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현직 교수입니다. 어떤 구체적인 상황과 사례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우 학생이 학문.연구.공부를 대하는 태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설령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더라도 제 시야에서 진실된 태도로 임한다면 논문 하나 더 찾아주고 책 챕터하나 더 보여주고 하고 있습니다. 발전 가능성이 보이니까요. 능력이 좋아 투자 시간 대비 효율적으로 결과물을 가져오는 학생의 경우, 결과물에 대해서는 칭찬을 하지만 마음이 가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더 잘할수 있는 게 보이지만 학생 스스로 판단하여 본인만의 한계를 만든다면, 그냥 뭐....그 정도 애구나 생각하는거죠. 학생의 육성 관점에서, 실적/실력보단 태도를 더 가중치 둡니다.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14 - 한국은 학부 간판이 무슨 임용 보증수표마냥 생각하는 듯. 학부가 서울대라면 임용에 여러모로 장점이 있겠지만, 서울대라고 해서 다 교수가 되나요? 서울대끼리 경쟁하는 건 생각도 못하시나? 의대 입학하면 다 쉽게 돈버나요? 의대생끼리 경쟁해서 비인기과 받으면 적성 맞지않아서 평생 고생하고 마음고생합니다. 웃긴게 학부가 낮으면 대단하다고 생각하기보단 어떻게 저 자리를 갔을지 의심부터하는 후진국 마인드. 경제 선진국이라 셀프 위한하면 뭐합니까? 교수를 지원하거나 현직들도 이런 고등학생 입시같은 생각을 평생 떨치지 못하는데요. 중고등교육도 문제이지만 대부분 대학교를 진학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교수들이 제일 문제임. 교육철학은 무슨, 학생들이 과거의 본인모습, 미래의 에이스가 아닌 그저 본인 노예정도로 생각하지. 이런거 보면 간판 다 필요없음. 교수판에서 어떻게 사탄들에게 세뇌 당하지 않고 당당하게 소수로 살아남는지가 핵심임. 학부간판이 그렇게 중요하면, 서울대에서 다 학부 졸업하고 자대에서 편하게 다 박사를 받지 왜 유학을 하겠어요? 그리고 교수가 그렇게 좋은 직업인데 왜 낮은급 대학을 갔는데 재수삼수 아니 10수를 안하나요? 그냥 본인이 말하는 것부터 다 모순덩어리임. 스스로 생각 좀 하고 삽시다
일찌감치 교수직 마음 비우고 다른 길도 생각하면
19 - Springer -> 좋은 거, MDPI -> 나쁜 거, IEEE Access -> MDPI보다는 나은 거.. 이렇게 이해하시면 됨.
springer가 뭔지 mdpi가 뭔지 하나도 모르는 석사인데 정상인가요ㅠ?
16 - 부엌에서 도구 찾아서 들고 가라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2 - 와진짜 찐따같아요 ㅋㅋ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48 - 작성자가 댓글을 읽든, 안 읽든 간에... 그래도 이런 댓글은 안 쓰는게 어떨까요...
표현의 자유라지만... 모두가 열심히 하고 성취를 느끼고 싶어서 오는 커뮤니티인데... 아쉽네요...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3 - 노력은 더 해보고 포기해보시는데 어떨까요
열심히 하셨겠지만 잦은 실수, 더딘 실력 향상 등 항상 사람은 한계에 닿게 되고 그마저도 대학원에선 더욱 더 크게느껴지죠.
진짜 미친듯이 해보고도 안되면 그때 미련없이 떠나는것도 실력입니다. 지금 눈물나시는 것은 아쉬움과 본인에 대한 실망 자책감이겠죠.
많이 힘드시고 다른 것을 찾아서 하시면 더 잘하실 것들도 분명 있겠지만, 인생 뭐 있습니까? 한심하게 후배 뒷담이나하는 선배들 코 눌러주는 좋은 실적 쌓아보는건 어떠실까요?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3 - 본인 랩 기준 확실히 잡아서 기준 미달이면 졸업 절대 시켜주지 말고 논문은 코멘트 위주로(직접 고쳐주는거 x) 하면서 직접 고치게끔 하셈.
그리고 과제 일 제대로 안하면 랩세미나 등에서 공개적으로 좀 뭐라하고, 잘 해오는 애들한테는 칭찬 및 논문 잘 봐주고 차별을 하셈.
