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 정도면 연구 중심 대학 아닌가요 ?

2024.12.23

17

10738

한양대 서울·ERICA캠퍼스, 4단계 BK21 혁신인재양성사업 중간평가서 전국 최다 14개 교육연구단 선정

연구중심대학의 정의가 무엇인지.. ist 외에는 연구중심대학이라 할 수 없는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부지런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4.12.23

지방에 있으니 그냥 좀 띄워주셈

2024.12.24

현실을 사세요

대댓글 1개

2024.12.24

과기원을 연구중심대학이 아니라고 한적도 없고
연구할 환경이 잘 갖춰져있으면 연구 중심 대학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라는 질문인데
갑자기 현생이니 정신병이니 말하는게 더 이해가 안되네요

2024.12.24

이 정도면 정신병 아닌가요?
정신병의 정의가 무엇인지...

대댓글 1개

2024.12.24

현대인은 누구나 정신질환을 하나는 가지고 있다는 말이 맞을 정도로 정신질환은 매우 흔하다. 우울장애는 말할 것도 없고, 정신질환의 시작이라 해도 무방한 불면증은 주변에서 못 보는 경우가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선진국 국민들을 기준으로 4명 중에 한명이 평생 우울증에 한 번 정도는 걸린다는 통계도 있다.

2024.12.24

그렇게 과기원이 부러워???

대댓글 1개

2024.12.24

질문인데 다들 왜 이상하게 받아들이지 ?

2024.12.24

연구중심대학이라는 말은 사실 한국에서는 딱 어디까지다라는게 명확하진 않은듯합니다. 미국은 R1대학 이런식으로 딱 정해져있는데 사실 그마저도 140개가 넘습니다.
미국에서 R1을 정의하는것처럼, 어느정도 대학원생수주해서 연구가 진행되는 학교라고 하면 보수적으로 잡아도 한양대나 성대는 모두 들어가지않을까싶네요. 주변에서 임용준비하는친구들도 많이들 "spk 연고 (서)성한 과기원"은 모두 본인연구를 충분히할수있는 학교라고 생각합니다. 여기까지는 사실 이견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거기에 사람들에 따라서 지거국(부산경북대), 몇개의 인서울대학(중대 등), 인하/아주대 등까지는 연구할수있는학교로 고려하는듯 합니다. 에너지공대는 제가 학위받고난 이후 생긴거고 같은분야도아니고 잘몰라서 제외했고, 서강대도 규모가 워낙작다보니 사실 주변에서 간경우를 못봤네요.

대댓글 1개

2024.12.24

주변에 에리카나 고대 세종캠에 임용된친구들도있었지만, 객관적으로 에리카와 본캠은 입결은 모르지만 교수 연구환경에 있어서 큰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교수직들도 사실 에리카/세종캠 갔던애들은 둘다 해외포닥없이 들어갔던경우였어요.

2024.12.24

연구중심 대학은 서카포 연고 한성 정도까지임.

연구가 규모도 중요한데 서강대만해도 학회에서 많이 안 보여요.

지거국은 그냥 지역 살리기위한 알앤디 예산 받아서 용역 수행하는 정도라고 봄.

대댓글 1개

2024.12.25

서강대는 인원이 적어서...

2024.12.24

그게 미국대학 분류에 쓰이던건데 한국에는 명확히 나뉘어있진 않습니다.
다만, 미국의 연구중심 대학과 유사한 SKP, KST, YK를 보통 연구중심대학이라고 부릅니다. (교수가 한 학기에 맡아야 하는 과목 수, 초기 정착지원금 규모 등등)
이외 학교들은 연구중심대학 보단 평범한 한국의 4년제 대학에 가깝습니다.

2024.12.24

"연구중심" 대학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습니다. 다만 대학의 목표 중에서, 소속 교수의 임무 중에서 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타 항목 대비 (강의, 봉사 등) 큰 가가 한가지 기준이 될 수도 있겠지요. 과기원, 포항공대 등이 연구중심대학을 표방하고 있는데, 이들 대학 소속 교수의 1년 의무강의시수는 2과목, 많아봐야 3과목을 넘지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SKY 대학들(동일 학과 계열 기준)도 이보다는 많은걸로 알고 있구요. 즉, "강의" 적게 하고 연구 열심히 하라는 시그널이죠.

2024.12.25

2024년 한양대학교 시무식에서 총장님께서 향후 한양대학교의 미래 확장 계획의 중심은 에리카 캠퍼스를 중심으로 넓혀 가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유 중 하나는 서울캠의 공간적 확장성의 어려움도 있고, 즉 에리카 캠의 넓은 평지의 공간과 신안산선역이 학교 내에 들어서는 등 여러 이유가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24.12.26

연구중심대학은 대학의 특성과 위상을 말하는거지 사업 선정 개수로 따지는게 아님

2024.12.26

교수들이 연구하기 좋은환경을 연구중심 대학이라 하는듯, 사실상 과기원이나 상위권 대학 제외하면 학부수업 위주니깐

2024.12.27

사시로 ㅎㅇ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