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5 - 지사대면 분수를 알아야지…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1 - 님은 이미 학벌에 대한 차이를 받아드리고 있기 때문에.. 아마 덧글에서 어떤 이야기를 해도 잘 와닿지는 않을꺼 같네요.
학벌이 좋다는 기본적인 머리/지능이 된다 정도의 상관성만 있지 이것만으로 연구의 잘함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다른 변수들이 너무 많습니다.
연구는 수능이나 수학문제 풀듯이 문제 풀어서 정답을 맞추는게 아니니까요; 결국 끈기/인내, 멘탈, 사회성 모든게 결합됩니다.
근데 님은 이미 지식과 지능은 정해졌고, 위 학교를 간다해서 본인이 바뀌는건 없고 환경이 바뀌는 정도죠.
즉, SKP로 옮겨도 연구 수준이 올라간다? 그런건 없습니다. 주변 동기/선후배들의 분위기가 달라질 수는 있어도 위에 말했듯이 학벌 좋은 사람들이라고 연구를 잘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이건 랩by랩입니다. 또 학부처럼 수업 수준이 높고 교수님 수준이 높으면 더 잘해질꺼다 그럴수도 있는데, 대학원가서 하는 연구는 강의와 다르기 때문에 전혀 상관없구요, 교수님들 수준도 인서울 내에서는 큰 차이 없습니다.
지금 적으신 글로보면 글쓴이 연구실은 이미 괜찮은 연구실인거 같은데, 이 이상 잘 맞는 연구실을 찾을 확률보다 님이 그 연구실에서 더 열심히해서 좋은 논문 추가되는 확률이 더 크다고 봅니다;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21 - 님도 똑같이 하셈
쉽게 돈 번다고 생각되겠지만 나중에 인생이 망하는길이란걸 알고 있자나
머가 억울함?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3 - 학부생인데 학부 공부와 연구가 다르다는 것을 안 것부터 좋은 출발을 하신 것 같습니다. 옥상옥 내 위에 또 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위엔 spk가 있고 spk 위엔 미국이 있더라고요. 그래도 요즘 k는 미국에 박사 가신분들 만큼 실적 잘 뽑으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분야마다 다를테지만 제 분야인 cs에선 그렇습니다)
헌데, 저는 k분들은 머리가 좋아서 쉬엄쉬엄하는 줄 알았습니다. 아니더군요. 주말 출근을 기본으로 생각하거나 같이 밥 먹고 커피 마시는 도중 랩탑을 꺼내서 실험 잘 돌아가고 있는지 서버 원격접속해서 확인하는 분들 있었습니다
장기적으론 꾸준히 차곡차곡 쌓은 분들이 성공하는 것 같습니다
(더 높은 대학 글쎄요... 윗댓처럼 더 좋은 환경이 되겠지만 그 환경에서 적응하는 시간이 더걸리거나 기반을 잡는데 오래걸리거나 자대생들과 비교하면서 스스로를 갉아먹는 분들도 있습니다. 답은 꾸준함인 것 같습니다. 잘할사람은 어딜 가서도 잘하더라구요)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20 - 저널은 내서 좋을게 하나도 없습니다.
심지어 agent, AI security면 더더욱요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0 - 요즘 k훌리가 많은 듯. S랑 p는 그런거 없는데 의도적으로 k 띄우는 글이 많이 보임.
연구와 학벌 상관관계에 대한 고민이 계속 생깁니다.
14 - 저널도 중요하다기보다 다 인정해줍니다.
윗분들 다 영맨들이라 모를텐데 당신들 채용 면접 보는 아저씨들은 다 저널 쓰던 세대에요.
상위 10% 저널들 중에 전통있는 저널들은 다 알아줍니다.
오히려 저널이 여전히 더 어렵다고 생각하는 아저씨들도 많아요 ^^ 요즘 개나소나 다 컨퍼런스 논문 가지고 있어요
임용에 관심이 있다면 탑컨퍼/저널 3:2 4:1 정도로라도 갖고 있는게 좋습니다.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10 - 교수 욕하는 학생들 중 인성 정상인 사람 없더라. 다 자기 부족함을 교수한테 투영할 뿐.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9 - 교수님이 지도력 없다고 느끼는 이유가 공부 안 해서가 아니라 타분야를 너무 열심히 공부하셔서인거네요ㅋ 그건 절대로 문제가 아닌 것 같은데요. 그분은 그냥 정말 공부가 재밌어서 교수하시는거네요. 어떻게 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연구자의 모습과는 조금 안 맞을 수도 있지만... 저는 그런 분이 학생 잘 가르치는 교수는 아닐지라도 좋은 학자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하다보면 궁극적으로 통섭에 다다를 수도 있겠죠. 밑에 있는 어리석은 중생들이 문제인건데 님도 위기 의식을 느끼고 어떻게든 살아남을 길을 찾게 되고 그러면 또 결국 살아남게 되는거죠. 고생은 하겠지만 결과적으로 님은 스스로 살아남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그런건 학생 때 (+포닥 시절) 겪어봐야 되는게 맞고 님의 상황이 결코 특수하거나 문제가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느낍니다. 님 지도교수님이 답없다는 얘기 들으실 분은 아닌 것 같아요. 저는 오히려 더 존경스러운데요.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3 - 누가 더 나쁘다 이런 말씀을 드리려는 것은 아닙니다. "좀 잘하면 동기끼리 공유 좀 하는게 맞지"와 "돈 좀 있으면 좀 사주는게 맞지"는 양쪽 모두 공유라는 단어가 가진 고결함을 명분삼아 동기로써 당연히 해야할 덕목인양 표현하지만. 실상은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타인에게 자원을 강탈하거나 수고를 강요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보입니다. 그런 동기가 있다는 것이 불편하시겠지만 결국 본인 처신하기에 달렸습니다. 제가 당사자는 아니기에 어떻게 하는게 좋다고 판단하긴 어렵겠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타인을 너무 신경쓰거나 스트레스받지 않는게 좋습니다. 잘 대처하시리라 믿습니다.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18 - 돈 있으니까 좀 사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 동기나 잘 하니까 좀 알려주는게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님이나 그냥 똑같은 듯 합니다.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27 - 헛바람들은 소리 하지말고 정식으로 연구실 찾고 산학 과제로 시작하던 정규로 채용 공고를 올려라 절차없는 ㅈ소마냥 굴지말고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18
박사과정 드뎌 마쳤습니다. 이제 뭐를 할 수 있을까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2023.07.03

현재 국책기관이 아닌, 정부기관에 근무중(공무원)입니다.
