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1저자 선배ㅅㅂ롬이 계속 논문 작성을 안합니다

2024.06.01

32

10921

욕 죄송합니다

잊고 있었는데 갑자기 욱해서 글을 쓰게 되네요


전개는 이렇습니다

처음에 선배 1명이 새로운 현상을 하나 발견(아이디어 단계, 몇개월 진행) 했습니다

그리고 다른 곳으로 떠났고 제가 그걸 맡아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약 1년에 걸쳐서 그 현상을 확실히 재현하고 시스템을 새로 만들었습니다.(기존에 그 선배가 쓰던 시스템은 폐기, 새로 만든 시스템이 여러 측면에서 좋은 부분이 있었음)
그래서 소자화까지 완성, 논문을 쓰고자 했는데

그 형이 계속 더 키워보자며 얘기를 했고, 그래서 알겠다 했습니다.

이 때 공1저자 앞(선배) 뒤(저)로 정해져 있었고, 워낙 독특한 현상이고 좋은 논문이 되겠다 싶어서 그때까진 납득하고 있었습니다.

그 선배가 미팅하는 건 2주-3주에 한번 한시간 내, 메시지 오간 빈도도 디스커션 횟수도 1주일에 한번정도

그렇게 또 1년이 지났습니다

슬슬 불만이 쌓이고 있었습니다. 포닥 하면서 디스커션 빈도도 더 줄고, 개인사정으로 한달씩 미팅을 못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고 1년 가까이 또 흘렸습니다.

아직도 그 선배가 맡은 피규어 제작이 끝은 커녕 제대로 나오지도 않았습니다.

그동안 참았던 빡침이 다시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이 ㅅㄲ는 뭐하는거지? 이게 코웤의 자세가 맞나?라는 생각이 또 듭니다.

하........................................

그냥 푸념좀 해봤습니다.. 일도 저와 둘만의 문제가 아니라 손해일 것 같은데 가만히 있기도 ㅅㅂ단전에서 분노가 치밀어 올라서 뭐라 딱 해답이 없을 것 같긴 합니다..

그냥 선배님들 비슷한 경험 있는 분들 있으시면 위로나 듣고 싶어서 와봤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2개

2024.06.01

이건 본인이 다른 주제 수행하는거 말곤 답 없어보이네요 교수님이랑 얘기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4.06.02

다른 주제로 제가 리딩하고 논문낼 예정인 건 있습니다. 착착 진행되고 있고 그 쪽 코워커랑 으쌰으쌰 하다보면 참 기분이 좋은데 이쪽 보면 하.... 할말하않입니다

2024.06.01

논문 한줄 안 썼어도 아이디어 제공자면 공1 앞이 맞지
너는 논문을 써서 공1로서의 쓸모를 인정받아야 하고

대댓글 8개

2024.06.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케바케죠. 아이디어 제공이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2024.06.02

나는 같은 실험실 선배가 저모양이었는데ㅋㅋ
자기 아이디어도 아니고 더윗선배로부터 시작된 실험 그대로 반복만 하면서 나를 부려먹었는데, 교수가 그거로 나랑 선배랑 둘이 코퍼스트로 논문 쓰라함 (논문 쓰는건 나보고 하라함). 별 논문거리도 아니지만 abstract랑 introduction 내가 쓰고나서 읽어보라고 줬더니 자기가 코퍼스트 맨앞이어야된다고 ㅈㄹ하길래 그럼 선배가 논문 직접 마무리하라고 얘기함. 결국 논문작성 1도 못하더라. 나는 그거 아니어도 1저자 쓸거 많아서 전혀 상관없었고. 실력도 없고 실적도 없는것들이 욕심만 많아가지고선 ㅉㅉ

2024.06.02

뭔소리야 아이디어 제공이 무슨 벼슬인가. 리딩하고 논문작성하는사람이 맨앞이지. 그럴거면 아이디어만 주구장창 내고 논문 맨앞 다 가져가게?

2024.06.02

저도 처음엔 동의했습니다.. 그런데 3년째 아이디어 진보도 별로 없고 실험은 하나도 안하는데 그러고도 공1 앞이면... 이건 차라리 교신이 맞지 않습니까?

2024.06.02

뭔소리에요.. 아이디어 제공자가 뭔 공1이에요. 말만 하는건 쉬운데요.
저도 학계에 있고, 협업도 많이하고, 연구얘기를 워낙 좋아해서 학회장에서 여러가지 얘기나 조언해주고, 그사람들이 그 연구주제로 진행한 경우도 많습니다. 그중 저는 제가 공저자도 안들어가는 경우가 많아요.
한분이 공동교신 제안해주셨는데 제가 기여도 낮은것같다고 해서 거절했고요.
아이디어 제공자는 특허에서는 기여도를 주장할수있지만, 논문에서 뭔 기여도를 제안하시나요. ㅎㅎ 혹시 파인만 분이 후배한테 그러고 계시다면 다시한번 돌아보시길

2024.06.02

ideas are cheap.
아이디어 자체보다는 실행하고 구체화해나가는 과정이 더 중요하죠.

2024.06.04

제가 아는 authorship의 개념으로는 paper 작성에 얼마나 contributions했느냐로 알고 있습니다. 아이디어 제공했어도 paper작업에 얼마나 공을 들였냐가 중요하지 않나요? 그래서 아이디어 제공한 사람에게 보통 paper leading하는 우선권을 주는게 사회적 관례인것 뿐이라고 알고있습니다..

