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저자

2024.06.29

9

713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석사 2학기 들어갑니다.
곧 교수님과 미팅에서 제가 하고싶은 연구에대해 논의할 계획인데요. 제가 개인적으로 아는 박사님이 제 주제를듣고 공저자로 참여하고싶다고 하셔서 교수님께 말씀드리려고하는데 예의에 어긋나거나 기분나쁘실만한 얘기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6.29

교수님은 무조건 교신저자로 들어갑니다!

2024.06.29

개인적으로 아는사람이 연구실과 전혀 연고가 없는사람이면 교수입장에서는 살짝 부담이 될수도 있는데,
뭐 만나서 썰을 잘 푸세요.

대댓글 1개

2024.06.29

아 그러실수도 있겠군요..감사합니다!

2024.06.29

교수 입장에서 가장 신경쓰이는 건 새롭게 참여하는 공저자가 어떤 contribution을 할 수 있느냐입니다.

개인적으로 아는 박사님이라는 분이 그냥 친분때문에 bandwagoning을 하고 싶은건지, 아니면 정말로 프로젝트에 필수적인 공헌을 할 수 있는 사람인지를 판단할만한 근거를 제공해주세요. 전자라면 연구윤리에 어긋나는 행동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6.29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분이 전체적인 흐름이나 통계쪽에 많은 기여를 하실 것 같은데
첫 연구에 이렇게 공동저자로 들어가도 되는지가 좀 궁금합니다.

2024.06.29

많이 기여하실 것 같으면 '모 박사님이 같이 연구하고 싶어 하시고 xx에 기여해 주실 수 있다고 한다' 라고 의견을 구하는게 맞습니다. 지도교수님이 교신이니까요.

대댓글 1개

2024.06.29

감사합니다 선생님~!

2024.06.29

제일 좋은거는 먼저 교수님께 논문 주제에 대해 설명드릴때, 그 박사님 연구 내용 부분을 설명드리면서(그 파트의 필요성 등을 잘 어필하면서) 살짝 "xx 박사님이 저랑 개인적으로 아시는 분인데, 연구 상담(?)을 하다보니 이러한 내용에 기여해서 co-work 하고 싶다고 하셨다. 따로 xx 박사님이 교수님께 연락을 드린다고 하셨다" 정도로만 중간다리 역할만 하시는게 제일 좋을수도 있어요.
글쓴이분 지도교수님 성향은 모르지만 간혹 꼰대 교수님들은 박사과정도 아닌 석사과정 학생이 내 연구에 누구를 참여시키고 말고 주도적으로 하네? 하면서 오히려 반발심이 일어날 수도 있거든요..
글쓴이분이 연구 내용에 대해 논리적이게 잘 어필을 하고, 박사-박사(교수) 간의 co-work 제안은 그 박사님이 정중하게 메일로 먼저 부탁드리는게 맞다고 전 생각되네요.

대댓글 1개

2024.06.29

아 그렇군요.. 의견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