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DPI 에 관련된 재밌는 정보

2025.01.07

13

4149

MDPI에 대한글이 최근에 오랜만에 올라와서 흥미롭게 보다가, 우연히 좋은 아티클을 찾았네요.

참고로 지금 탑스쿨이라 불리는곳에서 포닥을 하고있습니다.

제가 별로 다른사람에 신경을안써서 기존에는 MDPI에 어차피 나는 제출안할거고, 다른사람들이 쓰든말든 신경안썼습니다. 그리고 예전글 댓글로도 말씀드렸지만 다른 출판사에서도 문어발 확장을 똑같이하고있다고 생각했고 이에 대해서 별로 안좋게 생각하고있습니다. (대표적으로 npj) 그러면서 최근에 논문이 쏟아지는 세상에서 영향력있는 논문쓰는게 어떤것일지 고민도 해봤네요.

그러다보니 때로는 MDPI가 단순히 이름간판이 떨어지는데 똑같이 돈벌이짓을 해서 욕먹는구나고만 생각했습니다. 게재료도 비싼걸 아니까, 저런곳에 내는거면 연구비가 아깝겠다 생각한 정도였죠.

그러다가 최근 아주재밌는 아티클을 봤는데 생각이 바뀌었네요. 참고로 2016~2022년까지의 출판사별 연구동향을 조사한겁니다.
(https://direct.mit.edu/qss/article/5/4/823/124269/The-strain-on-scientific-publishing)

여기에 보면 논문게재숫자를 보면 MDPI와 Forntiers가 급격히 늘어난것을 볼수있으며 (다른 출판사들은 flat한것에 비해서), MDPI는 절대적인 논문숫자는 Elsevier에 이어서 두번째라는게 놀랐습니다.
특히 anual article per journal을 보면 frontiers와 mdpi가 최근 어떤 행보를 보이는지 명확해지죠.
또한 이런이유들중 special issue남발인것도 plot을 통해서 알수있는데, special issue에 논문장사 뿌리는만큼 논문퀄리티나 리비전은 당연히 낮아질수밖에 없겠죠. speical issue에 guist editor들도 사실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가는 절대아니고요. (저조차도 초청받았으니) 논문 리비전하는 period도 보면 mdpi가 타출판사에 비해서 유독 엄청빠르다는것도 알수있습니다.
그외에도 impact inflation 이나 self citation의 정도도 보면 mdpi가 유독 나빠보입니다.

안타깝게도 이런영향중 대부분을 차지하는게 동아시아권일겁니다. 태뉴어 정량개수 채우거나 과제실적 맞추려고 MDPI에 남발하는 교수가 많으니까요.

하브넷에서도 예전에 mdpi공론화됐을때, 다른 교수들중 mdpi내는 교수들한테 연구비아깝지않냐고 말한것보고 오지랍이라 생각했는데, 실제로 그런생각이 조금은 드네요.

물론 mdpi에서도 좋은논문도 있고, 옆랩 젊은교수는 mdpi에 낸 research paper가 citation이 천이 넘어요. 그만큼 분야에서 영향력있는 연구였고요. 하지만 이런연구를 mdpi에서 찾는건 많이 어렵다고 생각하네요.

MDPI를 비하하려는 의도로 올린글은 아니지만, MDPI가 욕먹는 이유에 대해서 단순히 "퀄리티가 낮아!"라는 말 보다도 좀더 자세하게 이해할수잇어서 공유해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1.07

장사로 세를 불리려는게 언짢게 여겨질 수도 있지만, (물론 작성자께서 언짢게 보신다는 건 아닙니다) 한편으로는 어느 정도 미니멈 퀄리티는 유지하면서 돈.을 버는게 그들의 선택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2025.01.07

저도 MDPI를 썩 옹호하진 않습니다만, 전통 저널들에 미친 긍정적 영향도 있긴 있습니다. 최근 엘스비어 저널들은 리뷰어에게 최대 21일내로 리뷰를 마치도록 권장하고 있죠. 물론, 에디터에게 요청하면 연장해 줍니다만, 그래도 전통저널들도 어느정도 리뷰가 빨라진 부분은 이런 OA 저널들 영향이 있다고 봅니다.
솔직히 논문하나 리뷰하는데 미친듯이 시간이 필요한건 아니니까요. 네이처급이 아닌이상.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1.07

국내에서 연구를 계속하는 입장에서 이건 단순 연구자의 윤리적 문제가 아니라 정부 차원의 문제 같네요. 솔직히 그렇게 따지면 1차년도에 논문 실적을 내는것 자체가 윤리적으로 큰 문제 아닐까요? 1차년도 논문 게제가 될려면 시작하자마자 투고를 시작해야 될텐데 그럼 결국 먼저 연구를 해놨던지, 아니면 더른 연구내용이던지 일테니깐요. 그러면 그게 그해에 빨리 연구해서 10월에 투고한 mdpi랑 뭐가 다르죠? 이것도 생각해봐야 합니다. 오래 국내에서 연구생활할수록 저런 저널은 필수적이네요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