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찐따세요? 알잘딱갈센 좀 하세요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23 - 그런 고민은 진지한 관계가 된 다음에나 시작하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5 - 보통 동양인 남자는 다른 인종에게 인기가 정말 없습니다. 이성으로 볼 확률은 희박하니 (우리가 흑인 여자 보는것과 비슷하려나요) 괜히 상처주지 마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0 - 구글이나 유튜브에 asian guy invisible만 쳐도 끝없이 쏟아져나옵니다. 데이팅앱에서 가장 좋아요를 적게 받는 그룹도 asian male이고요. 저도 동양인 남자지만 자기객관화는 해야죠...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0 - 글쓴이 마음 씀씀이가 훌륭하네요. 하지만 글쓴이가 태어나고 그것으로 인해 어머니가 많은 것을 포기한 것은 글쓴이 때문이 아니라 어머니 자신의 인생의 선택입니다. 글쓴이가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 건 아니니까요. 저의 부모님은 입버릇 처럼 너네만 아니였으면 자신들이 더 배움의 기회도 가지고 있었고 둥둥 하소연을 많이 하셨습니다. 저도 부모님의 노고와 희생에는 감사하면서 살아가고 있지만, 우리 때문에 인생을 희생했다는 논리는 받아들이기가 어렵습니다. 저도 아이를 키우고 있지만 이 희생과 정성은 저의 선택이며, 아이 때문은 아닙니다. 저의 아이는 오로지 저의 선택의 결과이며 제가 그에 대한 희생을 기꺼이 받아들일 뿐입니다. 글쓴이도 훌륭한 사람 되셔서 나중에 다음 세대에게 그리고 후배들에게 좋은 밑거름이 되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희생이 이전 세대의 일부가 그래왔던 것 처럼 너네 때문이야 라고 합리화만 안하면 더 사회가 훌륭해 질 것 같습니다.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64 - 연구자의 인생주기를 보면 조교수때 가장 열심히 해서 부교수때 최고치를 찍고 정교수 되면 내리막이 되기는 합니다. 이는 몸이 노화되고.. 정교수가 될 때 쯤해서 자식들 문제와 부모님이 아프신 문제 등등 사회개인적으로 가장 삶이 복잡한 시기 입니다. 복잡한 시기에 몸의 노화가 같이 오니 보통은 지도도 같이 떨어 집니다. 글쓴이 들의 문제는 미국도 마찬가지고 어디서 박사를 하든 발생하는 문제 입니다. 지도교수가 아주 디테일하게 팔로업을 안 하면 생기는 문제인데, 결국엔 본인이 챙겨야 합니다.
교수님이 역량 부족해보여요
27 - 교수 임용에도 여성가산점이 추가되는것도 너무 불합리한 것 같음
남자들 군대가는게 커리어적으로 진짜 개손해다
12 - 더 많은 시간 투자하니깐 더 잘하는겁니다. 잘하는데 늦게까지도 하는게 아니라.
근무 시간, 연구실적 때문에 동기랑 비교 됩니다
10 - 카이스트 학석이면 서류는 프리패슨데;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16 - 학벌 가장 많이 보는 하닉이요? 반도체 쪽이 아닌거 아닌가요 그냥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9 - 반도체 취업시장이 워낙 망하긴했는데 카이스트 학석이 서탈이란건 좀ㅋㅋ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14 - 카석사생들 현실부정하네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18 - 초년생들이 많이들 하는 실수가 본인이 노력해서 얻은 데이터 및 산출물이니 그것들이 본인 것이라 착각한다는 부분이죠. 어디에 소속되어 작업한 결과는 본인 것이 아니라 소속 기관의 것입니다. PI가 데이터 공유 및 공저자 추가를 지시했다고 기분 나빠할 이유가 없습니다.
석졸 예정인데 이런 걸로 기분나빠하면 안되겠죠? (동기에게 제 데이터 공유 및 양도)
12
포공 개맞고있네
2023.04.18

근데 자기들 인생이니 뭐 이게 나쁜건 아니라고 봄.
그래도 좀 안타까워서 장점 몇개만 적고 갈게.
포공 망할거라고 하는데 망하지는 않을 듯. 한국이 지방 버리는거 아니면?
포공도 슬슬 떨어지고 있다고 해도 자대 학생 중 과학고에서 온 애들 많고, 걔들이 또 대부분 대학원을 감. 그래서 지금도 포공 연구실적은 계속 유지되고 있고? 그리고 서울 애들이 포항공대 안온다고 해도 타지에서 과탑한 애들이 지원 많이하고 있는 실정이라 어느정도 유지는 될 것 같음. 우리과만해도 정상적으로 들어오려면 지거국 과탑해야 뽑고 있고
졸업생에 대우가 다름.
