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지원 그만할까..

2023.12.23

11

6020

지금은 박사받고 대기업 연구소에서 일하고 있는데
연구가 재밌는데 회사는 항상 연구하기 어려울거같다는 생각에 저번학기부터 학교 지원중에 있는데요
실적 등등 고려해서 중위권, 지거국 정도만 지원했는데 세보니까 2학기동안 (중복포함) 15개정도 지원했고 학과면접은 한 6번 들어가고 최종에서 두번 떨어지고..
근데 그마저도 이번에는 학과면접에서만 우수수 떨어지네요 ㅜㅜ

아직 지거국이 남긴했는데 요즘 드는 생각이 물론 당연히 교수가 지금 잡 보다는 훨씬 좋지만 굳이 그렇게 아둥바둥 살면서 연구하는게 맞나 회의감이 드네요.
특히 지금 회사가 만족스럽고 편한데 굳이 생고생하면서 옮겨야할까? 연구 좀 못한다고 죽나? 라는 생각이 점점 지배적이 되는거같아요.
지금 남은 학교도 지거국이다보니 만약 된다면 지방 내려가야하는데 이것도 지방소멸 고려했을때 답답하기도하고 (이직하면 된다지만)

그냥 생각이 많은데 어디 배출할데가 없어서 싸질러봤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12.23

여기저기서 지방소멸 예상하는건 조금 과장된 측면이 있습니다. 물론 인구감축은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긴 하나 커뮤니티에서 오가는 말처럼 충격적이진 않을거에영. 제 생각에 광역시들은 절대루 안없어질것 같아요. 정치적으로 이해가 첨예하니깐.

대댓글 1개

2023.12.23

설령 님이 임용되신 학교가 더이상 연구가 힘들정도로 학생들이 없어진다 해도 정부가 개입해서 다른학교나 연구소로 구조선 보내줄듯 합니다. 그지경까지 가면 손놓고 가만히 있을만한 상황이 아닐테니...

2023.12.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구지속 가능한 대학 아니면 교수왜함.

대댓글 1개

2023.12.23

사람마다 가치관이 다르죠. 저도 국내에서는 10위권정도되는곳에서 교수해서 어느정도 연구가 가능하지만, 모든 교수가 연구를 목표하지는 않습니다. 사실 대다수의 학교보다 정출연이 연구인프라나 주변환경이 훨씬 잘 구축된곳도 많죠.
국내에서 교수는 되는게 어려울뿐이지, 솔직히 되고나면 만족도는 정말 최상입니다. 또 연구욕심 없는사람들은 오히려 적당한 지거국가는걸 선호하기도 해요.
또 글쓴이분에게 하고싶은말은, 저도 정출연 생활 정말 만족했는데 스스로 연구욕심때문에 주50시간 넘게 일하면서 논문썼고, 그러다보니 운좋게 학교로 옮겼습니다. 저도 지금 생활 만족하는데 굳이 옮겨야되는지에 대한 고민도 많이했고, 또 연구소에서도 O박사는 어차피 곧 학교로 옮길거라는 말 듣는것도 솔직히 불편했습니다.
교수되고나서 저는 정출연에 잇을때보다도 더 열심히 일하고있지만, 최소한 제가 일하는만큼 아웃풋이 "제 이름으로" 나는게 상당히 마음에 듭니다. 학생들 보면 솔직히 갑갑할때도 많지만, 학생들이 성장해가는 모습도 보면 예전 제 모습보는것같기도 하고 보람될때도 많아요. 후회없는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마찬가지로 저도 현시점에서는 몇개학교를 제외하고는 옮기는게 과연 좋을지는 고민해보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물론 적당한 국립대 가셔서 편하게 사시는것도 본인선택이고, 그런삶 살면서 만족도 높은교수들 많이봅니다. ㅎㅎ

2023.12.23

일단 최선을 다해보시고 남은 결과를 보고 고민해도될듯요

2023.12.23

저는 사기업 생각중인데 기업에서 연구가 어렵다는게 무엇때문인지 알수있을까요?

대댓글 1개

2023.12.23

기업은 바로 돈되는 해야죠.

2023.12.23

최종 두번이나 가셨으면 가능성이 있으신 분입니다. 해외경력 없으시죠? 해외 포닥 가셔서 가자 마자 바로 지원 시작하시면 아마 좋은 소식 있을겁니다. 아니면 실적 유지하시면서 꾸준히 지원하셔도 되실수 있는데, 사기업에서 일하시면 하나씩 실적이 없어지니..

대댓글 3개

2023.12.24

2023.12.24

해외포닥 가서 지원하면 뭔가 다르게 보나요? 대학측에서?

2023.12.24

당연하죠.. 해외포닥 하는 중에 지원하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해외 경력이 1년이라도 있고 없고의 차이가 큽니다. 해외 경력이 있어야만 임용되는거는 아니지만, 이게 없으면 태클걸거나 하는 분이 많이 있으실거에요. 사기업에서도 해외경력 있으면 국내보다 훨씬 좋게 봅니다. 일단 그 환경을 뚫고 갔다는것, 그리고 거기서 생존하고 있다는것 부터가 본인 능력과 역량에 대한 증명이거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