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가다, 공부는 못했는데 남다른 연구적 직관으로 주제를 잘찾아 성공한 케이스가있다고 교수님이나 박사님들한테 듣긴했는데
아무리 나는 해봐도 직관이라는게 잘 안됨. 논문 하나 읽으면 거기에 대한 간단한 응용정도 이렇게 해볼까? 이런건데
신박한 생각은 어떻게 해야 나오는 걸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3.03.20
연구적 직관도 결국 본인이 알고 있는 것을 기반으로 나온다고 생각해서... 공부 잘하고 못하고 보다는 자기 분야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느냐가 중요한 듯? 다른 분야로도 박식하면 새 관점을 도출해낼 수도 있고
IF : 1
2023.03.20
적게 읽어도 아이디어를 잘 내는 사람들이 있음. 그게 직관적 사고가 가능한거같음
2023.03.20
그 직관이란게 뛰어난 학생들을 옆에서 본 적이 많이 있는데 그런 생각을 해 본적이 없는 사람 입장에서 놀라서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는지 물어보면 항상 너무나 당연한 생각처럼 말하더군요.
처음에는 겸손인줄 알았는데 지나고 보니 겸손이 아니라, 어쩌면 한 주제에 대해 오래 고민하고, 그걸 이해하기 위해 많은 논문을 읽고, 연구 진행 중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면 당연하게 나오는 결론이겠거니 생각합니다.
수학에는 왕도란 없다 라는 말이 있죠. 근데 그게 수학뿐 아니라 연구에도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왕도란 없어요. 직관이란 하루아침에 떡 하고 튀어나오는게 아니라, 그냥 오래 고민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기를 주저하지 않으며, 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꺼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을때 비로소 나오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2023.03.20
어쩌면, 그런 과정을 지켜보지 못한 제 3자가 보기엔 그냥 감이 좋아서, 직관이 좋아서 인것처럼 보이는거죠.
2023.03.21
그냥 뛰어난 사람들이 있죠. 그거 열심히 한다고 되는 거 아닙니다.
눈치보는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3.03.20
직관이라는게, 정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팟 하고 오거나 아니면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란 뒤 정리해서 제안하는 것일 수 있으나, 3자는 그걸 모름.
하지만 어느쪽이든 본인의 실력 및 재능이겠지
2023.03.20
나도 존나 멍청한데 직관? 아이디어는 잘 찾음. 근데 아이디어라는게 결국 자기가 아는 것에서 나오는거거든. 그냥 논문을 존나 읽어. 그냥 조금이라도 관련 있으면다 읽는게 좋음. 너랑 진짜 관련 없을 것 같은 논문에서 아이디어가 나옴.
2023.03.20
2023.03.20
2023.03.20
대댓글 2개
2023.03.20
2023.03.21
2023.03.20
2023.03.20
2023.03.20
2023.03.20
2023.03.21
2023.03.21
2023.03.21
2023.03.23
2023.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