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서카포중 하나인 졸업을 앞둔 학부생 입니다. 저는 우선, 수학을 좋아합니다 ㅎㅎ ai대학원에서 학부연구생으로 연구 경험도 있고, 학점은 4.0/4.5 입니다. 논문도 ai분야 1저자로 제출중에 있습니다. 그래서 둘다 합격은 될 것 같습니다. 컨택도 어느정도 되어 있고요.
현재 카이스트 ai 대학원과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진학중에 고민이 있습니다. 우선, ai분야는 알고리즘을 공부하는건 재미가 있습니다. 다만, 제가 코딩에 대해 무서움이 조금 있는데, 이 부분은 제가 열심히 노력하면 극복 가능할거이라 생각이 듭니다. 프로그래밍 수업도 어느정도 들었고요. 다만, 이 분야가 정말로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고, 제가 5년전에 이 분야로 박사를 하면, 정말로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경쟁이 너무 치열하여서, 저만의 novelty를 가지기가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고 있습니다.
저는 ai분야가 본격적으로 사업화에 들어간건 별로 안되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이에 따른 데이터가 앞으로 폭발적으로 많이 늘 것이라는 생각이 들고, ai를 이용하여서 ai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업에 대해 연구를 하는건 ai 자체를 연구하는 것 보다는 저만의 차별성을 만들 수 있지 않을 수 있을까 조심스럽게 기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저는 쫌 더 시간이 지나도 근본적인 것에 대해서 연구하고 싶은 생각도 있습니다. 만약에 ai를 전공했다가 인기가 확 시들어진다면, 아무래도 저의 시장가치가 너무나도 낮아질 수 있지 않을까...하지만 그때는 이미 이 분야 전공한 경쟁자도 굉장히 많은 상태일 테니까 너무나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분석하고 산업경영을 분석하는건 트랜드를 잘 이용하면서 꾸준히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해봅니다.
제가 사실 본질적으로 좋아하는걸 연구하는게 가장 좋지만, 지금 ai연구는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저의 지식은 너무나도 얕기에 진짜 제가 박사를 진학해서 하는 공부는 다를 것이고, 그때 느끼는 ai는 다를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부족한 저에게 좋은말,쓴말 모두 감사하게 받아들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3.04.29
> 경쟁이 너무 치열하여서, 저만의 novelty를 가지기가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고 있습니다.
비전이랑 NLP만 그렇지 다른 세부분야는 아직 할만 해요.
대댓글 2개
2023.04.29
수학 좋아하고 코딩을 피하고 싶으시면 이론 연구가 딱 맞을 수 있습니다. 게다가 stochastic gradient descent 같은건 현재는 모든 머신러닝 알고리즘들을 지탱하는 근본이니까 본질적인걸 하고 싶으신 것에도 맞을 것 같네요
2023.04.29
앗 지금은 제가 비전연구를 해서 그렇게 많이 느끼는 것 같습니다....허허헣
2023.04.29
벌써 AI로 논문도 내셨는데 AI가 낫지 않을까요? AI 포화는 비전이랑 자연어처리 이야기고 AI 접목분야는 무궁무진하고 가능성도 많아요. 코딩은 애초에 툴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닐 뿐더러 이론이 더 중요합니다. Gpt 기술이 너무 좋아져서 단순 코딩 능력의 필요성이 점점 떨어지는 것 같기도 하고요
2023.04.29
AI대학원(겸직연구실 포함)에서 관심가는 분야 연구하는 연구실 찾아보시고 도통 없다 싶으면 경영공학부 생각해 보시는거 추천드릴게요.
근데 사실 제일 추천드리는 건 유학이에요. 학부 SKP에 1저자까지 있고 학점마저 solid한데 이건 미박 안가면 아까운 스펙이죠. 연구실 서칭의 폭을 해외까지 넓혀보시는걸 가장 강력히 추천드릴게요.
대댓글 1개
2023.04.29
앗 제가 gre 공부를 따로 안했어서요 ㅎㅎ 그리고 논문도 지금 1저자가 붙은건 아니고 결과가 안나와서요. 그런데 시야를 넓히는건 저에게 너무나도 필요한 말이네요. 대단히 감사합니다
2023.04.29
둘중 고르라면 그나마 AI가 나을 듯 합니다
대댓글 2개
2023.04.29
혹시 이유를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2023.04.29
AI는 우리나라가 쫌 하는데 경영은 개못해서 나중에 MBA 나가는게 좋지 않을까 해서요
쑥스러운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3.04.29
산공과나 자연대(수,물) 베이스면 전 ai추천 일단 레드오션인건 맞는데 그만큼 일자리가 많기도 하고 ai대학원에서 오히려 이론쪽으로 연구하기좋을거같은데요 경공보다.