2025.01.20

아이디어 제공자는 공동1저자 확정 + 주1저자 우선권 확보, 단 주1저자 여부는 논문 기여도 따라 정도가 맞는듯. 내 지도교수님(NCS 여러 편 쓰셨음)도 그렇게 가르치셨고.. 물론 쓴이 사례는 주1저자 가져갈 자격은 없고 뒷1저자로 들어가는게 맞는데, 아이디어 이즈 낫띵 이건 동의못함. 아이디어가 제일 중요한거지 잡무가 중요한게 아님

2024.06.01

아까워도 버려야지. 안그러면 귀찮아지지

2024.06.02

논문 쓸 땐 이름만이 아니라, ref 뒤에 각 저자가 수행한 역할도 간략하게 쓸 수 있으면 좋겠다..

대댓글 7개

2024.06.02

쓰는데요?

2024.06.02

author contribution 씁니당

2024.06.03

최근 논문 안써보신 듯 또는 초짜 ㅋㅋㅋㅋㅋㅋㅋ

2024.06.04

너무 비방하시는 분들 많네요. IEEE Transactions, Elsvier 몇 논문들만 봐도 contributions 을 딱히 작성 안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본인의 경험을 일반화해서 남들 비방하는 경우라니, 연구자로서 안타까운 자세네요.

2024.06.05

자주 찾는 저널의 논문만 읽는 아직 미숙한 학부생이 실수를 범했습니다..

2024.06.07

좋은 코멘트 감사합니다

2025.01.20

학부생 아니라 박사인데도 안쓰는 저널 있는거 몰랐.. NCS부터 MDPI까지 죄다 쓰게 시키던데 분야 차이가 큰듯

2024.06.02

3년인데, 초고도 나오지 않은거면...
코웍하는분 능력부족이 확실합니다.

어디까지하고 이 일을 마무리 짓는 것 또한 필요한 능력 입니다.

전 학위 동안 2년 이상 걸리는 일이면 교수님께 강력히 말하고, 마무리 짓든 파토내든, 다른 후배한테 토스하든 했네요;;
(파토 난건 1건, 후배들이 잘 마무리한건 3건)

대댓글 1개

2025.01.20

이건 진짜 케바케인게 나 학위한 곳은 4~5년동안 실험해서 NCS랑 네이쳐 자매지 나간 논문이 세네편임.. 그리고 애초에 내가 경험자라 아는데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급의 연구는 절대 2년만에 못함..

2024.06.02

아이디어 제공 진짜 별것
없음 실현하는게 중요함. ㅅㅂ 아이디어 제공하고 디스커션만해주고 받은2저자도 부끄러울때가있는데 무슨. 글고 포닥나갔으면 공1 퍼스트 후배주고 마무리시키는게 맞음

2024.06.02

하 이 ㅅㅂ롬

2024.06.02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몇년을 기다리고 저자순위도 맨 앞으로 해주고 manuscript 영문 작성도해 주고 다 해줘도 코웍이 안되는 인간들이 있습니다. 그 DNA는 못 고칩니다. 교수님과 상의하시고 일정을 못박으세요.

2024.06.02

Alphabetical order아니에요?

대댓글 2개

2024.06.02

네. 아니에요.

2024.06.03

저희 분야는 많이 중요합니다. 저희 교수님부터 뒷자리는 돕는 위치고 앞자리가 리딩하는거다, 70%이상 하게 된다라고 말씀하세요

2024.06.02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손윗선배 아이디어 던져주고 뒤에 아무것도 안하고 손놓고 있다가 마지막에 논문 다 작성하니 co-first 요구하는 양심없는 놈이 있음. 프로젝트 끝까지 붙잡고 마무리하는 사람이 1저자 자격이 있는겁니다. 교수하고 딜 잘하셔야 할듯. 선배를 2저자로 빼도 본인은 할말이 없는 상황.

2024.06.03

난 반대로 후배한테 아이디어주고 그 친구가 일하고 내이름 논문에 써줬는데 교수가 이름 뺐는데 ㅋ

2024.06.04

교수님께 상황 잘 말씀드리고, leading하신 다음에 co first authorship이라도 챙겨보시는게 어떠신지요..

저도 비슷한 상황이었는데 열심히 작업하면서 교수님하고 딜 봤는데, 결국 co first authorship 받기로 했습니다

선배가 버스타는 느낌이 있지만, 어쩌겠습니다. 목적지 가려면 버스라도 몰아야죠..

2024.06.04

버리자.. 나도 예전에 선배와 같이 하는 논문 선배 졸업하면서 뒤치닥거리 열심히 했던 기억나네..
그 선배가 진짜 소시오패스 같은 스타일이어서 자기 이득 안되면 가차없이 버리더라고.
그래놓고 퍼블리쉬될 때쯤 authorship 얘기 슬그머니 꺼내는 거 개소름.. ㅋㅋ 근데 그런 사람들이 쳐낼 거 잘 쳐내니까 더 잘 되는 것 같아서 참..
아무튼 이런 것 때문에 시간 낭비 개 심함. 차라리 내가 메인으로 하는 걸 열심히 하고 이런 것들은 그냥 선배가 하자는 대로 하고 힘 빼시길.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