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사람이 적은 분야는 비추인가요?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4.07.19

4

562

대학원을 알아보고 있는 물리학과 학부생입니다.
관심있는 분야가 있어 교수님들과 상담을 했는데 "분야가 작으면 사람들이 고이고 정치질이 제일 중요해진다"고 하셨습니다.

느낌상 가지말라고 하시는거 같은데 분야가 작으면 정말 사람이 고이나요? 제가 미리 조사해본 결과 전세계에 그 분야를 하시는 분들이 대략 300명정도인거 같습니다. 아직 학부생이라 감이 안잡하는데 이 규모가 작은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4.07.19

말씀하신 정도는 아니지만 저도 좀 고인 분야에 있는데요.

물론 유사 분야까지 묶어서 좀 더 크게 학문 그룹이 형성되긴 하겠지만.. 전 세계에서 300명이면 그냥 학회 가면 매번 다 만나겠네요.

만날 일이 잦고 서로 전부 연결 되어 있다 보니 서로 함부로 대하지 못합니다.
세상에 혼자 할 수 있는 일은 없기 때문에.. 소외되기 싫다면 영향력이 큰 원로들에게 거스르지 못하죠.

거기서 한 자리 차지하면 그 때부턴 편하겠지만... 능력주의, 개인주의 성향 있으시면 많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대댓글 3개

2024.07.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300명정도면 많은줄 알았지만 아닌가보네요.성향이 저랑 안맞는거같은데 혹시 이와 같은 경우는 인간관계가 중요한가요?

2024.07.21

교수님들께도 동일한 답변을 얻으셨고 저도 그렇게 얘기하는데 다시 물어보시는 걸 보면.. 납득이 잘 안 되시는 것 같은데요.
딱 잘라서 말씀 드리면 절대 무시 못할 정도로 엄청 중요합니다.
압도적인 실력이 있으면 뭐든 된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인맥 없인 그 실력을 보일 기회도 얻기 어렵습니다.

분야가 좁으니 취업 쪽 자리는 극히 적겠죠?
적은 자리에 좋은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주변인의 레퍼런스 체크 반드시 들어갑니다.

학계의 경우엔 어떨까요.
연구적으로 의미있고, 좋은 펀딩을 따기 위해선 걸출한 경쟁 상대가 많으니 기존 성과를 보이며 '내가 이정도 연구 할 수 있습니다' 하고 어필을 해야 하는데
신진 연구자라면 실적이 없죠? 처음 실적을 어떻게 쌓을까요.
잘 아는 선배 교수의 과제에 끼어서 귀찮은 역할 도맡아주거나.. 기업 과제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인기가 떨어지는 과제를 하면서 차근차근 쌓아야죠. (기업에서 시키는 실험만 해줘서, 논문거리도 안 되는...)

전문가 수가 적다 보니 그렇게 매번 아는 사람들끼리 같이 일 하고,
일감을 얻으려면 연구자들 커뮤니티에 자주 끼면서 얼굴을 알려야 하지요.
연구를 얼마나 잘하느냐보단 관계를 잘 맺어야 돈을 더 잘 받으니 실력 향상이 그렇게 중요해지지 않습니다. 그렇게 고이는 거죠...

2024.07.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감사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사항이 있는지 잘 몰랐는데 이제 잘 알게 되었네요. 다른 분야를 알아봐야겠군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