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기초를 다진다고 생각하고 대학원 진학하는건 안일한 생각일까요?

2024.12.04

14

2278

지거국 컴공 4학년 2학기 학생입니다.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이나 R&D 직무 등 인공지능 관련 직무로 나아가고자 하는데 학부 졸업 후 바로 취업 시장에 뛰어들자니 기초가 부족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인공지능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고 있는데 2년 동안 적당한 연구 성과가 나오지 않아 2년동안 허송세월을 보내지는 않을지 걱정이 됩니다. 연구 성과가 뛰어나지 않더라도 취업 전 2년동안 인공지능 기초를 바닥부터 다진다고 생각하고 대학원에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대학원 진학 시 연구가 적성에 맞아야 한다라고들 많이 말씀하시는데 어떤 사람이 연구가 적성에 맞는 사람인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학부생 논문을 써본 경험은 있는데, 논문 쓰는 과정에서 희열... 보다는 이게 왜 안돌아갈까 싶을 땐 답답하고 좌절하다가 해결하면 행복한 정도였고 결과가 썩 만족스럽진 않았지만 제출 기한에 쫓겨 어찌저찌 마무리해서 완성했었습니다. 물론 결과물 제출하고 나서는 뿌듯하기도 했었어요. 이 정도 경험으로도 적성을 판단할 수 있는 걸까요? 저는 연구가 적성에 맞지 않는 사람일까요?

고민이 참 많아집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12.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기초를 쌓고 대학원에 가는거예요. 대학원은 부족한 기초를 쌓으러 가는 곳이 아님. 기초가 탄탄해도 어려운게 대학원에서의 연구입니다.

2024.12.04

배우러 가는건데 가능하죠 단지 본인이 다른사람보다 더 열심히 한다면 추천하지 워라밸은 힘들겠죠. 사실 기초가 있어도 워라밸은 힘들지만요.

대댓글 1개

2024.12.05

ㅋㅋㅋㅋㅋ 안뽑아줍니다. 요즘 연구실 면접때 기초없으면 안받아요~

2024.12.04

기초의 기준을 알지 못하겠네요.
컴퓨터 전공했으면 c, java정도 하고 컴퓨터 네트워크 수강하셨으면 적응에 문제 없습니다.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인공지능 대학원을 고집할 필요 없습니다. AI는 추세입니다. 누구나 AI의 원리를 연구할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진정한 AI를 연구할 수 있는 장비와 규모를 갖추고 연구하는 곳은 별로 없습니다. 따라서 이름만 인공지능 대학원인 곳이 대부분일 겁니다. 일반대학원을 가시는 것이 AI를 하는 것이나 다름 없을 것입니다. AI기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그냥 추세니까요. 대부분의 연구실이 AI와 연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을 겁니다. 컴퓨터공학과 아니어도 할 걸요.
마음을 열고 공부할 분야에 대하여 고민하시고 높은 학점 유지하시고 높은 영어 점수 확보히고 나서 컨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명문대를 목표로 하시고 최소한 중앙대 이상의 대학원을 진학하시기 권장합니다.
도전하십시요.

대댓글 3개

2024.12.05

C랑 자바를 가지고 ai를 어떻게 공부합니까;;;

2024.12.05

익숙한 언어가 두개 있으니 새로운 언어도 금방 익숙해질 수 있겠다라는 의미 아닌가요

2024.12.05

여기에 1차적인 인간이 있네!.. ㅋㅋ
'칸트' 너 대학원생 맞나?
왜? 인공지능하려면 Prolog나 LISP, Python 과 같은 언어만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싶은가?
인공지능의 개념이라도 이해하고 있는가?
어처구니가 없군.....
대학원 진학 자격에 대한 답변을 보고 이런 멍청한 댓글을 다는 이가 있다니,......
'칸트' 넌 어딜 가서 대학원 나왔다고 말하지 마라!
하도 인공지능에 호도 당하는 이가 많아 보여 이름에 너무 집착하지 말것을 알려주려는 것이다.
지지부진하던 인공지능연구가 딥런링이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면서 몇 스텝 발전되었으나 아직도 이러한 새로운 개념과 스텝이 몇 번 더 나와야 진정한 AI가 이뤄 질 수 있다.
또한 엄청난 비용과 HW적인 장비를 갖추지 못하면 그냥 AI를 흉내내는 것에 불가할 것이다.
이런 최소한의 필수 요소를 갖춘 대학이 얼마나 될 것 같은가?

2024.12.0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위에 2명 학부생임? 김학사넷 다됬네;;;

절대 가지마세요. 본인과 그연구실에 민폐입니다. 기초도 없는데 가서 뭐하시게요? C랑 자바를 배워서 인공지능을 한다? 택도 없는소리를 하네요.

그리고 작성자는 연구쪽으로 가면 고생만 할거같은데 그냥 다른걸하시는게

요즘은 학부생때 다준비된 사람들이 넘쳐요. 본인이 하고 싶었다면 최소한 기초는 쌓으셨어야죠. 하고 싶은 일이랑 할수있는 일은 달라요.

