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서울 중위권에 있는 전자과3학년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닌 제목 그대로입니다.. 주변에서 학교보다 별로다, 소속감이 안든다 등등 이유가 좀 있던데 제 생각은 좀 다르거든요.. 4학년 때 ist나 타대를 방학 때 인턴하면 좋기야하지만 너무 기간이 짧다고 생각해서요. Kist는 학점인정 인턴하면 4-6개월 그보다 더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자대 랩이나 kist 학연 대학원 생각 없었는데 교수님과 상담하고 연구를 이어나가거나 일을 빨리 배울 수 있는 점에서 6개월 - 1년 더 기간 이득을 가져갈 수 있어 둘 중에 하나가 더 고민 중입니다.. 타대 랩실도 들어갈망큼 성적은 아니라서요.(현재 4.1x)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4.09.13
대학원에 소속감이 왜 필요함.. 교수랑 랩 보고 가는게 어디든 제 1 고려사항임
IF : 2
2024.09.13
좋은 랩만 잘 찾으면 좋다고 생각됩니다. 학비 부담도 덜하고 경쟁이 비교적 약해서 가고싶은 연구실 찾아가기도 유리한 측면이 있어요.
2024.09.13
네 고대도아니고 kist도 아니고 이도저도 안됩니다 등록금 혜택도 팍 줄었구요 행정처리에서도 소외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대댓글 4개
2024.09.13
자대와 비슷하게 미리 경험 좀 길게 하고 적응하는데 시간 안써도 된다라는 장점이 있어서요 .. 타대 가면 적응하는데 + 2년 시간이 길지는 않다고 생각해서 배우다가 끝날 것 같은 느낌 … Ku kist 랩실 보니까 ssh 중경외시 학사 출신도 많아서 괜찮나 생각했거든요
2024.09.13
석사면 어차피 취업할테니 실적보다는 네임벨류 위주 일텐데 그럼 그냥 고대나 더 높은 학교들 적당한 랩이 더 낫고요. 박사면 적응하는 데 드는 시간은 어차피 전체 박사과정 기간에 비해서 큰 의미 없으니 그거랑 상관없이 그냥 좋은 랩을 골라야 하고요. 결론은 몇 개월 적응에 대한 장점은 선택에 영향을 줄 정도가 아니니 Ku-kist에 꼭 정말 가고 싶은 랩이 있어서 간다 하면 단점들을 감수하고 가시고 아니면 학교로 알아보세요.
2024.09.13
윗분말대로 꼭 ku-kist의 어떤 랩을 가야되겠다! 하는 이유가 아닌 이상 학교 추천합니다.
2024.09.14
ssh 중경외시 학사 출신이 많다는게 수준을 보여주는 바로미터죠 좋으면 자대생으로 꽉 찼겠죠?
2024.09.13
쿠키 박사 졸업했는데요. 불편한거 크게 못 느꼈고, 나와서 고대 대우도 잘 받습니다. 행정처리도 학생편의 봐주려고 노력해주는게 느껴지긴합니다. 근데 연구를 고대에서 하는 것과 키스트에서 하는 것이 행정부담이 꽤 크게 차이납니다.
대댓글 1개
2024.09.13
행정부담이 차이 난다는게 어떤걸 말씀하시는지 알 수 있나요?
2024.09.13
학점 자랑은! 인서울 4.1이면 어디든 다 갈 수 있습니다. Kist-Ku 한 곳에 매몰되지 마세요. 즉, 발목 잡히지 마세요. SKY+Kaist를 목표로 열심히 공부하세요. 연구실 잘 알아보시고 타학교 학생은 공인된 영어 점수가 있으면 매우 좋습니다. 꼭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2024.09.14
키쿠나오면 현실에서 인정 해주는 것처럼 보여도 속으로는 무시함. 나중에 잘되는 테크트리 타더라도 뒤에서는 씹히거나 결정적 순간에 중책은 절대 못감.
