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9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30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7 - 포연고 까지 빼야되면 사실상 대한민국 이공계 망했다 아님?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3 - 멋있으십니다!!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11 - 정말 너무하네요..
심지어 인턴까지 한 후에 저런식인거면 평소에 학생을 어떻게 생각하는건지
그런 연구실 안가게 된게 다행이라고 생각하시고 다른 연구실 얼른 컨택 하시는게 나을것같습니다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2 - 문과라는게 애시당초 기술이라는게 없음. 당장 제일 인기있는 로스쿨에서도 법을 공부해서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변호하고 판단하는 일이지. 과학기술 정책학? 굳이 박사학위가 있어야 정책을 세우나?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24 - 학생 입장에서야 책잡힐만한게 있었는지 돌아보고 얼른 털어내는게 좋겠지만
티오 확정해놓고 내빼는건 아니지
학생 미래가 우스운건가
교수가 ㅁㅊㄴ이라기보다
ㄱㅅㄲ가 맞음
남일이니 말은 쉽겠지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1 - 인문학 계열은 학문의 깊이가 다름..
나야 전공수업 몇 개 듣고 실험이나 좀 하면서 논문 쓰고 얼레벌레 졸업하기는 했지만
인문학이나 아니면 진짜 자연과학으로 박사하는 사람들은 진짜 리스펙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9 - 이건 뭔소리지..ㅋㅋ
학문적 난이도, 깊이, 공부량 모두 인문학은 이공계 상대도 안됨
공과>>자연>>>>>>>인문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25 - 지나친 겸손은 독이 됩니다
그만한 자격이 있기 때문에 수상한 겁니다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21 - 학부생이라고 하셨으니, 글쓴이보다 경험이 많은 입장에서 쓰겠습니다.
일단 알빠노입니다. 상을 잘못 준 거였으면 기관 잘못이고, 잘 준 거였으면 본인이 잘난겁니다.
하지만 상은 과거에 내가 잘 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지 앞으로 잘 할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일 본인이 상 받기에 부족한 실력이라 생각한다면 노력해서 그 정도 레벨로 스텝업 할 수 있게 하세요.
아직 자신이 많이 부족하다,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얘기하는데 솔직히 현직 교수들도 그렇습니다.
상 받았으면 주변인들과 같이 즐기고, 맛있는 것 먹고 앞으로도 계속 노력하면 훌륭한 학자가 될 수 있을 거에요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27 - 자연과학 >> 공학 >>>>>>>>>>>> 문사철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7
대학원 컨택 시기에 대하여
2024.01.08

현재 타 대학원 진학을 준비 중인 인서울 공대 전자공학과 3학년 학생입니다.
이번 학기가 끝났으니, 이제 4학년 준비생 (3학년 겨울방학) 이네요.
다름 아니라 대학원 진학을 준비 중인데, 컨택 시기에 관하여 주위 분들의 이야기를 많이 들으면 들을수록 좋을 것 같아 김박사넷에 계신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여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가장 많은 들은 컨택 시기는 '4학년 1학기 중간고사 마치고' 였습니다.
그 다음으로 '4학년 1학기 여름방학'과 '4학년 2학기 겨울방학' 이였구요.
하지만 제 성격이 불안함을 많이 느끼는 편이라 제가 이렇게 고민하고 있는 시기에도 저보다 더욱 뛰어나신 많은 분들이 컨택을 시도하고 있을 것만 같은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3학년 2학기 겨울방학' 바로 이번 방학 안에는 원하는 랩실에 컨택 이메일을 한 통씩은 보내려고 생각 중입니다.
이미 우연한 기회로 3학년 1학기에 면담을 진행한 몇몇 타 대학 교수님들께서는 일찍 와서 좋았다, 내년 부터 인턴 해보는건 어떠냐 등등 이른 시기에 굉장히 만족하시는 듯한 말씀을 해주셔서 더욱 컨택을 일찍 해야만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학원에 진학하신 석박사 선배님들과 아직 진학을 준비중인 학부생 분들은 다들 언제 쯤 첫 컨택 메일을 작성하셨나요?
학점 3.8 대학원 힘들까요? 김GPT 9 15 11720
회로설계 대학원 김GPT 0 10 3290-
1 8 4946 -
4 8 4121
대학원은 어떤 경로로 가는 건가요? 김GPT 0 8 3061
컨택 시기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김GPT 0 2 1460
교수님께 컨택을 하는시기 김GPT 0 2 5961
대학원진학 긴글주의 김GPT 0 3 1258
대학원 진학시 컨택은 김GPT 0 6 2184-
138 36 108953 -
268 35 39154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47 39 4942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73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23 - 사이비 이론 때문에 게시판이 달궈졌던 이유
20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5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0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23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41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10 - 반 철학자 A 협회입니다.
5 - 석사 디펜스 일정이 잡혔네요....
5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55 - 대학원생의 연애와 결혼은?
4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4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8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23 -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8 - 박사과정.. 계속 하는게 맞는걸까요..?
8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8 - 난양공대vs도쿄•교토대 (공대임)
9 - AI대학원 진학 전인데, 다들 GPU 넉넉하신가요?
8 -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1 - 대학원 동시합격 질문
9 - 어디까지가 포닥일까요?
8 - 학부연구생 한달차 벌써 너무 힘듭니다.
9 - 논문을 한국에 우선적으로 발표하고 싶은데...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9 - 고려대 4.0 →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석박통합과정 합격
7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73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23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5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0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23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41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10 - 반 철학자 A 협회입니다.
5 - 석사 디펜스 일정이 잡혔네요....
5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55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30 - 컨텍 메일 답변이 어느정도 긍정적인건가요?
10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4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23 -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8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8 - 난양공대vs도쿄•교토대 (공대임)
9 - AI대학원 진학 전인데, 다들 GPU 넉넉하신가요?
8 -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1 - 대학원 동시합격 질문
9 - 어디까지가 포닥일까요?
8 - 학부연구생 한달차 벌써 너무 힘듭니다.
9 - 논문을 한국에 우선적으로 발표하고 싶은데...
8

2024.01.08
대댓글 1개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