댓글 1개

2023.03.10

부장님 팡션이 생각나네요 ㅋㅋ
시끄러운 존 케인즈*

2023.03.10

논문 읽고 쓰는데 엄청난 영어실력이 필요한것도 아닌데 그정도면 솔직히 전반적인 랩실 수준이 의심됩니다. 아울러 저걸 옹호하는 사람들 영어 수준도 의심되고요. 세련된 영작은 못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논문 읽고 쓰는데 번역기 도움없어도 불편함이 없어야 정상이죠. 얼마나 논문을 안읽어보고 안써봤으면 저정도인가란 생각이 제일 먼저 드네요.

대댓글 7개

2023.03.10

위에 댓글 썼었고, 논문 읽고 쓰는데 번역기 일체 사용 안 하는 사람 입장에서 죄송하지만 동의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혹시 댓글 작성자 분께서 여기시기에 엄청난 영어 실력이 필요한 부분이 어떤 곳일지 여쭤봐도 될까요?

제가 수학했던 환경에서는 보통 영어로 학술적 글쓰기(에세이 및 논문 둘 다 포함)를 하는 걸 고급 영어의 정점으로 많이들 여겼고, 실제 영미권 교육과정 (IB, AP 등)도 여기에 맞춰 보통 짜여져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어쩌면 서로 간에 영어 실력의 정의 및 구성 요소에 대해 인식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 이 글에서 열띤 반응이 나오는 것도 그래서일지도요.
졸린 알렉산더 벨*

2023.03.10

난독증임? 댓글에는 "기본적으로 영어가 가능하더라도 번역기를 동반하는게 더 효율적이다" 인데

논문 읽고 쓰는데 불편함에 대한 논의는 있던적이 없음. 제발 댓글을 제대로 읽고 글을 쓰길 바람
국어도 제대로 못하는사람이 영어를 논하는게 대체 무슨 의미가 있누?
시끄러운 존 케인즈*

2023.03.11

졸린 알렉산더 벨// 번역기가 있어야 효율적인거 자체가 기본적인 영어가 안되는거다. 멍청하긴
졸린 알렉산더 벨*

2023.03.12

계산할때 계산기 쓰는사람한테 수학 수준보소.. 수학을 ㅈㄴ 못하니까 계산기를 쓰는거다 이딴소리 할꺼임?
정신차려
시끄러운 존 케인즈*

2023.03.12

졸린 알렉산더 벨// 병신아 넌 암산을 해야 효율적인것도 계산기 두드리겠다고 하는 소리지.. 비유하는 수준을 보니 영어만 못하는게 아니구나
졸린 알렉산더 벨*

2023.03.13

병신은 ㅇㅈㄹ 본인 인성수준 부족하다는걸 자랑하네
해외나가면 단순한 곱하기에 계산기쓰는 연구자가 널려있는데 해외 연구자는 다 병신임? 수준떨어진다 진짜

알량한 본인 경험으로 암산 예시드는데 그게 일반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가정은 하지도않는 편협한 시야로 무슨 연구를 하겠다고?
시끄러운 존 케인즈*

2023.03.14

졸린 알렉산더 벨// 아 미안. 진리 탐구를 오래 했더니 헛소리를 보면 욕부터 튀어 나와서 그랬어. 효율 좋아하는 것 같은데 정말 효율을 높이려면 넌 대학원 휴학하고 영어 공부부터 하고 오는게 훨씬 효율적일 것 같다.

2023.03.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인문학 서적도 아니고 공대에서 그러면 좀 한심하긴 함

2023.03.11

ㅇㅇ

2023.03.11

난 툴 활용해서 영어 부문에서 도움 받는게 왜 문제인지 이해가 안가네

영어 논문은 영어 실력, 글쓰기 능력, 리서치 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봐야함

미국에서 석사 박사 교수 생활하고 SSCI 20편 가까이 쓰고 서울권에서 교수 생활하지만 이 부문에 대해 다들 잘 못 생각하는 거 같아 이상함

연구자로써 가장 중요한 능력은 리서치 능력>글쓰기 능력>영어 능력 순으로 생각됨

물론 영어 논문 작성에서 세 가지 모두 필요하지만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데 영어 활용에 도움 받늗게 이상한가

미국 생활하면서 글쓰기나 연구 능력 안되는데 영어로 잘난척하는 미국 박사들 가끔씩 봤는데 비영어권에서 서로 영어가지고 잘난척하는 것도 이상하네

하긴 한국 사람들끼리 수업이나 학회에서 영어가지고 기죽이려고 서로 달려드니 할 말은 없지만

결국 개인편차는 있지마 비영어권 학자들은 영어로 인한 장벽은 다 가지고 있는 건데 그 안에서 서로 비교하는게 의미 있는 건가 모르겠네

대댓글 1개

2023.03.12

교수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이 글에서 언급되는
번역기의 합리적(?) 또는 실용적인 사용에도 태클을 걸고 싶지 않지만
다른 글에서 본 극단적인 예들은 조금 충격적이더군요.. 그러한 예들은
1) 논문 전체 드래그해서 번역기 돌린 후에 읽기
2) 논문 라이팅 시, 한글로 작성한 후 번역기 돌리기
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3.03.11

그냥 번역기를 써서 효율이 좋으면 되는 거죠. 원어민이 아닌 이상 영어 자체에 대한 부담은 어쩔 수 없고, 그걸을 최신 툴로 보완하는 겁니다.

물론 영어를 잘 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아도 연구를 바라보는 시야, 통찰력, 실험 능력이 갖추어져 있다면, 영어는 큰 장애물이 되지 않는 시대가 오고 있어요.
똑똑한 게오르크 헤겔*

2023.03.12

저는 문사철이라서 이공계랑 상황이 다르긴한데 번역기를 외국어 아예 몰라서 쓰는거 아녜요. 아무리 외국어실력이 좋아도 모국어가 더 편하고 어차피 문맥이 이상하게 번역돼도 그런 부분만 주의해서 잘 읽는거죠.

2023.03.12

연구자는 다룰 수 있는 모든것을 최대한 활용해서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고 소개하면 되는것 입니다.

2023.03.13

영어는 거들 뿐

2023.03.13

그건 부끄러운게 아님. 아무리 영어를 잘하더라도, 복잡하게 풀어쓴 문장은 읽기 어려운게 현실임

대댓글 1개

2023.03.13

진짜로, 어학능력 시험에서 가장 쉬운게 Reading 이라지만 가장 어렵게 출제될 수 있는것도 Reading임.. 문장구성 원어민 좆대로 바꾸면 같은 현지인도 제대로 못알아 보는게 정상이다. ㅇㄱㄹㅇ임

2023.08.19

한글번역한걸로 읽으면 어차피 문장이 더 망가져서.. 다시 원문으로 봐야됨.. 조금 힘들더라도 읽고쓰는거 연습을 해야되는데 번역기 gpt에 의존하면 나중에 곤란한 상황이 올지도 모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