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취업을 고민했으나, 데이터 분야, 인공지능 분야는 대부분 석사 이상의 학위를 원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래서 부족한 부분은 공부해서 석사과정 진행하고, 이후에 취업을 하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대학원에 지원하려고 합니다.
문제는 저는 기술의 원천적인 분야에 대해서는 흥미가 없습니다. 기술을 빠르게 배우고 해당 기술을 이용해서 어떤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더 배우고 싶습니다. 지금까지 해온 프로젝트들도 기술에 대해서 깊은 수준의 이해를 하는 것보다, 기존에 기술(LLM, CV)을 사용해보고 해당 도메인에 어떻게 접목시키고, 효율을 높이는지에 대해 프로젝트를 더 진행해왔습니다.
이런 점에서 제가 궁금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부분 인공지능 대학원이라고 하면, 기술적인 면을 조금 더 깊이있게 배우는 곳으로 생각됩니다. 저처럼 도메인에 접목시키는 분야, 즉 AI + 기술접목 분야로 배우고 싶다면, 인공지능 대학원을 가서 프로젝트를 그런 방향으로 하는지, 아니면 다른 분야의 대학원을 추천해주시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04.01
근데 취업해서 간 직장에서 요구하는 게 그 원천적인 분야일 건데 하기 싫으면 애초에 이 분야를 가면 안될 것 같음
대댓글 3개
2024.04.01
LLM에 도메인 접목시키는 건 백엔드가 하는 일이고, CV를 실무에 적용하는 건 프론트엔드가 하는 일이지 ML 엔지니어가 하는 일이 아님
2024.04.01
설명이 조금 잘못된 것 같습니다. 원천적인 분야를 하기 싫은 것보다는 원천적인 것을 공부하는 것보다 그러한 기술을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방법론쪽에 더 의의를 두고 공부를 하고 싶다는 뜻이었습니다.
2024.04.01
그러니까 그러한 기술을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방법론쪽에 더 의의를 두고 공부를 하고 싶으면 ai대학원을 올 게 아니라 프론트엔드 백엔드 앱개발을 준비하는 게 맞다는 거임
2024.04.01
설명이 조금 잘못된 것 같습니다. 원천적인 분야를 하기 싫은 것보다는 원천적인 것을 공부하는 것보다 그러한 기술을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방법론쪽에 더 의의를 두고 공부를 하고 싶다는 뜻이었습니다.
다정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4.04.01
그런 접목하는 방법론을 공부하는건 인더스트리에서 구르면서 해야되는게 맞고요 대학원은 기초쌓고 그 인더스트리에 들어가기위한 자격을 맞추기위한 준비라고 봐야됩니다
2024.04.01
하고 싶다고 말씀하신 부분은 대학원에서 다루는 내용이 아닙니다 대학원 진학을 원하시면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 분야와 대학원에서 무엇을 배우는지 더 찾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는 게 좋을 듯 하네요
2024.04.01
대댓글 3개
2024.04.01
2024.04.01
2024.04.01
2024.04.01
2024.04.01
2024.04.01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