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아이디어 도난

2023.05.22

13

2607

시간이 지나 글 삭제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재빠른 피에르 페르마*

2023.05.22

첫 랩미팅때 문제를 공론화 했어야 한다고 봅니다.
결과가 대박나고 나서 아이디어 소유권을 주장하는 건 진실과 상관없이 안좋게 비춰지겠죠.

2023.05.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이 실험을 했으면 결과가 시궁창이었을것이다 생각하고 잊으세요
if에 얽매이면 본인 발목만 잡히고 격차만 벌어집니다
솔직히 밖에나가면 그런일 비일비재합니다
스타트업 아이디어 라고 검색해보세요
대기업이 아이디어 빼먹었다고 몇개 스타트업에서 울분을 토하던데 가만히 살펴보면
해당 스타트업에서 제품화 단계까지 올라간 아이디어들
딱봐도 상품성이 도용당했다는 대기업에서 출시한 제품에 밀립니다

아이디어나 기술은 애초에 보호가 안되요
그러게 내 사수가 내 등에 칼꼽을 거머리같은 인성을 갖고있을거라는건 잘 살펴봐야죠
잊고
열심히 노력해서 좋은결과 다른거로 만드세요

2023.05.22

먼저 결과 뽑고 먼저 썼어야 할 이야기가 있는거지 상대방이 먼저 뽑은뒤에 이야기해봤자 솔직히 말해 시샘에 불과하죠. 화가 나면 그 선배도 아직 결과만 뽑은거지 논문을 쓴건 아니니 조금만 틀어서 본인이 먼저 써버리면 됩니다. 그게 안되면 그냥 인정해야죠.
씩씩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3.05.22

상식적으로 '그 실험을 하겠다고 선배에게 이야기를 했습니다' 이게 이해가 안 됨. 뭐라고 이런 이야기를 개인적으로 하는지? 특히 선배가 같은 박사과정 학생이라면 결국 경쟁자아님? 너무 나이브한 거 같은데 학계에서 경쟁심에 별의 별일 다 함. 앞으로 더 조심하는 게 좋을 듯.

대댓글 2개

2023.05.22

연구 힘들게 하시네요....

2023.05.22

그니깐 진짜 힘들게 산다
놀란 막스 베버*

2023.05.22

연구노트의 중요성

2023.05.22

연구노트에 써두지 않았으면 방법이 없습니다. 참는 수 밖에.. 앞으로 연구노트를 잘 써야 한다는 걸 배우는 좋은 계기가 됐다고 생각하고 넘겨야 할듯..

2023.05.22

더 진행되기전에 교수님한테 이야기를 하세요.
논문 저자 정할때도 제일 중요하게보는게 아이디어가 누구한테 왓느냐 입니다. 실질적으로 실험진행한사람이 다른사람이라도 테크니션에게 주저자를 던져주지는 않구요.. 제생각엔 못해도 두번째자리에 co first는 받을만 하다고 생각되네요.

대댓글 2개

2023.05.22

계속해서...
아이디어를 공유하지 않고 숨기는 분위기는 랩 전반적인 아웃풋에 아주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합니다. 자유로운 헛소리 망상 토론 중에 아주 재밋는 아이디어기 떠오르기도 하고요. 뭐 생각만하고 실험엔 손도 안댄다거나 그러면 곤란하기는 하지만.. 무튼 요지는 그렇게 들은 아이디어를 본인것인거마냥 포장해서 가져간 학생의 연구윤리에 아주 큰 물음표를 던지고, 아울러 데이터도 주작이 포함됫을 가능성이 있지않을지...
저같으면 해당내용을 그 산배학생한테 제안한게 본인이고, 본인이 진행하려고햇는데 그 선배가 가로챗다고 확실하게 어필을 할듯하네요.

2023.05.22

“아이디어를 공유하지 않고 숨기는 분위기는 랩 전반적인 아웃풋에 아주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합니다.”

공감.

박사시절 초반에는 아이디어 있으면 랩메이트들과 자유롭게 공유하거나 리드중인 프로젝트에 콜래보도 권유하거나 지도교수님에게 추천해서 영입하기까지 했는데,

랩메이트 몇명이 크레딧 스틸링하거나 저자로 올라간뒤 본인의 의무도 안하는 것보고, 박사중반부터 개인모드 + 랩외부랑 콜래보했음.

난 이미 졸업해서 나왔는데, 내가 아끼던 후배가 말하길 랩은 파가 갈리고, 교수 앞에서만 하하호호하고 뒤에선 서로 감시하고 자유로운 아이디어 공유가 없다고함. 물론 논문실적도 저조.

2023.05.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님도 나중에 후배꺼 뺏어요

2023.05.23

좀 종교적이지만, 이미 지난 일로 생각했을 땨, 그 선배는 긴 호흡에서 그런 식으로 얼마나 성공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연구도 중요하지만, 아무렇지 않게 배신을 저지르는 사람을 여과 없이 봤다는 경험도 아주 중요한 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