2024.12.05

여기에 1차적인 인간이 있네!.. ㅋㅋ
'칸트' 너 대학원생 맞나?
왜? 인공지능하려면 Prolog나 LISP, Python 과 같은 언어만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싶은가?
인공지능의 개념이라도 이해하고 있는가?
어처구니가 없군.....
대학원 진학 자격에 대한 답변을 보고 이런 멍청한 댓글을 다는 이가 있다니,......
'칸트' 넌 어딜 가서 대학원 나왔다고 말하지 마라!
하도 인공지능에 호도 당하는 이가 많아 보여 이름에 너무 집착하지 말것을 알려주려는 것이다.
지지부진하던 인공지능연구가 딥런링이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면서 몇 스텝 발전되었으나 아직도 이러한 새로운 개념과 스텝이 몇 번 더 나와야 진정한 AI가 이뤄 질 수 있다.
또한 엄청난 비용과 HW적인 장비를 갖추지 못하면 그냥 AI를 흉내내는 것에 불가할 것이다.
이런 최소한의 필수 요소를 갖춘 대학이 얼마나 될 것 같은가?

2024.12.05

당연히 기초 쌓고 가야하는거 아닌가요? 기초없이가면 학부 담당교수님 욕먹이는 꼴이라던데..

2024.12.06

작성자입니다... 김박사넷 사용이 처음이라서 댓글이 달릴 때 알림이 안오는 줄 몰라서 댓글이 이렇게 많이 달린줄 모르고 있었네요ㅜ

몇몇 댓글에 프로그래밍 언어 관련된 이야기가 보여서 덧붙이자면 제가 말씀드리고자 했던 기초는 코딩 능력보다는 탄탄한 수학적 기초가 안되어 있다는 말씀이었습니다... 본문에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죄송합니다.

당연히 자바와 파이썬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충분히 다뤄봤고, 정출연 인턴 경험과 국내 학술대회 논문 게재 경험이 있긴 하지만 이건 학부 수준에서 할 수 있는 AI 겉핡기에 지나지 않았았나라는 생각이 들어 고민이 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AI에 흥미를 가지게 된 게 4학년 1학기 끝마칠 때 쯤이라 아무래도 그 전까지는 개발 관련된 활동만 해왔기 때문에 대학원 수준의 AI를 연구할 때 필요한 수학적 기초가 부족했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AI모델 응용과 학부 수업에서 배운 정도의 인공지능 기본 지식만 가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학부 성적은 4/4.5 정도로 낮은 성적은 아니지만 뛰어난 성적도 아닙니다. 그때 그때 필요한 공부는 열심히 했었지만 그 이상은 아닌 것 같습니다. 대학원 진학을 다시 고민해보는게 맞을까요?

대댓글 1개

2024.12.06

제일 먼저 의견을 말씀드린 사람입니다.
님은 대학원에 입학할 자격이 충분합니다.
너무 겸손하시네요. 대학원은 입학하여 학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을 선발하는 곳입니다. 기업처럼 이미 어느정도 능력을 갖춘 사람을 선발하는 곳이 아닙니다.

AI 자체를 공부하시고 싶은 것이군요!
그럼 AI 원리를 연구하는 곳으로 가야 합니다. 수학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대학원은 학부와 많이 다릅니다.
AI가 추세이다 보니까, 아무대나 AI를 붙여서 사람들을 혼동에 빠뜨리고 있습니다. 허수가 너무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AI연구실은 한계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AI 원리를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재정과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능력을 갖춘 곳은 대기업이나 해당 공공 연구기관, 그리고 이들과 연계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소수의 대학에 있는 AI연구실 및 AI융합 차원의 연구실들일 것입니다.
이러한 곳은 소수에 불가합니다.
대부분 명문대 이겠지요.
잘 알아보시고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적어도 중앙대 이상은 진학하시기 바랍니다.
님은 자격이 충분합니다. 단, 타학교 학생이기에 높은 영어 점수가 필요합니다. 타학교 학생에게는 학점과 더불어 어필할 수 있는 최대의 경쟁력입니다. 설대는 텝스....
꼭 영어 능력을 최대로 끌어 올리세요.

그리고 너무 AI에 메달리지 마시고 관심분야를 조금만 넓혀 보시기 바랍니다. 맘이 무척 편해집니다. 예를들어 기존 연구에 AI를 융합시키는 분야.....

높은 영어 점수를 확보하시고나서 명문대 위주로 한 학교당 2-3군데의 연구실을 선정하여 컨택하시면 됩니다.
컨택과정에서 무시 당하며 내상 입을 수 있습니다.
꼭 극복하시기 바랍니다. 무조건 타학교 학생에 대한 근거없는 불신의 편견을 가진 교수가 있습니다.

감히 내가 저기를 어떻게... 라고 두려워 마시고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님 보다 못한 저도 들어가서 졸업까지 했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원하는 바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2024.12.06

대학원에 course work이 있는 이유가 최소한의 연구 기초 쌓으라고 하는 거죠. 진짜 순수하게 연구만 하는 곳이면 course work도 다 없애야함.

2024.12.07

안일한 생각은 맞지만, 대학원은 아이러니하게도 안일한 사람들이 주로 오는 곳이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