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전자공학과고, 이런 랩이 꽤 있는 것 같은데요. 이런 경우들에는 AI가 기존의 문제 (해당 랩의 Main 연구 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용되는 게 맞나요? 해당 연구실에서는 그럼 Main 주제 관련 공부 뿐만 아니라 AI 관련 공부까지 다 따로 하고 계신 걸까요...? 혹시 전자가 아닌 다른 전공 분야에서도 ai가 이렇게 사용되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12.16
AI 전공자들 수준으로 딥하게는 아니지만 공부함
대댓글 1개
2024.12.16
혹시 전자전기 쪽이신가요? 어떤 분야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2024.12.17
AI를 블랙박스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수정하는 경우도 있어요. 전자의 경우 있는 모델을 그대로 가져오니 깊이있는 공부는 필요 없고요. 후자의 경우는 어느정도 공부가 필요합니다.
2024.12.17
사회과학 (법학) 쪽이고 저희는 전자의 경우인 것 같네요.
2024.12.17
자연과학이고 도메인/데이터에 맞는 알고리즘 선택 및 적용을 위해 따로 공부합니다.
2024.12.18
의학입니다. 되는데로 돌리고.. 사설 업체 연계해서 돌리기도 하고 사설 업체에서 툴을 사서 돌리기도하고.. ChatGPT랑 Gemini 믿고 간단한 모델 만들기도 합니다.
2024.12.24
확률통계론을 훑어가면 AI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것입니다. 어떤 문제에서 미지의 y=f(x) 가 있을때, f(x)가 미분가능한 경우, 모든 x에대한 y값의 관계를 추론하는 과정을 기계학습으로 시도할 수 있습니다. 어떤 분야든 그 문제를 쪼개고 쪼개도 산술적으로 정의하기 어려운 작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AI가 이부분을 해결하는데 도움을주는것입니다.
2024.12.16
대댓글 1개
2024.12.16
2024.12.17
2024.12.17
2024.12.17
2024.12.18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