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이유는 배터리 기술에 흥미가 있어서, 또한 연구직이나 개발직으로 취업하고 싶기 때문이었습니다.
대학원 생활을 해 보니 물론 힘든 일도 많지만, 이쪽 분야의 연구에 적성이 맞다고 느껴집니다.
이러다 보니 박사까지 할 지 석사 후 취업을 할지 고민이 됩니다
계속해서 좋은 연구 성과를 내고, 연구원이 된 후에도 먼 미래까지 생각해서 좋은 대우를 받고 싶다는 바람이 있어 박사를 하고 싶긴 하지만, 이것이 4년이 넘는 시간을 인고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때문에 배터리 분야에서 석사 취업하는 것과 박사까지 하는 것의 장단점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그 밖에 조언, 충고 해주실 것이 있다면 달게 받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3.09.02
지금 이차전지 박사들 미포닥 후 미국 전기차기업으로 가는 친구들 많아서 빅테크 쪽 가고 싶으면 가장 좋은 분야인간 확실함 반도체랑 이차전지는 박사까지 하는걸 추천하는게 못해도 삼전 하닉이나 배터리삼사로 가기 때문에 다른 분야랑 비교하면 박사하는 사람들 많긴함. 바이오 하는 친구들이랑 비교하면 복에 겨운거임
대댓글 3개
2023.09.02
저희 랩실 석사 졸업생 분들이 배터리 삼사로 취업을 잘 해서 더 고민이 되긴 합니다...처우나 연봉, 연구 환경, 노후까지의 삶 등에 대해 석사와 박사의 차이가 클까요?
2023.09.02
기업 가는거면 차이 엄청큼. 석사는 학사랑 똑같다고 보면 되고 박사부터 연구인력으로 평가받음. 이차전지쪽은 임원급들 일단 다 박사출신임
2023.09.02
감사합니다.
2023.09.02
배터리 하는 방은 석사먼저 시키고 박사할 애들도 가려 받던데 거기가 박사 진학률 가장 높은 분야아님?
대댓글 1개
2023.09.02
맞습니다 하지만 석사로도 취업이 잘 되기에... 박사를 해서 제대로 된 연구자가 될지 아니면 빨리 경제활동을 해서 안정적인 생활을 할 지 이 두 생각이 머릿속에서 계속 충돌하는 것 같습니다
2023.09.02
배터리는 금전적 어려움이나 본인이 능력부족한게 아니라면 보통 다 박사하려고 합니다. 기업가서도 임원까지 올라갈 수 있고 가장 최신의 분야를 연구하게 되니깐 학생글 선호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그냥 노력에 비해 아웃풋이 잘 나오는 분야라 박사를 한다는건 아닌것 같고 박사하면서 치열하게 할 자신있으면 하는게 베스트인거 같네요
대댓글 1개
2023.09.02
감사합니다.
2023.09.02
디는 모르겠고 지유는 석사만 시키고 이차전지렙 박사 엄청 가려서 받던데 교수님이랑 이야긴 된건가요? 교수님께서 ㅇㅋ해주신거면 무조건 해야죠...적어도 배터리 삼사에선 학석이랑 박사는 취업 난이도랑 대우가 차원이 다른데
대댓글 3개
2023.09.02
그 부분은 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혹시 지스트 배터리랩에서 석사 후 박사 엄청 가려서 받는다는건 어디서 들으신 얘기인지 알 수 있을까요? 제가 볼 때는 그정도까지는 아닌거 같아서요
2023.09.02
저희가 바인더 합성한걸로 유니 지랑 코웍 하는데 그 방 학생들이 그러더라구요. 그리고 교수님이 넌 어디갔으면 좋겠다라고 간접적으로 어디가라고 권유도 많이 하신다고도 들었구요
2023.09.02
랩 바이 랩인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2023.09.02
이차전지는 한중일이 세계적으로도 실적잘 내는 분야라 학계로 가기도 좋아요. 석사때 실적도 괜찮고 실험하는 것도 재밌으면 교수님이랑 잘 이야기 해보세요. 저희렙은 석사때 실적 못내면 박사 안 받아주셔서 하고 싶어도 못하는 애들 많거든요ㅜ
대댓글 1개
2023.09.02
감사합니다 혹시 spk 랩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2023.09.02
근데 잘생각해야하는게 단순히 취업이 목표라면 석사가 금전적으로 훨 벌고 (임원진들이 박사출은 맞는데 과연 국박 비율이..?ㅋ)
실적도 윗 댓글대로 잘나옴. 배터리가 소재부터 어플리케이션까지 재료, 화학, 에너지 등 걸친 분야가 많아서 (특히 연구적으로 핫한파트)
다 잘쓰는데 중요한건, 모두 다 잘함. ㅋㅋㅋㅋ
그래서 타 과 대비 연구 실적들이 다 좋음 (물론 이차전지 붐돼서 초기에 뽑힌분들은 약간 낮지만 최근 임용보면)
결론은 학계에 가고싶으면 spk 배터리랩, 혹은 spk 석 후 해외박 추천하고, 아님 걍 석사하고 빠르게 3사 취업 ㄱ
대댓글 2개
2023.09.02
지유디 박사 대기업 연구원 취업은 메리트가 딱히 없을까요?
2023.09.03
메리트가 없다기보단.. 대기업 내 연구소를 갈거면 학계쪽으로 정출연이나 학교를 바라보는게 낫지 않나요? 배터리쪽 대기업 연구소면 LG 마곡 차세대연구소나 포스코 RIST (미기연), SK 이노 ON 연구소정도 말씀하시는걸텐데..뽑는 인원도 기존 사업부보단 훨씬 적고.. 정출연 교수보다야 훨씬 널널하지만 ...
2023.09.03
배터리 연구는 10년안에 팹리스가 대세가 될듯. 제조 산업은 중국이나 다른나라고 넘어가고, 모델링 설계나 운용 소프트웨어 중심 연구가 될거라는 개인적 생각. 물론 학계연구에서의 소수 신소재개발은 계속 되겠지만....
2024.11.17
저랑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시네요. 저는 석사졸업한 상태로 취업준비를 하고있는데 해외 취업이나 박사도 여전히 고민이 됩니다.. 혹시 현재 어떤 선택을 하셨는지랑 이유가 궁금합니다.
2023.09.02
대댓글 3개
2023.09.02
2023.09.02
2023.09.02
2023.09.02
대댓글 1개
2023.09.02
2023.09.02
대댓글 1개
2023.09.02
2023.09.02
대댓글 3개
2023.09.02
2023.09.02
2023.09.02
2023.09.02
대댓글 1개
2023.09.02
2023.09.02
대댓글 2개
2023.09.02
2023.09.03
2023.09.03
2024.11.17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