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대 기준으로 등록금이 600~700정도 될텐데,
이러한 등록금을 월급으로 180풀펀딩에 가깝게 주는 형태로 등록금 지원과 월급을 주는 형태로 이루어지나요?
아니면 인건비는 따로 주되, 등록금은 다른 명분으로 지원해주시는 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George Gershwin*
2020.06.17
많은 분들이 풀펀딩의 의미를 잘못 알고계신데 원래 해외에서 풀펀딩의 의미는 등록금 커버+stipend(기본적인 생활을 커버할 수 있는 금액)의 의미라고 합니다. 석사과정 참여율 100프로 인건비 상한만큼 받는다는걸 의미하는게 아니라요. 대부분의 공대 사립대는 연구실단위로 등록금을 내고 조금 남을 정도의 돈을 맞춰서, 거기에 맞게 과제 참여율을 조정해서 인건비를 주는 방식이에요. 등록금 감면고지까지 해주는 곳은 학과단위로 지원해주는건데 진짜 돈 많고 지원 빵빵한 학과만 해줄겁니다.
Otto Loewi*
2020.06.17
연구실마다 다를텐데, 연구실내에서 학생에게 인건비를 주는게 현실적으로 프로젝트 연구참여수당이랑 장학금밖에 없지않나요?
대부분 월급으로 주고, 그 금액에서 알아서 등록금이랑 생활비쓰는거에요. 근데 풀펀딩 해줄수있는곳조차도 거의 없을걸요?
George Gershwin*
2020.06.17
인서울 사립대 공대는 대부분 풀펀딩이 기본이에요. 아무리 못해도 등록금은 내게 해줘요 생활비를 대출 받아야 할수도 있겠지만요. 그 정도의 지원도 없는데 연구실이 주5일이상 출근하게 시키고 과제, 잡일시키는 곳은 왠만하면 가지마시길 바랍니다...
George Gershwin*
2020.06.17
단, 각종 잡일 등을 하지 않고 순수하게 공부시키고 돈은 엄청 적게주는 곳도 있는데 이런 곳은 자기 연구에 집중할시간은 많아질테니까 대학원생활에서 이루고 싶은게 있다면 진학을 고민해보셔도 좋을거에요
2020.06.17
첫번째 작성자분이랑 다른 분들이랑 내용이 조금 다른 것 같아서요..
월급으로 등록금을 같이 주는 형식이 대부분인게 맞는거죠?
2020.06.17
ㄴ 아니요
석사는 인건비 MAX가 180만원으로 법적으로 정해져있습니다. MIN은 정해져 있지 않아요.
등록금은 학생이 학교에다가 내는개념이구요,
인건비는 교수가 학생에게 자신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는 개념으로 주는거에요.
교수가 600~700되는 학생의 등록금을 책임지지 않아요.
월급을 120정도받으면 120 * 6개월 = 720 이기에,
여기서 등록금 내고 나머지는 생활비 존나 아껴서 쓰고 그런거에요.
2020.06.17
받는 월급에 등록금이 포함되있는거에요. 한달에 풀펀딩으로 180만원이 들어오는데, 한학기 등록금이 600이면 180만원중에서 100만원이 등록금 지원인거구요 나머지 80만원이 생활비인겁니다
Otto Loewi*
2020.06.17
첫번째 댓글이 다른사람들이 한말이랑 똑같습니다.
그냥 해외대학에서의 '풀펀딩' 단어 자체의 의미를 언급해서 햇갈리시는겁니다.
2020.06.17
다들 답변 갑사합니다!
2020.06.17
저희는 yk 바이오쪽인데 풀펀딩 받아서 석사는 월 180 박사는 250이에요. 1년에 한번은 등록금을 연구조교 장학금으로 받으니 실제 남는 돈은 등록금 내고나면 월 100정도 됩니다. 연구과제 많은 연구실은 풀펀딩 되구요. 이거 잘 알아보고 가세요. 일반적으로 논문 실적 좋고 잘 나가는 연구실 가면됨.
2020.06.17
2020.06.17
2020.06.17
2020.06.17
2020.06.17
2020.06.17
2020.06.17
2020.06.17
2020.06.17
202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