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별 학생 수준차이

T. R. Seshadri*

2020.07.28

40

36768

가 뭘까요? 저는 지잡 지거국 기공학생입니다. 수능 한두문제로 대학 서열나눠지고 그 몇 문제를 맞추기 위해 피땀을 흘리고 열심히하는 사람들끼리 모여있으니 전체 대학을 따지면 수준차이가 나겠지만 저는 대학원을 준비하며 전공책을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문득 드는생각이 명문대 애들은 얼마나 대단할까입니다쟤들은 전공 이해도가 다른걸까 식을 이용한 문제해결 능력이 좋은걸까? 머리는 같지만 남들보다 공부를 꾸준히 하는 능력에서 명문대학생이란 타이틀이 붙는 걸까 싶네요 

명문대학생들과 만나본적이 없어서 궁금하네요ㅎㅎ다들 얼마나 똑똑하신건가요? 만나본 타학생과 비교해서 수준이야기를 해주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0개

2020.07.28

일단 응용력, 기본 전공 이해도가 높은 상태에서 학교별 커리큘럼에 따라 배운 지식의 양도 상당히 차이납니다.
T. R. Seshadri*

2020.07.28

ㄴ 학생들이 잘하니 커리큘럼에서 차이가 크겠네요....

2020.07.28

기술고시 한번 응시해보셰요 전공이해도를 명문대생들과 비교해보셰요
아무래도 명문대생들이 압도적으로 많이 합격하죠
T. R. Seshadri*

2020.07.28

아 저의 질문은 전체 학생을 비교하는게 아니고 학생 한명씩 비교해볼때 노력 대비 효율이 궁금합니다. 대학교 4학년동안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능력의 차이? 그런 느낌.... 기술시험을 가지고 합격자 비율을 따지면 노력에 따라 나뉘기 때문에 좀 애매하다 생각하는데 아닌가요?ㅎㅎ
Victor Francis Hess*

2020.07.28

지거국에서 연세대로 편입한 경력이 있는 입장에서 보면 커리큘럼은 큰 차이 없습니다. 커리큘럼이 다르다는건 둘다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 착각이니 무시하시구요. 다만 열심히하는 애들의 수에 큰차이가 있습니다. 서울대에 열심히하는 애들이 100명 중 90명, 연고대에 열심히하는 애들이 80명, 그밑 70명 이런식으로 비율에서 차이가 있어요. 머릿수많은 중국이나 인도에서 유독 똑똑한 사람이 많이 나타나는 거랑 비슷하다고 봅니다. 열심히 하는 사람들의 수가 더많으니 기술고시같은 것의 합격율도 상위 대학이 더 크게 되기 마련입니다. 단적으로 느낀건 연세대는 대부분 1학년때부터 취업준비를 하는 학생이 많은반면 지거국에서는 2학년까지 실컷놀고 군복학후 부랴부랴 따라가려는 사람이 많죠. 결론적으로 성실도의 차이라고 봅니다. 특히 요새는 수시가 워낙 발달해서 연세대에도 지거국 정시보다 낮은 수능점수를 받은 학생들도 있다 들었어요. 6년간 느낀바는 그렇습니다.
T. R. Seshadri*

2020.07.28

음.....그렇군요 답변감사합니다
Leon Walras*

2020.07.28

저는 pk 수학과인데 수학이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다른 인서울 대학은 같은 과목이어도 저희가 배우는 내용의 절반밖에 안배우더라고요. 커리큘럼 차이도 꽤 납니다.
Leon Walras*

2020.07.28

대학에 영재학교나 과학고 출신이 얼마나 많은지도 주요한 차이인 것 같습니다.

