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서 일년에 한두번 정도 학생들 돌아가며 논문 리뷰일을 시키십니다. 이러한 리뷰 work 뒤에 숨어있는 뒷 배경이 궁금합니다..!! 저널에서 논문 리뷰 요청은 들어오는데 자기가 하기는 귀찮아서 (바빠서) 학생한테 시키는 걸까요? 논문 리뷰를 하면 교수님 실적이 올라가나요? 또 저희 연구실은 대학원생들이 리뷰한 것을 교수님한테 보내면 교수님이 직접 제출하시는데 다들 그렇게 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2023.08.22
리뷰논문을 쓰는게 아니라 그냥 리비전 시킨다는거임? 그냥 공부시키는거임
2023.08.22
리뷰를 해봐야 논문을 잘 쓰지
2023.08.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님이 논문 쓰면 누군가는 리뷰하겠죠? 그때 어떻게 하는지 알면 더 잘 쓰겟죠...
2023.08.22
공부시키는거에요.. 교수님들이 안읽어보고 리뷰 시키시지는 않아요 ㅎㅎ 저도 한학기 내내 선행논문 공부만하고 매주 리뷰 발표했었는데,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선을 갖게 되더라구요. 교수님마다 다를 수도 있지만 저희 교수님은 이미 다 읽어보시고 리뷰해오라고 하셨었어요.
2023.08.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근데 논문 쓰는 입장에서는 누가 봐도 학생이 리뷰한티 나면 개짜증남. 무조건 교수가 해야함. 물론 학생이 어찌 감히 거절하겠냐만은 ㅜㅜ
2023.08.22
나중에 논문 쓸 때 도움이 됩니다 ㅎㅎ 리뷰어의 입장을 경험해 보면 자기 논문 쓸 때도 좋죠
2023.08.22
그게 다 트레이닝인데
2023.08.22
실적 안들어감. 리뷰어도 신청해서 하는거임. 교수 귀찮으면 신청 안하면 됨.
IF : 1
2023.08.22
한가지 빠진점이, 리뷰 요청은 보통 저널 에디터에게서 옴. 요청을 잘 받아주고, 리뷰 코멘트도 퀄리티있게 작성해주면 해당연구실과 리뷰어들과의 관계가 좋아짐. 그럼 학생이 나중에 리뷰 자주했던 저널에 논문 투고할때 약간의 어드벤티지가 생기기 시작함. 대가 그룹에서 에디터 컷이 안나오는 이유가 이름빨도 있지만 리뷰를 자주해줌. 대부분 고년차 대학원생 + 포닥들이 1차 리뷰 드레프트를 교수한테 제출하는 식이지.
2023.08.22
이런 질문에 답해줄 선배, 동료가 주변에 없다는 것에 안타깝네요...
대댓글 2개
2023.08.23
이게 좀 많이 안타깝네요 ㅠㅠ
꼼꼼한 레프 톨스토이*
2023.08.23
눈물난다
2023.08.22
박사과정 중에 교수님이 토스해서 리뷰프로세스 참가해보는게 중요한 경험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15개정도 리뷰햇는데 비판적 사고와 전공외 지식쌓기에 좋았던거 같네요. 졸업하고는 간간히 리뷰초대가 와서 연3개정도 하곤있는데 저명한 저널에서 초대오면 괜히 어깨뽕이 들어가네요 ㅋㅋ 원칙대로라면 교수님이 에디터에게 우리학생이랑 같이해도되냐 물어보고 허락받고서 공유해아하는데.. 보통은 알음알음으로 도와달라 시키죠.. 리뷰어 활동은 실적이라기보다는 봉사활동 입니다. 저널하고 좋은관계 유지하면 알게모르게 출판에도 도움이 될지도요? ㅎㅎ 리뷰하고나면 orcid에 한줄 넣어주고 리뷰어 확인증 같은거도 보내주는데 딱히 쓸데는 없고... 아 미국 영주권 요건중에 타인의 성과를 평가한적이 있느냐 항목에 들어가긴하네요
2023.08.23
공부하는 과정이니 열심히 하세요. 논문도 안 읽고 자기하는 분야만 열심히 연구하면 반복의 저주'Curse of recursive`에 걸립니다. 자기 분야에서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것인가를 살펴 보는 것도 연구의 한 부분입니다.
2023.08.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부좀 해라
즐거운 스티븐 호킹*
2023.08.23
본인이 external reviewer 등으로 어디 기록이 남지 않는 거라면 본인 일 학생들에게 떠넘기는 겁니다.
대댓글 5개
즐거운 스티븐 호킹*
2023.08.23
앞의 본인은 학생. 뒤의 본인은 교수. 말을 쓰고 보니 이상하네요.
암튼 원래는 그러면 안되는거에요.
2023.08.23
떠넘긴다고 하기에는 교수도 이거 한다고 딱히 얻는 거 없습니다..
즐거운 스티븐 호킹*
2023.10.01
그러니까 떠넘기는거죠. 교수인데 그렇게 말하는거면 진짜 욕쳐드셔야하는데.
2024.02.25
그건 교수가 학생 리뷰를 그대로 보낼 때 이야기고. 말도 안 되는 리뷰보내면 committee한테 리뷰어로서 안 좋게 보이는 건데, 상식적으로 어떤 교수가 학생 리뷰를 그대로 쓰겠냐고.. 그냥 학생들 훈련이지...