일 못하는 건 괜찮으나 안 하거나 잔머리 굴려서 꾀 쓰는 애들은 좀 현실의 냉혹함을 맛보게 해줄 필요가 있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6 - 꼭 그렇게 경쟁 난리를 처야지 알아먹나. 걍 잘해주고 지네 실적 만들어줄때 알아서 할거 하면 지네가 이득일텐데. 걍 진짜 애들 인생 망하더라도 알빠노 하고 열심히하는 애들만 신경써야되나. 고민이 많구만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2 - 스스로 부족함을 느낀다는것은 성장할 여지가 있는 좋은 자세입니다.
학위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성장하는 과정이에요. 부단히 노력해야겠지만, 부족하면 매꿔나가면 되어요.
지금의 속상함이 더 성장하는 터닝 포인트가 될수도 있어요!
더 나아진 본인을 상상하면서 더 노력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6 - 인생에 길은 꼭 하나가 아님..작성자처럼 적성에 안맞는다고 판단해서 일찍 다른 길로 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가는게 미덕은 아니에요.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12 - 그건 중소기업 사장이랑 똑같은거임
사장이 가장 뼈빠지게 일하는게 정상임 ㅋㅋ
꼬우면....아시죠?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11 - 이런 글에 이런 댓글 쓰는 당신이 그래보이시네요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0
서울대 기계공학부 면접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023.10.02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에 지원할 예정인데, 면접과 구술고사 진행 과정에 대해 알고 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1. 개념을 물어보는 질문인지, 수식과 숫자가 포함된 문제를 풀고 그것을 설명하는 방식인지 궁금합니다.
2. 입실 전에 종이에 프린트된 문제를 나눠주고 몇분간 풀고 들어가서 설명을 하는건지, 입실을 하고 교수님께서 말로 질문하시면 대답을 하는 건지 알고싶습니다.
서울대 기계공학부 면접에 대해 아시는 게 있으신 분들께서
편하게 댓글 남겨주시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대 기계과 교수님 컨택 면담 준비 김GPT 1 12 8028
서울대 기계과는 김GPT 0 5 5102
서울대 대학원 기계공학과 김GPT 0 7 9511-
0 1 761
서울대 면접 김GPT 0 5 7789
서울대 기계 면접 공부 김GPT 0 5 2725
서울대 기계 김GPT 0 4 6130-
0 2 6873
서울대 기계과 ㅈㄱㅈ교수님 질문 김GPT 1 3 5604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214 33 25923-
96 85 63141 -
261 35 3752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95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21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8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3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42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4 - 인건비 아끼면, 뒷감당 가능함?
45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1 -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4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11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9 -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34 - 동문은 학부만 말하는건가요?
45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5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3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2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4 - 학점 낮아도 갈 수 있는 건가요
6 - 교수 임용 때 사회성은 안 보나요?
8 - 컨택 시 랩장과의 면담
7 - 연구 내용에 관한 소유권 문의
7 - 카이스트 기술경영 vs 고려대 컴퓨터학과
7 - 기업이 잘나가야 우리나라가 잘 지낼 수 있나에 대하여
6 - 학점 4.3 자대 타대 고민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95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21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28 - 석사 인건비 안줘도 되는거 아님?
63 - 미국처럼 석사과정은 인건비 주면 안된다고 봄
95 - 타대생이라고 타랩에 짬처리시킬거면 차라리
42 - 연구실 한줄평 필요한듯
74 - 인건비 아끼면, 뒷감당 가능함?
45 - 편애 정도가 아니라 이거는 그알 취재 해야됨
31 - 9 to 6에서 9 to 8으로 바꾸자는 교수님..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합니다.
24 - 이공계 박사 졸업 후 이제 어떡하지?? 선배님들 헬프입니다 ㅠㅠ
11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9 - 우리나라도 학/석/박 다 다른 대학인 경우만 인정해줘야 함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18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41 - h-1b 비자 10만불
9 - 논문 많이쓰면 안 좋나요?
34 - 교원 1인당 논문 피인용 지수 국내 1위·세계 4위 대학: DGIST
25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23 - [질문] 이런 경우 교수님을 공저자로 넣어야 의무는 없겠죠?
22 - 교수인데 학생들 너무 빡친다
24 - 교수 임용 때 사회성은 안 보나요?
8 - 컨택 시 랩장과의 면담
7 - 연구 내용에 관한 소유권 문의
7 - 카이스트 기술경영 vs 고려대 컴퓨터학과
7 - 학점 4.3 자대 타대 고민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2023.10.03
대댓글 3개
2023.10.03
2023.10.04
2023.10.12
2024.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