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 및 컨퍼런스 선정을 위해 검색을 진행 중에 구글 스콜라 기준재 자그마하게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저널 및 컨퍼런스 선정을 위해 검색을 진행 중에 구글 스콜라에서 분야를 리스팅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예시 링크.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view_op=top_venues&hl=en&vq=eng_computervisionpatternrecognition)
일반적으로 스칼라에서 탑 퍼블리케이션의 리스트에 있을 정도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정확히는 해당 리스트에 등록될 정도면 인정받는 컨퍼런스인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11.12
본문 수정이 불가능하여 댓글로 남깁니다...
2번째 문장은 이상하게 들어간 것 같습니다. 스칼라의 분야별 탑퍼블리케이션에 있는 학회들은 대체로 인정받는 컨퍼런스인지 여쭤보고 싶었습니다..
2024.11.13
님이 하는 연구 분야의 탑스쿨 연구실 사이트 들어가서 어디다가 논문을 내는지 보시면 됩니다.
2024.11.13
내가 이래서 AI,비전하는 새끼들이 싫음.
대댓글 2개
2024.11.13
뭔소린지 이해가 안되네요.. 자격지심이 있으신건지.. 작성자분께 대한 답변으로는 보통 구글스칼라는 hindex로 평가하기때문에, 정확한 퀄리티등을 알기는 쉽지않습니다. 좋은저널/학회일수록 인용이 많을수도있지만, 사실 논문게재편수도 영향을 주니까요. 그래서 특히 저널의 경우에는 open access이거나 논문편수가 많은 출판사(예를들면 IEEE access라는 것이 높이 평가된것만 보셔도)등이 탑퍼블리케이션에 있기도 하죠. 하지만 학회의경우에는 규모가 대동소이하다보니 보통 구글스칼라에 높은곳에 있는곳들은 대체로 분야에서도 좋은평가를 받는것들이긴 합니다. 하지만 아닌경우도 있을테니 본인분야 컨퍼런스 랭킹같은것들을 검색해보시면 각분야사람들이 좀더 상세하게 알려줄겁니다.
2024.11.13
어느정도 동의가 되는데요. 비전분야 한정이지 일반적인 질문이 아닌데요. 학회 규모가 대동소이한 것도 비전분야눈 그럴 수 있으나 아닌 분야도 많죠. 저희 분야도 한해 출판되는 논문 개수가 학회에따라 크게는 10배도 차이가 납니다.
2024.11.13
방법과 견해를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구글 탑퍼블리케이션은 하나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탑스쿨 연구실과 컨퍼런스 랭킹을 추가적으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11.12
2024.11.13
2024.11.13
대댓글 2개
2024.11.13
2024.11.13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