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신생랩 고민

2019.03.03

11

11994

SPK 중 하나의 대학에 다니고 있는 학부 3학년 생입니다. 제가 관심 있는 분야의 랩을 요즘 알아보고 있는데요, 랩이 매우 신생이라 실적이 많지 않고, 랩 사람들을 보면 숭실대, 중앙대, 부경대까지 조금 레벨이 낮다고 생각되는 수준의 학부 출신들이 많아요. 자대생은 세명 정도구요. 제가 정말 잘 몰라서 여쭤보는 건데, 이런 부분이 약간 걸리는 데 어떻게 받아들이는 게 좋을 까요? 김박사 넷에서 교수님의 평은 정말 좋고, 오각형 그래프도 거의 완벽한 모양새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Jang-choon Woo*

2019.03.03

김박사넷 평가는 그저 참고 용입니다. 많이 일치하는 경향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본인 하기에 따라 다릅니다. 글쓴이 말대로 신생랩인경우 자대생이 진학하려하지 않아 타대생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대부분 그렇기에 신생랩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딱히 마이너스 요소는 아닙니다. 연구실 들어가는 수업으로 경험하거나 따로 인턴자리 없는지 문의해서 직접 경험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연구 분야가 글쓴이와 잘 맞기만 한다면 오히려 초기 멤버로서 꽤 많은 주도적인 연구를 할 수 있을 겁니다. 태반이 신생랩의 단점만을 말하지만 잘나가는 연구실들도 예전에는 분명 신생랩이였었다는 것을 기억해주시고 판단에 도움됬기를

2019.03.03

우장춘 선생님께서 매우 중요한점을 지적해주셨네요. 꼭 인턴 생활을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다만, 레벨이 낮은 수준의 대학이라는 마인드를 가지고 계시면 계속 이 분야에서 연구하기 힘드실것입니다. 학위 논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는 다학제 개념으로 많은 연구자들의 협업으로 통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출신 학교의 수준으로 선입견을 가지신 상태에서 다른 분들과 협업하기에는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학업 능력보다 다른 글쓴이께서는 다른 연구자들을 존중할 수 있는 인성을 먼저 다듬으시는것이 좋을 듯합니다. 인턴생활 및 대학원 생활을 해보시면 느끼실것입니다. 학교의 수준이 중요한것이 아니고 지금의 연구 능력과 인성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Hermann Weyl*

2019.03.03

ㄴ 근데 레벨 낮은 대학이라고 인식하는게 잘못인가요? 그럼 SPK 학생이 숭실대 중앙대 부경대를 SPK에 비해 레벨 낮은 대학이 아니면 뭐라고 설명해야 하는지? 그냥 다 같은 레벨인데 이름만 다른 대학인가요? 근데 현실은 안그렇던데.... 글쓴이는 인성이 덜 다듬어진 것이 아니고 현실적인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은 겁니다. 님이야말로 남에게 인성 다듬으라고 하기 전에 자신의 인성은 어떤지 되돌아보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출신대학 레벨이 낮다는 선입견이 있다 해도 그 사람들과 협업 충분히 잘 할 수 있습니다. 그거 감안해서 자기가 더 열심히 하고 커버치자는 마인드로 하면 충분하고요, 그 와중에 협업하는 다른 학생이 생각보다 잘 해주면 금상첨화인거고요.

2019.03.03

ㄴ 레벨 낮은 대학이라고 인식하는게 잘못은 아니지만(글쓴이의 인성에 문제가 있다는게 아니라), 윗 댓글님은 그저 인간관계에서 가져야할 더 나은 마인드를 제시하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솔직히 출신대학이 SKY보다 낮다고 해서 처음부터 편견을 갖고 그 사람을 평가하는 것 보다, 대학에 관계없이 현재의 그 사람을 평가하는게 더 좋은 마인드라는건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편견이 그만큼 인간관계에서 중요하다는 것이지요.
편견을 커버하기위해 더 열심히 하는것을 보고 그 사람을 재평가 하는 것과, 편견없이 그 사람을 바라보는건 전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2019.03.03

개인적으로 대학의 네임밸류보단 지도교수의 네임밸류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Robert Graves*

2019.03.04

랩을 이끄는 지도교수님의 성향이 가장 중요한건데 구성원들의 학부 간판으로 랩 수준을 판단하는건 옳지 않죠. 게다가 학부 대학의 네임밸류가 무조건 퍼포먼스를 보장해주지도 않구요.

2019.03.05

관심있는 랩도 SPK 인가요? 위에 우장춘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자대생들이 신생랩에 별로 안가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타대에서 SPK 로 진학한 학생들은 나름대로 원래 학교에서 굉장히 잘하던 학생들이니 큰 편견 안가져서도 될거예요
Jules Bordet*

2019.03.06

황당한 글들이 많군요. 그 사람들이 내 선배가 되고 같이 연구를 해야 하는데 실력을 봐야 하는건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 그리고 실력의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 것은 학부 학벌입니다. 쉬운 고등학교 수준 국영수도 못해서 안좋은 학교에 들어간 학생들이 더 어려운 연구를 상식적으로 제대로 할 수가 없고, 학벌세탁해서 취업하려고 들어온 학생들이 연구를 주도적으로 하려 할 이유도 없습니다.

2019.03.06

ㄴ애초에 학부 학벌이 좋지 않은데도 SPK 들어올 정도면 거기서 최상위권인 학생들입니다. 입시에서 여러 사정으로 본인의 실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서 좋은 학부에 진학하지 못한 경우도 있고요. 그리고 저 세 대학 모두 고등학교때 공부를 아주 못하던 친구들이 갈 수 있는 곳도 아닙니다. 대학원 공부는 학부 공부랑은 또 다르고 학부에서의 퍼포먼스가 대학원에서의 퍼포먼스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를 너무나도 많이 봐왔습니다. 출신 학부는 어디까지나 그 사람이 잘 할 가능성에 대한 지표이지 대학원에서 잘 할것을 보장해주지는 않습니다.
Jules Bordet*

2019.03.06

학생들 풀이 크게 다른데 거기서 최상위권이라고 해봐야 아무 의미 없습니다. 경제적 부담은 spk가 위에 언급된 학교들보다 훨씬 덜하고 상위권 실력 학생이 실수를 해도 저정도까지 내려가지는 않습니다.

본인이 정말 학교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면 자교보다 인지도 떨어지는 대학 랩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아마 버선발로 환영하겠죠.
Jang-choon Woo*

2019.03.06

허허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