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학연생과 UST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

2023.03.19

16

8210

소속된 기관을 떠나며 느낀 점들을 써내려가봅니다.
장점보단 단점이 훨씬 크다고 생각합니다.

1. 박사들의 실력과 열정
: '평균'적인 퍼포먼스가 교수보다 못함 (KIST는 교수와 견줌 / + 그 외 몇몇 박사님들). 설렁설렁해도 짤리지 않아서 논문과 특허에 대한 열정이 낮고, 과제 수행에 중점을 맞춤. (단, 학교로 이직을 염두하고 있는 박사는 논문과 특허 실적관리를 열심히 함. / 좋은 박사를 만나야 함.)

2. 학생들의 진학 난이도
: YK로의 학연과정이나 UST 진학난이도가 상당히 낮은 편. YK 인기랩 풀타임은 진학하기 어렵지만, 학연으로의 진학은 매우 쉬움. 최종 학위장은 같으나 실적이나 연구적인 퍼포먼스에서 같을 수가 없음. 이 사실을 다들 알고 있음으로 취업이나 학계 진출 과정에서 심사자 입장에서 저평가할 수 밖에 없는 것. 경험상, 연구적인 성장보다 '학위가 목적'인 학생들이 많았음.
정출연 박사들도 보통 학위를 학교에서 하고, 기업체나 포닥을 다녀온 후, 채용된 사실을 토대로 연구자는 학교에서 성장하기 알맞음을 알 수 있음.

단 두 개만 적었지만, 가장 major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값비싼 공용 장비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다는 점을 장점을 뽑는데, 연구는 장비보다 advisor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취업 생각이 있으신 분들은 석사과정까지는 좋은 것 같아요. 다만, 박사는 학교에서 추천합니다.
* 위 과정에 속해서 열심히 하는 분들(박사님들, 학생들)도 있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평균' 이 그렇다는 글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겁먹은 알프레드 노벨

IF : 1

2023.03.19

공감합니다.
왠만하면 30-40대 초반 얄정있는 박사님을 만나는게 좋고, 아웃풋잘내는 연구실이면 ust특성상 TO가 적어서 들어가기 힘드니 여러모로 어렵고 복불복이 큰듯

대댓글 1개

2023.03.19

맞습니다.
30-40초 열정과 실력있는 지도박사님을 스스로 컨택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보통의 학사에서 석사 진학 시, 정보와 경험의 부재로 이 부분에서 실수를 많이 하지요.
눈치보는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3.03.19

목적 자체가 정출연 연구원들 좀 더 편하게 해주려고 만든거니 한계도 명확한거 같네요

대댓글 1개

2023.03.19

어떻게보면 정출연 연구원은 교수보단 못해도, 그래도 학교에서 박사마치고, 안정적인 직장가진 승자입니다.
하지만, 학연orUST 박사가 정출연을 갈 수 있는가? 이건 힘들다고 봐야죠.

2023.03.19

공감합니다.
그리고 학생 입장에서, 지도박사님에 대해 "지도"라는 타이틀은 못느끼겠고 나보다 좀 더 경험쌓은 사수 느낌이 듭니다.
학자에 대한 존경심 없음.
학생취급은 안하고 전반적으로 인력취급.
그렇다고 인력에게 업무 협업을 잘해주냐 하면 그것은 또 아님. 과제 일정, 사업계획서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갑자기 어떤 실험을 해서 어떤 데이터를 달라고함. 환장...
애초에 본인이 학생을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학생 받은것일텐데, 석사때 교수님 보고 싶어지고 미화될 정도로 정출연 학연과정을 누가 한다고하면 적극 말리고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3.19

맞아요.
학자 행세는 하지만 나보다 실험 경험 많은 선배 같습니다. 그저, 타학교 교수 연구를 풍부한 공용장비 이용해서 데이터 한 두개 만들어주고, 공저자 들어가려는 심보가 고약합니다 정말.
혼자 last corresponding author 달고는 탑저널 꿈도 못 꾸니, 현명한 선택인가 싶기도하고.
겁먹은 리처드 파인만*

2023.03.19

학교도 분야에 맞춰 찾고찾아도 운빨이 심한편인데 학연은 더심한듯. 특히 김박사넷에서 검색조차안되는 박사도 많음.

대댓글 1개

2023.03.19

교수 인품은 운빨이지만, 나름 알려진 대학교이기만 해도 실력은 검증된거라 연구는 괜찮은 분야로 할 수 있어요.

근데, 정출연은 인품도 운빨이고, 실력도 운빨이니..
정출연에서 IF 10이상을 매년 꾸준히 내는 박사다?
이 정도만 되어도 그 연구소 보물입니다.
어드머 자매지면 말할 것도 없구요.

2023.03.19

안녕하세요 현재 정출연학연 1학기 석사생입니다.. 저 같은 경우 팀분위기가 사수도 없고 아직 장비사용법 하나 못 배운 방치형이라 이제 막 입학한 석사입장으로 굉장히 혼란스럽니다..

석사졸업후 취업예정인데 추후 취업시 잘 될거라는 확신이라도 있으면 어찌 버티겠는데 그러한 확신도 없어서 자퇴를해야하나 많이 혼란스럽습니다ㅜㅜ

실례가 안된다면 학연과정의 장단점을 조금 더 말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대댓글 2개

2023.03.19

장점은 거의 없습니다.
진짜 솔직히 '돈', '학위' 인데,
돈 많이 받아도 IST는 전액장학금에 인건비 받죠?
종합대학 중 잘나가는 랩실이랑 비교하면 그 '돈'도 장점이 아니게 됩니다.
학위는 앞서 말한 것처럼, YK 갈 실력이 안되는데, YK 졸업장이 가지고 싶다? 이럴 때는 메리트라고 봅니다. 풀타임 YK보단 저평가받지만, 나름 취업은 되더군요.
이렇게 되면 UST는 참 애매한 포지션이죠.

단점은 윗 내용과 같습니다.

2023.03.19

답변 감사드립니다..
저같은 경우 ist에서 인턴 후 지역적인 개인사정으로 분야만 맞춰 yk학연으로 입학한 경우인데, 말씀 들어보니 고민이
깊어집니다ㅎㅎ,,
재치있는 프리모 레비*

2023.03.21

정출연 연구원인데, 동감합니다. 석사는 괜춘, 박사는 그닥.

대댓글 1개

2023.03.21

사실 석사도 학교가 더 나은데, 한다고 하면 뜯어말릴 정도는 아닌거 같습니다.

2023.11.04

현재 정출연에서 석사 학연과정으로 지내고 있는데, 1, 2 다 공감되는 내용입니다.

과제 따로 연구주제 따로인데 지도박사님은 제 연구주제보단 과제에 더 관심 많으시고, 제 연구주제는 궁금해하지도 않으시더라구요.

저는 학교 소속 랩실이 장비가 많이 열악한 탓에 오게된거지만, 그렇지 않은 랩실이라면 학교가 더 좋은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2023.11.05

사실 연구는 장비빨도 있지만, 장비 없는 랩실도 타학교 공용장비센터 이용하면 되어서 별 문제는 안되더라구요
PI의 실력, 인품 및 연구아이디어가 제일 중요합니다.

2024.04.09

안녕하세요 지금 학연과정때메 고민중인데 취업용 석사라면 추천하시는걸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