대댓글 1개
2023.04.29
앗 전기및전자공학과 이기는 합니다 ㅎㅎ
2023.04.29
NLP는 아직 블루오션임. 한국에서 매년 배출되는 분야별 박사 졸업생 수 확인 ㄱ
2023.04.29
근데 4.5 만점인 곳이 어디에요? 포공 4.5인가
대댓글 3개
2023.04.30
4.5 만점 아니어도 환산해서 말하는 사람 꽤 있을거임 일단 내가 그래서
2023.05.01
그...서카포중 하나 맞고요... 굳이 머 변명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하지만 오해가 있을 수 있으니 얘기하겠습니다. 저는 4.3만점 학교고요, 다른학교 두 곳이 4.3만점일지 4.5 만점일지 몰라서 4.5만점으로 얘기했습니다. 학교가 밝혀지는걸 피할려고 그렇게 했습니다.
2023.05.01
서포카 전부 4.3으로알고있는데, 4.5로 말해서 당황했네요. 애초에 학점 환산법 자체가 달라서, 4.5기준으로 말한걸 본적이 없어서요.. 저도 카이스트에서 학위받았는데 4.5로 환산해본적 자체가 없어서 좀 당황했어요.. ㅎㅎ 그냥 개인적으로 조금 참신했습니다.
심심한 안톤 체호프*
2023.04.29
서카포인데 학점이 4.5만점이라는거에서 거름
대댓글 2개
2023.04.30
4.5로 환산하면 더 높아지니까 한거 기준으로 쓸수 있지 ㅋㅋㅋ 나도 4.3대학인데 4.5 환산하면 훨 좋아보이니 환산한거 쓰는데. 김박사넷에서 4.5기준이라고 말 안하고 분자만 띡 써놓는 경우도 많고 하니 4.3 기준으로 했다가 낮아보일바에야 환산한걸로 쓰지 실제 대학원 서류 낼때도 환산점수로 입력할수도 있고
2023.05.01
그...서카포중 하나 맞고요... 굳이 머 변명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하지만 오해가 있을 수 있으니 얘기하겠습니다. 저는 4.3만점 학교고요, 다른학교 두 곳이 4.3만점일지 4.5 만점일지 몰라서 4.5만점으로 얘기했습니다. 학교가 밝혀지는걸 피할려고 그렇게 했습니다.
2023.04.30
그... 서카포가 왜 만점이 4.5임?
대댓글 7개
2023.04.30
내가 써놓은 걸로 충분히 설명이 될 것 같은데 아닌가?
2023.04.30
못 봐서 쓰긴 했는데 솔직히 이해 안감... 대학원 갈 거면 쓸 데도 없는데 왜
2023.04.30
여기 사람들이 다 4.3 만점으로 얘기했으면 몰라 4.5 만점으로 얘기하는 사람들 많은 와중에 나도 4.5로 환산해서 말해버리면 더 높아보이고 좋지
심심한 안톤 체호프*
2023.04.30
서포카 학부생들은 만점이 4.5인 학교가 있는것도 모를듯
2023.04.30
ㅋㅋㅋㅋ 애초에 글쓴이는 4.5 학점이 난무하는 김박사넷의 유저이고 나만해도 skp는 아니어도 4.3 대학인데 학교 포털에서 성적표 발급받을때라던지 학점계산기 기능 쓸 때 4.5 계속 마주쳐서 skp학생이라고 다를지는 좀 ㅋㅋㅋ 다른걸로 트집잡으면 모를까 4.5로 썼다고 트집잡는건 이상한듯 ㅋㅋㅋ 3.7/4.3보다 4.0/4.5가 훨 나아보이잖아 깔끔하게 4.0으로 떨어지기도 하고. 김박사넷에서 통상적으로 괜찮은 학점의 기준치 삼아 4.0 이럴때는 4.5 만점으로 이야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도 하니
2023.05.01
그...서카포중 하나 맞고요... 굳이 머 변명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하지만 오해가 있을 수 있으니 얘기하겠습니다. 저는 4.3만점 학교고요, 다른학교 두 곳이 4.3만점일지 4.5 만점일지 몰라서 4.5만점으로 얘기했습니다. 학교가 밝혀지는걸 피할려고 그렇게 했습니다.
