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년차 데이터 분석가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대학원 진학에 대하여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현재 현업에서 일한지 벌써 1년이라는 시간을 보냈는데, 기계에서 도출되는 시계열 데이터 및 품질의 고차원적 데이터 기반으로 이상탐지 및 다양한 연구를 하고자하여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합니다. 잘 만들어진 모델을 domain knowledge와 data에 맞춰 최적화를 통하여 제조혁신에 이바지 하고자 합니다. 이에 인공지능 vs 산업공학 대학원 중 어떤 대학원이 저에게 가장 이점으로 다가올수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3.08.28
산공
대댓글 2개
2023.08.28
혹시 실례가 안된다면, 어떠한 이유가 있을까요?
2023.08.28
에리어가 산공에 더 많이 겹칩니다
2023.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TSC 관련 ML 박사과정생입니다. 매우 Specific한 주제를 희망하시는데 연구란 게 딱 그게 하고 싶다고 똑같은 걸 하게 되지는 않을겁니다. 말씀하신 도메인 최적화 등은 대학원에서 할 내용보다는 현업에서 적용할 내용 같네요.
대댓글 2개
2023.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산공은 잘 모르는데 윗분이 산공 추천하시는것 보니 산공에서 할수도 있겟네요
2023.08.28
친절한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2023.08.28
저도 산공이 더 나아 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3.08.28
혹시 이유가 있으실까요?
2023.08.28
이상치 탐지는 인공지능 대학원 보다 산공에서 주로 다루는 내용입니다. 고차원의 시계열 데이터는 다루는 방법이 워낙 많지만 이상치 탐지를 전문적으로 하고 싶으시면 산공이나 통계로 가는 게 맞습니다. 그런데 그 분야에 새롭게 연구할 게 있는지는 의문이네요.
2023.08.28
대댓글 2개
2023.08.28
2023.08.28
2023.08.28
대댓글 2개
2023.08.28
2023.08.28
2023.08.28
대댓글 1개
2023.08.28
202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