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인턴을 교수님이 2저자로 넣으라는데 인턴은 그냥 제 코드 보면서 공부하는데 왜 넣는지 의문입니다.. 관여한게 없는데요. 그래서 교수님한테 논문을 abstract부터figure까지 코드도 혼자 작성해서 1저자로 학부생이 논문을 투고해보고 reject도 되보는게 배울게 많고 2저자보다 나을 거라고 말씀드렸는데 그냥 넣으라고만 답정너로 행동하시네요.. (사실 공부도 열심히 안하는 것 같아서 넣어주기도 싫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05.25
저는 인턴 중에 공동1저자와 2 저자를 많이 받았는데 contribution 이 많았습니다 (코드 구현, 논문 등). 아무 contribution 이 없었으면 조금 아닌것 같네요
2023.05.25
baseline 구현 및 실험정도는 해야 2저자 줍니다.
2023.05.25
2저자가 사실 할게 없지... 보통 코웤 할 때나 있지 같은 연구실이면 내가 해도 되는데 굳이 남한테 맡기기도 애매하고... 그래서 보통 없지 않나?
2023.05.25
2저자는 아무 의미도 없기때문에... 그냥 실험도구 준비해주는정도 아닐까요?
2023.05.25
2저자 아무 의미 없다는 의견 저는 반대에요.
탑랩 출신인데 저희 랩은 2저자들 없으면 억셉 못 시킬 정도로 컨트리뷰션이 높고, 그 정도 아니면 애초에 공저자로 올리지도 않으세요. 정말 열심히들 동료 연구 도와주십니다..
대댓글 1개
2023.05.26
오해가 있을 것 같아 추가로 적지만, 2저자가 없으면 억셉을 못 시키는 게 아니라, 보더라인에 걸칠만 한 논문들을 억셉시키는 데 기여를 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2023.05.25
저도 2저자를 비롯한 공저자로 참여할 때 꽤 기여했습니다. 제 1저자 논문에 참여한 공저자들도 그렇고요. 그래서 2저자 이하 공저자는 기여 없다는 인식을 싫어합니다.
2023.05.25
1%만 기여해도 2저자 될 수 있어요
쑥스러운 데이비드 흄
IF : 1
2023.05.25
적어도 manuscript에 대해 오탈자나 오류, 적어도 디테일을 다 파악할수는 없어도 그림과 데이터 표 등등이 아귀에 맞는지 논리적 흐름 검토 정도까지는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23.05.25
걍 교수님이 넣어주라면 넣어주시고 님 연구에 신경을 더 쏟는게 좋을겁니다.. 옳고 그름을 떠나
2023.05.25
솔직히 저도 공감이 되고 넣기 싫으면 싫다고 교수님께 의견을 확실하게 전달했을거 같긴 한데요. 그래도 교수님 답변이 넣어면 그냥 넣어야죠. 돈대주는 양반이 까라는데 별수 있나요?
2023.05.28
메이저 퍼블리케이션이면 그런식으론 안넣고 그냥 적당한 프로시딩/국내저널 정도면 귀찮은 잡일 (회의록 작성 + 번역 오탈자 잡는 일) 정도 시키고 넣어주기도 함
2023.05.28
이기적이네.. PI 가 넣으라고했으면 그냥 넣는거짘ㅋㅋ 님이 뭔데 그런걸 고민해욬ㅋㅋㅋ 자기 1저자들가고 교수만들가면 리뷰어가 봤을때 정상적이라고 생각하겠어요?ㅋㅋㅋㅋ 에휴 ㅋㅋㄱㄱ 님돈으로 연구해서 퍼밋까지 님돈으로 다할때 그런주장할수있는거임ㅋㅋㅋ
2023.05.25
2023.05.25
2023.05.25
2023.05.25
2023.05.25
대댓글 1개
2023.05.26
2023.05.25
2023.05.25
2023.05.25
2023.05.25
2023.05.25
2023.05.28
202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