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인공지능 분야의 요즘 많이 찾는(?) 학술지 또는 학술대회에 대한 의견도 부탁드립니다.
검색해서 나오는 것 보다는 실질적인 조언을 듣고 싶어서요. 초기단계에서 같은 고민하셨고 조언들으신 부분을 공유하실수 있으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09.18
학술지 : 리뷰O 학술대회 : 리뷰X
대댓글 1개
2024.09.18
모든 분야가 그렇지 않습니다.
2024.09.18
컴퓨터과학 분야는 조금 특이한 문화를 갖고 있는데 학술대회들이 학술지만큼 또는 학술지보다도 더 권위를 갖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특히 심해서 한두 학술지를 제외하면 절대적으로 학술대회들이 더 귄위가 있어요.
2024.09.18
윗분은 본인분야에서 일반화하시는것같고요.. 대다수의 분야에서는 저널위주로 돌아갈겁니다. 저도 로봇분야에서 학위받았지만, 분야 탑 학술대회인 ICRA/IROS는 사실 분명 Transaction등 저널아랫급이였고요. 하지만 ICRA IROS모두 리뷰프로세스는 충분히 돌아갑니다. acceptance rate도 그래도 30-40%대로 유지하고, 저또한 리뷰어로 정말많이 참여했지만 제가 아무리 수준떨어지는 연구에 mild하게줘도(지금부족하지만 10가지 고쳐오면 accept하겠다) 다른리뷰어가 이유 한줄로 리젝하더라고요. 지금은 좀더 CS쪽에서 연구하고있는데, 여기는 저널보다 무조건 탑학회 위주로 냅니다. acceptance rate이 20%정도 전후인데, 개인적으로는 자매지등 목표했던것에 비하면 훨씬 쉽다고는 생각합니다. 근데, 또 포닥하면서 어쩌다가 코웍으로 IF 20전후 나노XX저널에 낼때 리뷰프로세스등 너무빠르고 쉬웠던거 생각하면, 일반화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학술지도 분명 IF높아도 내기쉬운분야가 있는것 같아요. 반대로 학술대회도 분야에 따라서 내기어려운곳도 있고요.
대댓글 1개
2024.09.18
*윗분이라함은 맨윗분입니다. 그사이에 답변이 달리셧네요
2024.09.18
인공지능분야는 뭐 다르다 분야마다 다를수 있다 이런 의견은 맞긴맞죠. 아무리그래도 이학이나 공학이나 논문 출판이 가장 중요하다고 봐요. 리뷰어들의 날카로운 지적으로 공식인정된 저작물이니깐 학회도 좋은것은 인정하지만 논문으로 가기위한 전단계라고 보면 되지않을까. 학회참여로 내 연구에 대해 홍보해보고 되겠다 싶으면 논문 출판 하는거죠. 논문은 등한시하고 학회참석하는 연구실적은 글쎄요 약간 부실해보이지 않나 싶은데
대댓글 3개
2024.09.19
글쎄요. AI/CS분야에서는 딱히 저널이 더 competitive하다거나, 더 나은 피어리뷰를 보장하는 것 같지 않아서 저널을 쓸 이유 자체가 없는 것 같네요. 학회논문으로 충분한 것 같습니다.
2024.09.19
전산분야 전반적으로 학술대회 논문만 내고 학술지는 귀찮아서 안 내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애초에 학술대회의 리뷰 프로세스가 학술지와 동일하다고 보시면 되고 논문 길이도 비슷합니다. 정해진 스케줄대로 리뷰가 일괄적으로 진행되는거 말고는 차이가 없어요.
2024.09.21
학회논문은 잘안보게 되고 내용이 간단한것이 주라서 제목좀더 찾아서 논문으로 나왔는지 뒤져보게됨. 결국 논문으로 보게됩니다.
2024.09.19
리비전의 유무가 차이가 크다고 봅니다.
대댓글 1개
2024.09.19
요샌 CS 학술대회도 리비전 합니다 ㅎㅎ
2024.09.19
이건 CS/AI와 그 외 분야가 크게 갈릴 것 같습니다. 우선 그 외 분야에서는 저널이 압도적으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고 들었고, 어떤 분야에서는 학술대회는 단지 하는 연구를 공유하는 정도라 리뷰 프로세스 자체가 없는 곳도 있다고 하더군요. CS/AI는 학술대회 돌아가는 것 자체가 저널과 거의 유사합니다. 저널만큼 긴 분량의 논문을 제출하고, 피어 리뷰받고, 요즘은 리비전 있는 곳도 있고요. Acceptance rate도 20% 정도 또는 그 이하로 낮고요. 차이점이라면 일정이 정해져있다는 것과 double blind로 진행된다는 것 이 두가지인 것 같습니다. CS/AI는 학술대회를 우선 시 하는 것이 오랜 관행인데, 최근에는 경계가 많이 옅어지고 있는 것 같아요. 저널에서도 학술대회만큼 빠른 리뷰 사이클을 보장하기도 하고요. 또 정작 각종 심사에서는 학술대회 인정 안해주는 경우도 많아서, 저널도 써야 하는게 골치가 아프죠 ㅎㅎ
2024.09.19
분야의 발전이 빠른 경우- 예. CS-는 학술대회 중심입니다. 그 만큼 생명이 짧죠.
2024.09.19
지도교수님이 시키는 대로. 연구실에서 선배들이 내는 데로. 어차피 그 분야에서 한 발짝 떨어지면 비교불가임. 해당 분야에서 전문적으로 수십년, 최소한 십수년 연구한 사람에게 물어봐야지, 여기다가 물어봤자, 댓글다는 사람들의 장님코끼리 만지기식 정보만 얻게될 것임.
2024.09.24
대회는 발표, 저널은 논문이 주 목적이지만 대회도 저널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고 저널도 발표하는 경우 많아서 큰 차이는 없음.
2024.09.24
학술대회는 보통 연구 초기단계에서 결과를 발표하고 피드백 받기 위해 참여하는 경우가 많고 학술지 논문은 최종 결과물이라고 생각해서 게재하기 전에 여러 차례의 리뷰를 거치고 최종적으로 게재를 목표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공지능 분야는 잘 모르겠지만 컴퓨터공학 분야에서는 학술대회가 더 권위있고 영향력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 분야의 경우에는 학술대회 논문을 게재하고 학술지 논문은 그 결과를 가지고 더 연구를 진행해서 게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4.09.18
대댓글 1개
2024.09.18
2024.09.18
2024.09.18
대댓글 1개
2024.09.18
2024.09.18
대댓글 3개
2024.09.19
2024.09.19
2024.09.21
2024.09.19
대댓글 1개
2024.09.19
2024.09.19
2024.09.19
2024.09.19
2024.09.24
2024.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