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공동 1저자

2024.12.04

18

1379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4.12.04

대댓글 2개

2024.12.04

실험 아이디어 무관

논문 초안 작성한 사람이 1저자임

2024.12.04

의견 감사합니다.

2024.12.04

공1저자 앞뒤는 그냥 기분차이임

대댓글 9개

2024.12.04

초안을 제 이름을 앞으로 해서 줬는데 순서를 바꿨더라구요...ㅋㅋ

2024.12.04

저런... 걍냅두세용ㅜㅜ

2024.12.04

절대 기분 차이 아니고요 임용 심사 등 취업 때도 본인이 한거라고 안받아줍니다.

정량적인 점수에서는 같지만요

이름 바꾼 이유를 모르겠습니다만, 사수랑 이야기하고 교수님과도 이야기 해보세요.

2024.12.04

교수는 박사편입니다 잘 준비해서 가시고 본인 스스로 어필해보십시오.

2024.12.04

만약 공1저자가 3명일시 뒤에 2명은 기분차이라도 맨앞은 완전히 다른 얘기인데

2024.12.04

안 그래도 말씀드리려구요.
감사합니다.

2024.12.0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ㄴ 두번째랑 세번째랑 차이 큰데요.. 세번째, 네번째 공동1은 거의 2저자로 치는 학자도 많습니다. 앞 2명안에 들어야 해요.

2024.12.05

두번째 부터는 똑같음

2024.12.06

임용할때 아무 차이 없던데요?
어차피 점수로 하는건데...

2024.12.04

글쓴이가 앞이 맞음. 누가 책임지고 누가 도와주는 역할인지가 중요

2024.12.04

이건 앞이 맞지. 그거 날름 쓰고 공저들어가는거면 양심이 없지

2024.12.05

글쓴이가 무조건 맨 앞에 들어가야해요!! 꼭 승리하시길!!

대댓글 1개

2024.12.07

잘 얘기했습니다.
교수님께서 너무나 좋으신 분이고 이야기 잘 들어주셨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못하나 긍정적인 답변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다른 분들도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12.05

author contribution 기여대로 썼으면
남들 인식에서의 차이이지, 서류평가는 앞이든 뒤든 똑같이 공동1저자 점수로 갑니다.

그런데 글쓴이분이 그렇다는건 아닙니다만,
conceptualization을 지도교수나 박사랑 상의도 없이 정말 혼자 했는지는 잘 생각해보고 교수랑 얘기하세요.
특정 세부분야 주제로 해보라고 지도교수나 박사급이 떤져주는 것부터가 어느정도 분야 돌아가는 상황을 파악을 하고 주는거고, 수업이든 세미나든 데이터 관련 회의든, 다 교신급들의 의견 반영되는겁니다.
글쓴이분이 논문 주제, 실험, raw데이터 뽑고 정리하고 초안까지 지도교수 상의 없이 했으면 본인 마음대로 결정하셔도 되지만,
그게 아니라면, 기여도 파악을 하고 본인 권리 주장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