2023.05.01
굳이 언급드리자면, spk에서는 애초에 4.5로 굳이 변환할 상황이 적긴하죠.. 저도 그런점에서 참신하다고 생각했고요. 단순히 4.3학점 *4.5/4.3이 아니다보니, 수업학점별로 전부 4.5 환산법으로 변경해야되는데.. 조금 복잡하기도해서 한번도 4.5로 변환해본적이 없었어요. 사실 아마 spk많은학생들이면 4.5환산해본 학생이 적긴할것 같습니다. 언급하신것처럼 대학원 입시 준비하시고, 학교 밝혀지는걸 감안(애초에 spk가 다 4.3이라서 의미는 없지만.. 혹시 다르게알고계셨을수도있기에)하셔서 4.5로 하신것같은데 신선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으로는, 경영대학원이든 ai든 본인 앞길 잘 고려해서 선택해보세요. 금공이든 경영대학원이든 서울에 있기도하고 아예 다른개념이다보니, 두개를 고민한 경우는 주변에서 많이는 못봤네요.. ㅎㅎ
2023.05.01
그...서카포중 하나 맞고요... 굳이 머 변명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하지만 오해가 있을 수 있으니 얘기하겠습니다. 저는 4.3만점 학교고요, 다른학교 두 곳이 4.3만점일지 4.5 만점일지 몰라서 4.5만점으로 얘기했습니다. 학교가 밝혀지는걸 피할려고 그렇게 했습니다.
2023.10.16
카이스트 AI 대학원 (김재철 AI 대학원) 졸업생입니다. 우선 "경쟁이 너무 치열하여서, 저만의 novelty를 가지기가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고 있습니다" 는... 본인 실력에서는 틀린 말이 될 확률이 높다과 생각합니다. 어느정도 대학원 와서 충실히 논문 쓰고 이리저리 짱구 열심히 굴리고 하면 경쟁력 충분히 가질 수 있습니다. 본인만의 괜찮은 연구주제를 찾아서 파세요. 꼭 한가지가 될 필요는 없고 넓은 범위여도 됩니다. 첫 논문 나오기까지가 시간이 걸리고, 그 뒤부턴 충분히 논문 찍어낼 수 있는것 같습니다. 엄청 이론할거 아니면, 그리고 적절한 실험방법 및 논리적으로 논문쓰는 방법 잘 익히면 탑티어 학회들 충분히 정기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6개월에 한편 ~ 1년에 한편). "저는 쫌 더 시간이 지나도 근본적인 것에 대해서 연구하고 싶은 생각도 있습니다." --> 제 조심스런 추측이지만, AI는 충분히 근본적인 학문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AI가 왜 잘 동작하는지는 아직 잘 모르지요. 하지만... 하지만... 휴.. 이 부분에 대해선 제 수준에선 말을 아껴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10년 안엔 어느정도 규명되지 않을까 희망합니다. 만약 이 부분에 대해서 파고 싶으시면, 해석학 및 정보이론 정독을 추천합니다. "데이터를 분석하고 산업경영을 분석하는건 트랜드를 잘 이용하면서 꾸준히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해봅니다" --> 저는 이 분야에 대해서 몰라서 말을 아끼겠습니다. https://youtu.be/MHtbZls2uts?si=d76CSsAYb7KGdCV2&t=261 뭐 이런경우도 있는데 참고하면 좋을거 같아요.
2023.04.29
대댓글 2개
2023.04.29
2023.04.29
2023.04.29
2023.04.29
대댓글 1개
2023.04.29
2023.04.29
대댓글 2개
2023.04.29
2023.04.29
2023.04.29
대댓글 1개
2023.04.29
2023.04.29
2023.04.29
대댓글 3개
2023.04.30
2023.05.01
2023.05.01
2023.04.29
대댓글 2개
2023.04.30
2023.05.01
2023.04.30
대댓글 7개
2023.04.30
2023.04.30
2023.04.30
2023.04.30
2023.04.30
2023.05.01
2023.05.01
2023.05.01
2023.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