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소 종류?

Galileo Galilei*

2020.08.01

11

7275

지잡  석사 지원 조팝 학생입니다. 

연구를 위해 대학원다니고 다 연구소를 취업하려는데 말하시는거 보니 연구소마다 급이 있더군요

교수, 정출연 >>>>>>> 사기업 연구소 

이런 이미지던데 왜이런건가요? 교수가 되기 힘든건 많이 들었는데 정출연이 특히 높은 대우받는건 왜인가요? 그리고 spk말고 타대 석사가 연구소 취직가능? 기계과입니다. 

님은 대학원안가는게 좋을듯 , 랩바랩 이런소리 ㄴ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Charles Louis Alphonse Laveran*

2020.08.01

일개 사기업 연구소보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연구소가 더 있어보이니까요
Anton van Leeuwenhoek*

2020.08.01

IMF전에는 정출연 인기가 지금과 같지는 않았는데, 아무래도 고용안정성이 높아서 정출연을 선호하게 되네요.
Anton van Leeuwenhoek*

2020.08.01

그리고 spk 아닌 타대 석사로 연구소 가는 케이스 몇번 보긴 했는데, 엄청 지방 구석에 박혀있는연구소거나, 아니면 다른 기업체에서 경력을 좀 많이 쌓은 분들이 붙더라구여.
그 외 케이스는 제가 잘 몰라서 저런 케이스밖에 몰라요
Galileo Galilei*

2020.08.01

그렇다면 그냥 직업안정성 때문에 경쟁률이 높아저서 아무나 못들어가게 된건가요? 기술력이나 연봉 복지 이런게 아니라?

2020.08.01

그거 다 랩바이랩이에요.
Galileo Galilei*

2020.08.01

ㄴ그렇군요ㅋㅋㅋㅋㅋㅋ
Anton van Leeuwenhoek*

2020.08.01

고용안정성때문이 아니라면 IMF를 기점으로 정출연 인기가 올라간 이유를 설명할 길이 없죠.
연봉이나 복지는 삼성같은 대기업이 훨씬 좋아요
대기업에 비해 워라벨이 좋고 연구자율성이 있다는건 IMF전에도 다들 알던 사실이져
Robert Frost*

2020.08.01

대기업 연구소는 임원들 눈치봐야하고 재수없으면 연구팀 박살나고 생산라인 배치됨
Galileo Galilei*

2020.08.02

? 그래서 정출연이 인정받는 이유가 머임?
Galileo Galilei*

2020.08.02

아아 ㅇㅋㅇㅋ 글을 잘못봤네 답변감사드립니다
Bernhard Riemann*

2020.08.02

자유도. 이게 젤 크지. 사기업에서는 상사한테 보고하는게 주 일인데 정출연에서는 내 일 내가 차려서 하는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