2020.07.28

친구들중 중고때 열심히 공부하고 공부잘하는 애들이 서울 상위권대학에 가지 않든가요?
공부습관이 잘되어있는 학생들이고 대학에서도 대부분 열심히 하는편이예요
그 차이 예요
Dmitri Mendeleev*

2020.07.28

주변사람들이 다 열심히하고 똑똑한 친구들도 많아서 자극이 잘되죠

2020.07.28

기술고시는 그 학교가 많이 보니까 합격자가 많은거지. 뭔
Lawrence Klein*

2020.07.28

농어촌 재외국민은 빡대가리 많았음 너무 기죽지 않아도됨 제도적 허점으로 못갈사람이 올라와있는경우도 수두룩하니까

2020.07.28

정시로 100% 가면 기득권자들 자제들이 좋은 대학 못갈 가능성이 커진다고....

2020.07.28

저도 서울대 수업들어보고 싶네요
George William Friedrich Hegel*

2020.07.28

교재부터 다르지 않을까요? 양자역학을 Shankar 책으로 공부하는 지방대생을 상상할 수가 없는데

2020.07.28

엄청 차이나요.
교재, 같이 공부하는 학생수준, 면학 분위기, 공부/연구에 임하는 자세부터...
Giotto*

2020.07.28

서울대는 다른 학교처럼 시험 범위를 잡으면 학점 가르기 너무 어려워서 2~3배 늘린다고 합니다.. 계절 때 강의하시던 박사님이 말씀해주심... 그리고 진짜 어렵기로 소문난 수업 외에는 중간값이 95, 94 이런 식으로 형성되어서 공부할 때 다 맞을 생각해야하니까 개빡치고 주변 동기들도 a 아니면 쓰레기 학점 취급해서 ㅋㅋㅋ 뭐 암튼 그렇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6.22

공대는 아닙니다~

2020.07.28

고등학교때 느껴봤을거 같은데 노력해도 따라잡지 못하는 그차이를
Victor Francis Hess*

2020.07.28

천안에 있는 공주대도 교재는 영어로쓰여진 원서로 합디다 ㅋㅋ 다만 그정도까지 따라주는 열심히 하는 학생이 없을뿐이구요. 교수님들 간의 역량은 학생의 경우처럼 학교마다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그사람들이 소위말하는 SPK학부 출신인 경우가 많은데 커리큘럼과 수업의 질이 여타 학교와 크게 차이난다면 SKP학부 출신 교수의 실력탓이겠죠

2020.07.28

커리큘럼이 다르다는게 착각이라니 할 말이없네요. 지방대 물리학과가면 물리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선대나 미방도 안 듣는 경우가 많고 같은 과목이어도 교수가 가르치는 내용의 깊이가 완전 다르죠

대댓글 1개

2023.05.16

어느 지방대에서 선대 미방을 안가르쳐요 ㅋㅋㅋㅋ
Arnold Schoenberg*

2020.07.28

spk 수학과 자대생인데 지거국 수학과 과목의 시험문제 보고 난이도가 너무 쉬워서 놀란 적이 있습니다.
Victor Francis Hess*

2020.07.28

그런 차이를 없게하려고 굳이 서울대출신, 카이스트출신을 우대선발해 교수직에 앉히는 겁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대출신 뽑겠죠 제가다니던 지거국에도 서울대출신이 자대출신보다 훨씬 많았는데요. 그러한 시도가 무용지물인겁니까 ㅋㅋ 시험난이도에서 차별이 있을지언정 단순 커리큘럼상 큰차이는 없습니다. 교재하나를 잡고 그걸 반반쪼개서 중간, 기말을 치루는 방식과 범위가 다를바가 없다구요 ㅋㅋ직접 겪어는 보셨는지 심히 의아하네요

2020.07.28

전공별로 좀 다름. 수학/물리같은건 똑똑한애들 중에서도 똑똑한애들이 하는거라 재능빨을 좀 많이 탐. spk 내에서도 수학/물리하는 애들이 다른 공대보다 더 똑똑하다고 할 수 있음. 근데 지거국정도는 보통 학문에 크게 관심없던 애들이 가는곳이라 수학/물리과나 다른 공대나 수준이 비슷함. 결론적으로 수학/물리과는 spk하고 지거국하고 진도 나가는 범위가 다른데 다른 공대는 비슷함.