대댓글 3개
2024.09.14
심지어 회사에서도 서류 탈락할 확률 높음
2024.09.14
그정도인가요..??? Alumni 보니까 취업은 다 잘한 것 같던데,,, 랩 구성원들도 ssh 중경시 사람들 좀 있어서 관심 갔거든여
2024.09.15
그렇게 따지면 학부 설포카 박사 MIT 스탠포드 프린스턴 UCB나와서 노벨상 받는거 아니면 솔직히 연구하는거 전부 의미없지, 시대가 변하는데 아직도 이런사람보면 안타까움
2024.09.14
쿠키 졸업생입니다. 제발 그냥 일반대학원 가세요. 조교 혜택 이런 부분도 후순위, 졸업장도 쿠키 졸업장입니다.
그냥 고려대 일반대학원을 진학하면 되는데, 굳이 쿠키를 하는 이유는 학점이 낮다거나 이러면 이해가 되는데.. 그것이 아니라면 쿠키 할 필요 없어요.
대댓글 1개
2024.12.23
그런데 그게 쿠키 졸업장이 석사취업에 영향을 주나요? 이번에 대학원 정보찾을 때 alumni 봐도 석사는 최소 삼전 또는 LG이노텍은 가는거 같고, 박사는 국내 명문대 공대 임용이랑 유학도 잘가던데?? 비꼬는게 아니라 진짜 몰라서 물어보는 겁니다. 제 미천한 지식 하에는 이 정도 실적이면 고대 일반대학원급까진 아니여도 해당 레벨 부근의 연구 수준을 갖고 있는거 아닌가요?
2024.09.14
분야가 젤 중요하다 석사취업할꺼면 더더더더더욱 그딴거 다 의미 없다
2024.09.14
저 아는분도 그 전형으로 박사까지 마치셨는데 만족 하시더라구요 랩이랑 연구분야가 중요한거같아요
2024.09.15
학연생은 복불복 지도박사 잘못 만나면 그냥 일꾼으로 살다가 논문실적 없이 학위받고 끝
2024.09.15
다들 자기 입장에서 말하시는거라 좀 걸러듣는게 좋을거 같고요. 잘 모르는 분들이 보기엔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협동과정으로 밖에 안보입니다. 야심없이 취업만 하겠다면 큰 상관은 없는데 학계에 오래 있을수록 멍에가 되죠. 그건 학부도 마찬가지겠지만요. 그리고 강의를 어디서 하는 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소속건물이라고 해야하나? 그게 진짜 멀리있는 곳 중에 하나 입니다. 의대 산꼭대기에 ㅋㅋㅋ
2024.09.16
네 그렇게 별로입니다
2024.10.06
지금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일단 다들 오해를 많이 하시는게 학연과정이 아니라서 대학원 랩실과 학연생의 중간 위치를 갖는다라는 인식은 버리셔도 될 것 같아요. 고려대 소속 교수님 랩실에 들어가면 고려대학교 KU KIST 건물에서 연구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고 KIST 교수님 랩실에 들어가면 KIST 건물에서 연구를 하는 것 뿐입니다. 수업은 고려대학교 건물에서 듣게 되겠지만요.
융합대학원이지만 본인 연구를 다른 분야와 융합해서 진행해야만 하는 것이 절 대 로 아닙니다. 본인 연구를 본인 분야에서 열심히 하게 되고, 다른 분야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어떤 연구들이 나오고 있는지 융합된 사례는 뭐가 있는 지에 대해 알게 되는 수업이나 강연이 많이 있어서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2024.09.13
2024.09.13
2024.09.13
대댓글 4개
2024.09.13
2024.09.13
2024.09.13
2024.09.14
2024.09.13
대댓글 1개
2024.09.13
2024.09.13
2024.09.14
대댓글 3개
2024.09.14
2024.09.14
2024.09.15
2024.09.14
대댓글 1개
2024.12.23
2024.09.14
2024.09.14
2024.09.15
2024.09.15
2024.09.16
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