직책은 관리직이구요. 공학계열입니다.
뭐 여기 활동하시는분들은 국내외 손곱히는 학부 및 랩실 출신들이시겠지만
저는 지방대 학석박 동일한 랩 출신입니다.
석사는 풀타임 했고, 박사는 파트타임 입니다.
일하는 분야는 신생이며, 전국에 전문인력 5명이 채 안되는 희귀 직군입니다.
사실 '뭐 그리 힘들게 살려고 하느냐' 라는 말을 많이 듣고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적 책임과 이 분야의 자리매김을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다는 책임감에 박사까지 도전해서
졸업하게 되었구요.
서론이 길었습니다.
이제 뭘 할 수 있을까요?
이전엔 출연연 근무(계약직)를 약 8년 정도 선임연구원까지 근무하다가 몇년 전 여기로 원하디, 원하던 자리가 생겨 정착했습니다.
근무지는 서비스 제공 기관으로 과제를 수행하고 그러는 곳은 아님니다. 그냥 정부예산 받아다가 필요하면 용역 뿌리고 그러는 곳이지요.
과제를 따고 싶어도 기관 이름으로는 참여 못하는 것으로 아는데.....(정부산하기관이라.....출연기관 아님)
본 근무지에서 공학계열 전문인력이 근무한 사례가 없어서 조언을 구할 동료도 없구요.
궁극적인 목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해야 할 일들이 많은데, 다 과제로 만들기 좋은 일들인데.......
원장 실장 과장들이 제 분야에 관심도 없고 잘 알지도 못해서 `우리기관이 이런거까지 해야할까?`
이런 분위기 입니다. 사실 자기일 아니면 관심없다고 생각하는게 더 맞는표현일지도......
업계관련 산하기관이(출연연) 있어서 살살 꼬셔서 유도는 하고 있지만 도통 움직이지를 않고요.......
비슷한 사례를 겪으신 분 계시면 공무원 신분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랑 평가는 매달 나가지만(논문도 국내학술지에 간간히 내고 있고) 그것만으로는 갑갑하네요.
기업이랑 학교는 저랑 일을 많이 하고 싶어 하는데 그들도 참여기업으로 저를 참여시키고 싶어하지 같이 과제를 하기엔
자문위원 꼴랑 돈백은 그들도 난감해 하거든요.
저는 이제 뭐를 할 수 있을까요? 공무원 급수도 낮은편은 아니지만 부가적 수입도 있으면 좋겠고, 연구활동도 계속했으면 좋겠고,
이 분야의 중요성도 대외적으로 어필했으면 좋겠네요.
넋두리 정도로 봐주세요.
감사합니다.
흐음 박사 하지 말란 소리겠죠 김GPT 3 28 11850-
2 11 3380 -
0 10 3721
박사과정 입학관련 고민 김GPT 1 7 2228-
0 4 1417
박사 후 현역 김GPT 0 11 2049
대학원 자퇴 후 취업준비-면접 김GPT 0 6 1003-
7 11 5537 -
3 13 4408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명예의전당 195 34 63829-
203 22 79713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51 34 10534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97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75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8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14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6 - 머리 쓰는거 힘드시지 않나요
12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46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4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11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14 - 교수 연봉이 하는 업무에 비해 낮은 것은 100프로 인정. 그런데
44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38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5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20 - 대학원 인간 관계...
10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4 - 인생의 4~5년 선택, 도피일까요
11 - 포카 머리고 연고가도 대가 포닥랩실 가능한가요?
10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6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25 - ist 연구비 얼마정도 주나요?
9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17 - 학점이 아쉽지만 연구능력이 뛰어난 석사생, 혹은 석사 준비생 있으신가요?
10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14 - 카이스트 ai 대학원 오전 면접
1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497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75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8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14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6 - 머리 쓰는거 힘드시지 않나요
12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46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14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11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14 - 교수 연봉이 하는 업무에 비해 낮은 것은 100프로 인정. 그런데
44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38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60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2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70 - 미국박사 주립대 가능할까요?
17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9 - 연구실에서 동일한 월급받는게 억울하다
15 - CS 분야는 저널을 아예 취급하지 않나요?
20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14 -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16 - 석사나 박사과정 분들 월급 얼마나 받고 계신가요?
25 - 대학원 가기에 너무 늦은 걸까요?(28살 여성입니다)
17 - 랩 동기가 너무 거슬리네요
14 - 카이스트 ai 대학원 오전 면접
12
2023.07.03
2023.07.03
202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