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서 처음에 들어올 때 등록금내주신다 하셨고 지금 받는 월급(인턴월급)보다는 적게 받을거라고 했습니다. 지금 월급은 연구원으로 등록되어 있어서 세전 200좀 넘게 받고 있습니다.
인턴 월급을 너무 잘 챙겨 주셔서 돈으로 박하진 않겠구나 하고 반년 안되게 연구실 생활하고 있습니다.
근데 문제는 이제 학생으로 들어오게 되어서 월급을 물어봤는데 세전으로 부르신 금액이 터무니없는 금액이라서 글 올리게 되었습니다.
등록금 얼마인지 모를리가 없으실텐데 등록금 제외하고 나면 20만원도 안 되는 돈이 남습니다. (약15만원)
연구실 생활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럽고 같이 일하는 사람들도 모두 친절하고 유능해서 여기에 계속 다닐 생각이 있었는데,
이 정도 돈이면 월세, 식비, 교통비 중에 아무것도 커버를 할 수 있는데 없습니다. 전적으로 대출아니면 부모님께 의지해야하는 상황인데..
석사가 월 60도 보장 못 받는 게 맞나요?
여쭈어 보니 인건비는 학생 월급이 아니라 연구과제에 따라 정해진다는 말만 하시네요.. 연구 조교도 교수당 한학기에 1명이라는데, 그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조교를 한학기 이상하는 것(동기와 후배를 고려)은 불가능하고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장학금도 한정적인 것 같습니다. 적성에 맞는데.. 그거 하나만 보고 이렇게 돈을 받아가면서 계속 다니는 것이 맞을까요?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01.03
연구실이 현재 그렇게 운영되고 있다면 그걸 바꿀 방법은 없구요. (이미 연구과제의 연구범위와 인건비, 재료비 비중이 그렇게 정해져서 돌아가는데 갑자기 인건비가 생길리가 없고, 한 명만 사정을 봐 주는 것도 어려우므로..) 인건비가 부족하다고 생각되면 입학 전에 빠르게 같은 과 다른 연구실이나 다른 학교로 옮기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1.03
참, 연구원 때 재학생이 아니라 졸업이나 휴학생이었나요? 졸업생이나 휴학생은 학생인건비 지급할 수 없어서 근로계약을 해야하는데, 그러면 최저시급 적용하면 세전 200만원 정도가 나옵니다. 법적으로 그게 최저금액이라 그렇게 지급하셨을 거예요. 학생은 법적으로 근로자가 아니어서 최저임금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기재부에서 예전에 간혹 코스워크 끝나지 않은 학생들에게 참여율 100%로 인건비 지급하는 걸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지 않는다고 감사에서 지적했다는 소문이 있었는데요. 그걸 보면 정부는 학생이 공부하는 시간 또는 자기 학위과정을 위해서 연구하는 시간에 대해선 연구과제 인건비를 지급하지 않고, 순수하게 연구과제에 투자하는 시간에 대해서만 인건비를 지급하는 걸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2024.01.03
전적으로 랩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사전에 알고 결정했어야하고요. 등록금을 당연히 내줘야 할 이유는 없고, 실제 지원받는 금액은 등록금+그정도이니 월 60도 보장 못 받는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생활하기에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돈 인 것은 맞지만, 주는 쪽이 학교든 국가든 랩이든 어쨌든 월 60보다는 훨씬 많은 돈을 지원하는 거니 맞고 안맞고를 따질 수는 없네요. 이공계에서 등록금도 못 주는 랩은 너무 심하니 아예 가면 안되는 건 맞지만, 등록금 내고 남은 생활비는 랩별로 천차만별이고 그건 그 랩 상황이 그런 거지 누구를 탓할 수는 없습니다. 더구나 과제 따기 하늘의 별따기고 R&D 삭감이 매일 뉴스로 나오는 요즘 시점에요. 사전에 확인해보고 안 맞으면 그냥 돈 더 주는 다른 랩 가면 되는 문제입니다.
2024.01.03
연구원은 좀 기준이 다릅니다. 인턴을 연구원으로 등록하고 제대로 고용한 것은 매우 호의를 베푼 것 같긴 한데요. 어쨌든 연구원은 학생이 아닌 직장이므로 등록금도 없고 최저임금 이런 것들이 다 적용되어서 학생하고 완전 다르게 생각해야죠.
2024.01.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생 인건비 땡겨서 인턴 월급 받은거라고 생각하세요. 세상에 님이 바라는 유토피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댓글 4개
2024.01.03
이게 맞죠 미리 조금 땡겨 받은 느낌이 크고,인턴 월급 많이 준 걸 당연하게 생각하면 절대 안되는데 요즘 학생들 고마운 줄 모르는 듯 그리고 등록금 납부하면 생활비 조금 남는게 평균 이상 연구실임 심지어
2024.01.06
그러면 다른데로 도망쳐도 되는거 아님? 타대 연구실 자대 연구실 취업 등등
2024.01.06
뭔 ㅅㅂ 땡겨서 준다 ㅇㅈㄹㅋㅋㅋㅋ 남아있을지 어떻게 알고?ㅋㅋ
2024.01.06
유토피아 ㅇㅈㄹ하고 있네 ㅅㅂㅋㅋ
재치있는 제인 오스틴*
2024.01.03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안다. 대표적인 예시네. 월급이 불만이시면 다른 랩가던지 본인이 과제 써서 수주해오시면 됩니다.
2024.01.04
석사가 뭐 대단한거라고 60은 보장받는다고 생각하시는건지. 심지어 석사과정이시니 그냥 학사이신거잖아요. 그만한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니까 교수님도 그 정도로 주신 겁니다. 불만 있으시면 나가시거나 과제 받아오시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4.01.05
정확히는 등록금+60이기도 하고
2024.01.04
대학원생은 돈버는 직업이 아닙니다. 학생임.
대댓글 1개
2024.01.04
맞아요. 월급을 받으면 일을 해야하는데. 공부만 하면서 돈을 벌겠다는 것은 자본주의를 잘 모르는 사람.
2024.01.06
먹튀하셈ㅋㅋ 뭔 미련이 있다고 계속 거기 있어요ㅋㅋ 연구실은 많고 그냥 제가 볼 땐 회사가서 그 이후로 지원받고 공부하는게 나아보이네요 여기는 꽉막힌 꼰대 새끼들밖에 없어서 걍 회사가는거 추천드려요ㅋㅋ
2024.01.06
근데 등록금 내고 거의 안남는 곳이 더 많을걸요. 보통 월 150 이하로 주고 등록금하고 생활비 해결해라 하는곳도 꽤 있는걸로 아는데. 여유있게 다니고 싶으시면 과기원을 가시고 아니면 등록금은 대출로 돌리셔서 해결하셔야할듯
2024.01.03
대댓글 1개
2024.01.03
2024.01.03
2024.01.03
2024.01.03
대댓글 4개
2024.01.03
2024.01.06
2024.01.06
2024.01.06
2024.01.03
2024.01.04
대댓글 1개
2024.01.05
2024.01.04
대댓글 1개
2024.01.04
2024.01.06
202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