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서울 중하위권 전자공학 공대 전체 학점 3.5/ 전공 3.7정도 됩니다 여기서 제트엔진 만드는 우주공학과 랩실을 진학하고자 하면 이게 현실적으로 말이 되는 얘긴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06.02
전자쪽 지식이 많이 쓰는 연구실 (제어 등) 이라면 더 쉽겠지만 제트엔진은 기계 기반이라서... 근데 불가능한건 아닌듯
2023.06.02
열역학 추진공학 유체역학 내연기관 공업수학 등을 수강하셨으면 괜찮을거 같네요. 저중에 적어도 3가지 이상 수강해야 적응하실 수 있을거 같아요. -계과 졸업자-
2023.06.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만이 가지고 있는 강점, 우주공학과의 연관성 등을 본인이 잘 설명하고 어필할 수 있다면야
2023.06.02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 이렇게는 빠삭하셔야합니다
2023.06.04
우주추진랩 출신으로 항상 전자공항 베이스 학생이 오기를 기대했음. 너무 기계 베이스만 있으니 랩에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도
2023.06.04
항공제어 등과 관련된 분야라면 모르겠지만 제트엔진쪽이라면 추진쪽하고 많이 관련될텐데요 쉽지 않을겁니다 뭐 모든 일이 본인 하기나름이겠지만... 지원하는 분야가 본인이 지금까지 공부해온 지식을 많이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서 기초공부부터 해야할게 너무 많을 겁니다.
2023.06.04
미박 5년차 연소연구/극초음속 와류 연구중에 있는 사람입니다. 정확히 엔진연구는 아니지만 이분야에 관하여 다른 얘기해드리자면, 정말 뜻이 있으신거 아니면 오지 말라고 하고 싶습니다. 물론 요즘 kai라던가 한화도 많이 뜨고 있고 나중에 좋아질수도 있겠습니다만 아직까지도 연봉 1억은 커녕 그 근처에도 못가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영끌 8천대) 그리고 엔진개발이라던가 그런사업은 국가적으로 지원이 있어야 가능한 사업인데 이게 너무 정책을 많이 타는지라 솔직히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미사일용 소형 제트 엔진이라던가 다른 선박용 엔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항공기용 터보팬 엔진 같은 경우는 과연 한국에서 개발을 할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했으면 좋겠습니다만 그런 확률에 미래를 거시는건 조금...). 미국 혹시 포닥이라던가 그런생각중이시라면 더더욱 말리고 싶고요. 교수 하실거 아니시라면 항공쪽 취업은 절대 불가 입니다. 보통 정말정말 잘하시는 분들이 1저자 페이퍼 한 3 4개 내고 졸업하는 분야고요. 보통은 2 3개 입니다. 그리고 과 특성상 다른과보다는 콜라보 기회가 없는듯 합니다.
그리고 솔직히 열역학유체역학 그냥 배우면 다 합니다. 지금까지 배우신 것들 수준으로 어려우실거고 다 할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2023.06.02
2023.06.02
2023.06.02
2023.06.02
2023.06.04
2023.06.04
2023.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