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랩이긴 한데.. 반도체 공정으로 배터리 만듭니다. 일반 양극합성이랑은 다릅니다. 솔직히 연구용이지 산업체에서 쓰이진 않아요..
실험실 석사 졸업한 선배가 요번에 양극합성쪽 rnd 면접보고왔습니다.
Pt면접때 분석역량위주로 어필을 하였다곤 하지만 면접관들이 2군데 모두 공통적으로 한 질문이 그 방법으로 실제로 뭘 할수있냐였습니다.
졸업생형도 그 질문으로 공격 받을 것을 예상은 했지만, 합당한 답변을 찾기가 어려웠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저는 솔직히 취업목적으로 석사를 진학해서 고민이 많아졌습니다. 석사는 큰 틀만 본다고하여서 분야만 맞으면 된다는 생각을 하였지만 꼭 그런것도 아닌것 같더라고요.
2년동안 석사주제에 뭘 대단한걸 한다는것을 하는게 아니라는걸 저도 잘알고 스스로 부족함도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조금은 힘들다는 생각이 듭니다.
선배님들 의견은 어떠신지요? 어떤 말씀이라도 상관없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부지런한 존 스튜어트 밀
IF : 1
2023.05.19
실질적으로 회사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냐는 질문은 면접마다 등장하는 질문입니다. 산업과 연구실 간의 기술수준은 당연하고 어떤 방향으로 R&D했는지 데코레이션 해내야하죠... 도움안되면 안뽑겠다는 아니니 취직은 여전히 잘될겁니다. 자신이 부족하다 느끼시면 4년정도 더 공부하고 박사로 나오시는 것도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5.19
선배님 정성스러운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석사 생활하면서 이것이 가장 큰 과제일것 같습니다. 그래도 지금까지 모든 문제를 항상 고민하며 해결책을 찾은것처럼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IF : 5
2023.05.19
차라리 반도체로 취업하시는게
대댓글 4개
2023.05.19
석사기간중에 학사로 취업하는걸 말씀하시는건가요? 아니면 석사졸후 취업하는건가요? 반도체 공정이라 반도체쪽도 쓸수는 있을것같습니다. 물론 면접땐 왜 배터리를 했나에 대한 질문은 준비해야 겠지만요.
IF : 5
2023.05.19
아뇨 석사요. 배터리에 관심있어 진학했다가 공정 재밌어졌다고 하면 좀 뻔하지만 무난하죠
IF : 5
2023.05.19
그리고 현업에서 보기엔 학교에서 하는 절대다수의 연구는 '그래서 그걸로 뭐할건데??' 질문이 절로 붙어요~ 이건 취직하기로 했으면 박사도 석사도 무조건 준비해야하는 질문입니다. 석사라서 연구를 부족하게 했고 이런거랑은 별로 상관없어요. 오히려 박사면 범위가 더 좁아져서 설명하기 더 힘들어지기도 해요.
2023.05.20
그렇군요.. 말씀해주신걸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결국 기업에서는 돈이 되는 연구를 하는데 학계하고는 동떨어져 있는것을 까먹었습니다..ㅎ 조금 더 숲을 보고 준비해야 할 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05.22
막말로, 그냥 교수님 파세요. 우리 교수님이 이런거 예상하고 연구지도하셨고, 나도 일이 잘 되면 그러리라 기대한다 정도.
대댓글 1개
2023.05.23
그렇죠.. 학생들이 무슨 힘이 있어서 주제를 정하겠습니까.. 더군다나 저러럼 취업이 목적이면 더더욱
2023.05.19
대댓글 1개
2023.05.19
2023.05.19
대댓글 4개
2023.05.19
2023.05.19
2023.05.19
2023.05.20
2023.05.22
대댓글 1개
202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