선배들한테 물어봐봐. 특히 대학원인 경우면 SPK 장점이 어마어마함. 프레시 박사로 회사를 간다? SPK 대우가 다른 대학이랑 다른건 다들 알고 있지 않나? 이건 뭐...
인맥도 다름.
난 사실 이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학계로 갈지 산업계로 갈지는 모르는데. 인맥은 언제나 중요해. 특히, 학계면? 말을 못하지.
논외로 YK에서 탑급 교수님이면 YK 가는 것도 좋음. 단 이건 학계로 갈 생각이고 산업계 갈거면 SPK 가야지. 시작점이 다른데. 사실 돈벌러 회사 가는건데 그 시작점이 많이 달라. 그런데 탑급이 아니시면 SPK가 무조건 좋음.
뭐 이건 일반적인 얘기고 YK 교수님이 어떤 회사랑 연줄이 있으시거나? 뭐 특별하게 YK가 더 좋은 선택일 수는 있음. 근데 이런거 아니고 그냥 지방 무서운거면 단기간의 두려움이 SPK 대우를 버릴 정도인지 생각해 볼 필요는 있는듯? 다들 군대 갔다 왔는데 그냥 좀 타지생활도 괜찮지 않나?
-
94 17 15311
포항공대 장점 김GPT 43 26 14472
포스텍이 오지는 이유 김GPT 60 67 19073
연세대 포항공대 김GPT 71 40 14046
서울대 VS 포항공대 김GPT 6 35 5928
포항공대 관련 팩트 알려준다 김GPT 36 65 17994-
0 3 7445 -
23 9 11420
자꾸 포항공대한테 연대따리가 깝치는데 김GPT 56 31 14832
아즈매와 마음 건강 명예의전당 80 20 10813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명예의전당 166 10 29673-
97 32 5958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141 - 연구실 고를 때 몇 가지 위험신호들
60 - 대학원 오지 마세요 제발 경고합니다
171 - 대학원을 왔는데 생각과 많이 다릅니다.
19 - 이재x xxx. ㅅcㄲ 좋냐?
41 - 연구실 빌런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99 - 신임 교수를 뒤에서 욕하는 인간 부류 제일 경계하고 조심해야함.
21 -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5 - "외대" 라고 하면 어디가 먼저 떠오르나요?
20 - 교수님이 역량 부족해보여요
29 - 남자들 군대가는게 커리어적으로 진짜 개손해다
23 - 신임 교수 연구실 선택 시 유의점
1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인턴을 하면서 타대에 원서 넣기
36 - 중경외시 4.0/4.5 spk 서류탈인가요
11 - 근무 시간, 연구실적 때문에 동기랑 비교 됩니다
16 - 일본 대학원 석사 희망하는데 잘아시는분 질문드립니다ㅜㅜ
6 - 박사 지원할때 이민 계획 말씀드려도 되나요
8 - 내향형 연구자의 눈물…
12 -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13 - 아키텍처 분야 어떤가요?
6 - 석졸 예정인데 이런 걸로 기분나빠하면 안되겠죠? (동기에게 제 데이터 공유 및 양도)
18 - yk ssh 이공계분들 월급 얼마 받으시나요?
21 - 타임머신
5 -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연락하는 것인지...
7 - 공대 박사 주저자 논문이 없어요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해외 유학에서 미국뽕이 극심한 이유
37 -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3 - 미국 유학/ 전반적인 팁
28 -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141 - 대학원 오지 마세요 제발 경고합니다
171 - 대학원을 왔는데 생각과 많이 다릅니다.
19 - 이재x xxx. ㅅcㄲ 좋냐?
41 - 연구실 빌런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99 -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5 - 교수님이 역량 부족해보여요
29 - 남자들 군대가는게 커리어적으로 진짜 개손해다
23 - 신임 교수 연구실 선택 시 유의점
1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9 - 박사 펀딩 오퍼 받았는데 생활 가능할까요?
23 - 미국 CS 대학원 유학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필요합니다.
10 - 인턴을 하면서 타대에 원서 넣기
36 - 근무 시간, 연구실적 때문에 동기랑 비교 됩니다
16 - 박사 지원할때 이민 계획 말씀드려도 되나요
8 - 내향형 연구자의 눈물…
12 - 취업 시장 장난 아니네요
13 - 아키텍처 분야 어떤가요?
6 - 석졸 예정인데 이런 걸로 기분나빠하면 안되겠죠? (동기에게 제 데이터 공유 및 양도)
18 - yk ssh 이공계분들 월급 얼마 받으시나요?
21 -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연락하는 것인지...
7 - 공대 박사 주저자 논문이 없어요
10

미국 대학원 박사과정 합격률은 평균 12% 입니다.
합격률을 최소 3배 끌어올리는 밋업에 참석하세요:)
2023.04.18
대댓글 17개
2023.04.18
대댓글 2개
2023.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