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유체분야에 관해 질문드리고싶습니다.

2023.11.03

12

1588

유체역학과 열전달이 너무재밌는 기계과 3학년 학부생입니다.
때문에 인공신경망 기반 유동해석을 주제로한 자대 랩실 진학을 고민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주변 선배들에게 들은 조언으로는 유체역학이 고이고고인 분야라 논문나오기도 힘들고 취업이 잘안된다 말씀하셨습니다.

때문에 이 분야의 현실을 제가 놓치고있는것이 있나 싶어 서칭을 하던중에, 김박사넷 회원분들께도 여쭤보고싶어서 직접 글써봅니다.

유체분야 연구의 전반적인 필요성과, 논문이 잘 안나오는 분야의 단점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귀중한 답변 남겨주신다면 추후 저의 진로선택에 큰 도움이될것같습니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3.11.03

유체전공은 아니고, 한국취업시장도 잘 모르겠지만

미국 탑화공기업에서 현직인데 유체쪽 공부한 친구들 취업 잘 해요.

유체도 분야가 너무 다양해서, 미국취업시장 기준으로 고분자/화공쪽으로 본인벨류를 키우고 싶다면,

레올러지 쪽으로 전공을 해 제품성능을 개선시키며 인사이트를 제공해줄 수 있거나 프로세싱에서 각종 트러블슈팅할 수 있다면 스펙상으로는 취업에 전혀 문제없을거에요.



대댓글 2개

2023.11.04

조언 감사드립니다. 다만 화공/고분자쪽은 완전 문외한이라 말씀하신 부분을 전부 이해하진못했으나, 유체 자체도 분야가 워낙 다양하여 정확히 어떤 분야를 선택해야할지 스스로 고민을 좀더 해야할것같네요

2023.11.05

전에도 비슷한 글 올려주신 것 같은데 요즘 고분자와 레올로지 관련한 연구분야는 어떤 게 있을까요? 고분자와 복합유체 쪽을 잘 모르지만 관심있는 학부생입니다.
또 어느 분야로의 진출이 가능한지도 궁금합니다

2023.11.03

전산유체역학 취업잘되던데

대댓글 1개

2023.11.04

감사합니다. 유체 랩실 중에서도 CFD만 전문적으로 하는 랩실이 있는건가요?? 대부분의 유체연구가 CFD 기반으로 연구하지않나요?

2023.11.03

유체+딥러닝하고 있습니다. 유체 자체는 ㅈㄴ 고인물 맞습니다. 그래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연구가 요즘 잘 나갑니다. 한국은 모르겠고 주변에 취업 잘 하고 있습니다. 논문 수는 너무 케바케가 심해서 관심 주제로 논문 많이 나오는지 찾아보세요.

대댓글 1개

2023.11.04

감사합니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하면 기존 CFD에 비해 유동을 고속으로 해석할수있다고 들었습니다. 이외에 다른 장점 또는 한계점이 이있을까요?(복잡한 유동의 해석이라던지, 정확도에 대해서라던지) 또한 주변에 취업은 어떤 분야의 기업으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2023.11.04

전산유체역학을 학부때부터 배우신 건가요?

대댓글 1개

2023.11.04

강의에서 배운것은 아니고, 인도분들 유튜브보면서 독학하고있습니다.

2023.11.04

저도 비슷한 주제의 랩실을 찾고 있습니다... 혹시 학교 힌트 주실 수 있나요..??

대댓글 1개

2023.11.04

타대에서 진학하실만한 급의 학교는 아닌것같습니다.
인천에 소재하고있는 대학입니다.

2023.11.04

한국에서는 화공쪽으로 분류되는, 복잡 유체 및 유변학 분야도 제조업 거의 전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계면과 연관된 유동도 아직 연구할 분야가 많고요.

전통적인 이동현상 분야가 오래되긴 했지만 스테디셀러같은 느낌이라서 나름의 연구주제들이 계속 나오고있고 취업 시장에서는 유행 안타고 꾸준히 잘 뽑힙니다.

저는 오히려 인공지능이나 이차전지의 유행을 따라 지금 전공에 진입하는 젊은 연구자들이 나중에 인력 공급 과잉 문제를 겪게될거라고 생각해요. 지금도 일부 조짐이 보이고있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