2020.07.28

위에 커리큘럼 차이난다는 애들 다 물리/수학전공임.

2020.07.28

수업차이는 없어 외냐면 지거국 교수도 spk학부 미박이니까
단 학생들이 못따라오니까 난이도 낮춰서 수업할뿐

2020.07.28

자연대 같은 경우는 지거국이나 SPK 간 커리큘럼이나 학생들 수준이 어마어마하게 차이나죠. SPK - 연고만 해도 꽤나 차이 날겁니다. 그런데 IT 나 공대 같은 경우는 그 정도로 엄청난 차이가 나지는 않다고 봅니다. 애초에 입시에서 코테보고 뽑는게 아니니 ㅋㅋㅋㅋ 서울대에도 컴퓨터 네임벨류에 걸맞게 못하는 사람 꽤나 많고, 지방대에도 거의 천재급으로 잘하는 사람 간혹 있는게 IT 라 ...
Glenn T. Seaborg*

2020.07.28

S대나와서 지거국 현직인데 어마어마하게 차이납니다 한숨나올 정도
말하는거보면 다 비슷해 보이는데 일을 시켜보면 넘사벽

대댓글 1개

2024.07.03

말만 들으면 비슷비슷합니다.개중에는 말로 포장하는 기술에만 올인한 사람도 많다보니.. 그런데 실제 일해보면 심각하게 차이나기 시작
Glenn T. Seaborg*

2020.07.28

"커리큘럼과 수업의 질이 여타 학교와 크게 차이난다면 SKP학부 출신 교수의 실력탓이겠죠"

애들한테 수업을 맞추려다 보니 수준을 낮추는거지 반대로 교수수준은 큰 차이는 안남

대댓글 1개

2023.06.22

맞죠 대부분 sk 학부 출신 교수들인데..

2020.07.28

생물학적인 차이는 특이점에 해당하는 학생 말고는 별로 안큽니다. 인간 능력이 그닥 개별 차이가 크지 않다는 건 여러 임상 시험으로 밝혀졌듯이요. 다만 명문대학생 비율을 보면 부모님 소득이 높고 그 생활양식을 받아 생활 수준이 높으며 기타 사회적 유산을 따지면 차이가 발생하겠죠.

2020.07.28

그리고 이게 장기간 봤을 때 상당히 크게 작용합니다. 노력하는 자세, 작은 일에도 신경쓰는 습관 등이 수십년 누적되니까요.

2020.07.28

위에도 있는 말이지만 고등학교때부터 차이가 많이 느껴지지 않나요..? 전 yk인데 고딩때 제가 쉽게 이해하고 푸는거 엄청 끙끙대고 있는 애들 많이 있었고 반면 저한테 어려운걸 쉽게 해내는 애들도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주로 설대 상위과나 상위권 의대 간애들) 대학와서 비슷하게 열심히 했으면 차이가 많이 나겠죠.

2023.02.08

교수들 차이 없다는 분들은 하위권 대학 교수들 만난적 없는듯 다그런건 아니지만 얼마나 개판이신분들이 많은데

대댓글 1개

2023.02.08

학생들 수준이 낮아서 강의 준비 안한다고 하시는 분들 정말 그 이유 때문만인지?

2023.05.18

여기서 묻지 마시고 학회든뭐든 가서 이야기하고 경험해보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스스로 겪는 것에서 배우는게 크더라고요.

2023.05.18

여기서 묻지 마시고 학회든뭐든 가서 이야기하고 경험해보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스스로 겪는 것에서 배우는게 크더라고요.

2023.06.22

군대가면 개 빡대가리들 보이죠? s 입장에서는 대부분이 그렇게 보여요. 그냥 익숙하고 머리좋은게 인생의 전부가 아니니까 별 말 없을 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