2024.05.20
많이 시간이 지나긴 했는데, 실제로 별 고민 안하고 유명 교수가 학생 리뷰 그대로 보냈다가 문제된 적도 있습니다.
학생 훈련은 무슨... 에휴
2023.08.23
논문 리뷰는 봉사활동입니다 논문 한편이 퍼블리쉬 되기까지 리젝까지 포함해서 리뷰어 5명을 거친다고 가정하면 1년에 논문을 10편 쓰는 연구실은 다른 사람들 논문 50편을 리뷰해주어야 오고가는게 맞아떨어지지요. 물론 그렇게 안한다고 페널티가 있거나 누가 뭐라하는 건 전혀 없고요, 학계에 도리를 다하고자 노력한다 정도로 보면 됩니다. 교수님이 혼자 50개 리뷰를 할 수는 없으니 학생들과 같이한다고 볼수도 있고요, 위엣분들 얘기대로 리뷰 자체가 학생들에게도 좋은 공부거리입니다.
김박사넷을 보고 요새 학생들을 논하는 건 일베나 디시 야갤 주갤 들어가서 요즘 애들의 대표성을 논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지나가다 봐도 이야 싶은 그런 무의미한 배설에 가까운...
2024.05.20
전 떠넘기는 거다라고 댓글 달았고, 딱히 학생도 아닙니다. 그정도 판단력이라면 대학쪽에 안 남길 잘하셨다고 생각합니다.
2023.08.24
내 논문이 어떤 절차로 리뷰돼고 어떤 관점에서 피어리뷰가 진행되는지를 그것보다 잘 배울 수 있는 길이 어디에 있음??
2023.08.25
전 박사학생이고, 저널측에서 다이렉트로 저한테 인바이트 오는거 많은데, 시간되면 최대한 하려 합니다. 이게 실적에는 전혀 도움이 안되지만, 아 이런 연구를 하고 있구나 등등 배우는게 많습니다. 다만, 이게 제 선택사항이라 제가 시간이 되면 하는거고 아니면 안할수잇는데, 만약 제 시간 고려 없이 해야 한다고 하면 좀 스트레스 일 것 같긴하네요
대댓글 1개
2023.08.25
그리고 저는 미국에서 하는 공부하는 학생인데. 여기는 student reviewer board라고 여러 유명 저널에서 공식적으로 학생들을 따로 뽑습니다. 이건 꽤 커리어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미국은 scientific commuty에 얼마나 도움되냐도 연구능력만큼이나 중요하게 생각해서요.
2023.08.25
꼬인건가 아무것도 모르는건가.. 글도 책 많이 읽어본 사람이 잘 쓰는 것처럼 논문 잘 쓰려면 뭐가 좋은 논문인지 보는 눈을 길러야죠...
IF : 1
2024.01.08
공부하려면 이미 accept 된 논문들도 많고 open review를 통해서 어떤 수정 과정을 거쳤는지 다 볼 수 있는데 굳이 학생에게 트레이닝 시킨다라는 명목으로...?
교수님이 이미 다 한번 소화해보시고 학생에게 해보라 한 다음 수정 및 지도한다고 하면 그거는 가르침이 맞겠습니다마는, 제가 하고 주변에서 본 리뷰 프로세스는 그게 아니었는데요 ㅎㅎ. 교수님은 accept인지 reject인지만 정해주시고 그 결론에 맞추어서 제가 작성하면 거의 그대로 올라갑니다. 그러면 그냥 일거리 toss지 가르침이라고 보기에는 글쎄요..... 다른 분들이 언급하신 저널과의 신뢰도 측면에서 교수님의 신뢰도를 제 노동으로 메꾼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2.25
리뷰와 승인된 논문을 보는 건 차이가 크죠? 리뷰는 "이렇게 쓰면 리젝되겠구나"에서 배우는 게 크다고 봅니다. 뿐만 아니라 제 분야는 오픈 리뷰 보기도 힘들고 교수님께서 게재승인/불가 여부에 대해 정하지도 않으셔서 말씀해주신 의견에는 전혀 동의가 안 되네요.
2024.05.20
지도교수들한테 가스라이팅 오지게들 당한 분들 많네요. 훈련 같은 소리하고 자빠졌네
2024.10.01
다들 생각이 미쳤는데... 교수가 본인 이름으로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조금이라도 남에게 시키는게 잘못된겁니다. 같은 논리로 (나중에 교수됐을때 도움된다고) 연구과제 제안서 쓰게 하는 것도 잘못된 겁니다. 이러니 국내박사 가지 마라는 소리나오지. 에휴..
대댓글 1개
2024.12.16
저도 미국에서 학위 중인데 미국 교수님들 (인용수 8만이 넘어가는 대가분 포함) 모두 학생한테 리뷰 시키시긴 합니다. 물론 연구과제 제안서는 교수들이 쓰는 게 맞긴 하죠
2023.08.22
2023.08.22
2023.08.22
2023.08.22
2023.08.22
2023.08.22
2023.08.22
2023.08.22
2023.08.22
2023.08.22
대댓글 2개
2023.08.23
2023.08.23
2023.08.22
2023.08.23
2023.08.23
2023.08.23
대댓글 5개
2023.08.23
2023.08.23
2023.10.01
2024.02.25
2024.05.20
2023.08.23
2023.08.23
대댓글 2개
2023.08.23
2024.05.20
2023.08.24
2023.08.25
대댓글 1개
2023.08.25
2023.08.25
2024.01.08
대댓글 1개
2024.02.25
2024.05.20
2024.10.01
대댓글 1개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