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국박 후 포닥이다. 질문 받는다.

2025.01.21

34

5331

졸업 후 다른 랩에서 좋은 대우 받으며 포닥 중, 연구주제도 나름 괜찮음
근데 석사생들 트러블 슈팅해주느라 내 시간을 너무 뺏기고 새로운 분야로 오다보니 공부할 것도 많고 쉽지 않네...
그래도 박사때 빡세게 트레이닝 받아서 일하는 거 자체는 수월하다고 생각하는 중.
질문받는다. 박사 학교는 SPK 중 하나임
1-2년 후 미국 갈 생각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2025.01.21

살다살다 포닥이 뽕찬 경우는 또 처음 보네

대댓글 2개

2025.01.21

머 어때서... 박사 존나 힘들게 땃는데 ㅜ

2025.01.23

불만 가득한것보단 좋잖아 뭘 그래~

2025.01.21

미국오면 석사생들 트러블 슈팅이 아닌… 석사생들을 내 프로젝트에 편입시키고 활용할 줄 아는 매니저가 되야함.

대댓글 4개

2025.01.21

예 참고할게요...... 흑흑 근데 아무것도 모르는 애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궁금하군 내가 아는걸 가르칠 순 있는데 그건 활용이 아니잔음

2025.01.21

가르치는 것도 없이 어떻게 뽑아 먹나요?
미국 대학원 애들은 훨씬 개인적이라 가르치기도 힘들고 뽑아 먹기도 어려워요.

대신 한번 가르쳐 놓으면 자율적으로 하는 애들이 많죠.

2025.01.22

언제 가르쳐서 언제 써먹을런지... ㅠㅠ 인내심이 필요하군요

2025.01.22

학생들을 잘 활용하려면 빅 픽처를 갖고, 여기에 필요한 적절한 기술을 내 시간을 너무 많이 안 뺏기는 선에서 스마트하게 가르치고, 진도관리를 잘 해야하죠. 스팟성 업무 (트러블 슈팅)가 아닌 조금 더 큰 그림을 갖고 매주 분단위로 효율적으로 척척 진행하는게 중요합니다. 학생을 쓴다면 학생+나 의 조합이 내가 혼자 연구하는 역량보다 효율적이어야겠죠. 그만큼 결과도 꾸준히 뽑아야겠고… 포닥 기간의 낭비되는 시간은 내가 경쟁력이 그만큼 사라지는 독으로 작용함으로.. 시간을 쓰면 확실하게 페이퍼를 뽑아내야합니다.

2025.01.21

박사말 포닥초는 내년 먹거리를 열심히 만들어놔야합니다. 미국가서 셋업하고 적응하는동안 논문 안나오면 나중에 임용지원할 때 자칫 실적 유통기한으로 박사때 쓴 논문들 활용을 못할수가있어요.

이때 1년가량 공백 생기면 그대로 포닥 1년 더 길어집니다. 그렇게되지 않도록 공백을 최소화할 전략을 잘 만드세요. 응원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1.22

감사합니다! 공백기 최소화...

2025.01.21

후배나 자기 보다 늦게 인턴 시작한 동기 등등 본인이 가르쳐야 하는 입장에 있을때... 너무 못해서 사람이 싫어졌던 적 있나요?ㅠㅠ 배우는 입장이다보니 가르치는 분의 입장이 굉장히 신경 쓰이고 우려되네요......

대댓글 2개

2025.01.22

사실 나한테 처음 배우는 사람한텐 빠른 성과에 대한 기대를 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성실하게 하는지 모르면 질문하고 열심히 하는지가 중요한 것 같아요. 그것만 잘해도 상위권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2025.01.22

질문하는게 눈치보여서 잘 못하겠어서요ㅜㅜ 공부를 안하는건 아닌데 좀 어버버 거리고 자꾸 헷갈려서 틀리고 실수하고... 이러다보니 더 걱정됐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상위권일수 있음 좋겠네요 더 노력해야겠어요......

2025.01.21

ㅎㅎㅎ 구여워요

2025.01.22

포닥 가는건 쉬운편인가요?

2025.01.22

1-2년 잡지말고 그냥 올해말~내년초에 나오는 세종펠로우/학진으로 먼저 가는게 좋습니다.
특히 한국리턴 생각하시는거면 포닥경력 길어지면 오히려 마이너스인경우가 많아요. 1-2년 국내포닥하고 미국넘어오셔서 1-2년하시면 포닥만 4년이 넘을텐데, 국내자리잡을때는 포닥은 2-3년이 가장 적당합니다. 3년넘으면 안좋게보는경우도 많아요.

대댓글 4개

2025.01.22

미국정착 생각하시더라도, 미국을 장학재단으로라도 먼저 가서 연장하는방식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이경우 세종펠로우십은 국내의무귀국사항이 있기때문에 어렵겠네요. 요즘 NIW만해도 2-3년잡아야되서, 영주권받고 넘어가고싶으면 미국포닥만 2-3년할생각 하셔야됩니다

2025.01.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꼭 그렇진 않고 졸업 후 3-5년까진 무난하게 ok입니다. 5년 이후부터 매우 안 좋게보는 편이죠. (물론 빅페이퍼면 다른문제이지만)

2025.01.22

백석님 분야를 모르지만, 케바케는 있을것같아요. 물리학이나 바이오쪽은 포닥을 조금 길게보지만, EE/ME 로보틱스 관련분야인데 여기는 3년이상을 좋게안본다는게 중론이기도 해요. 3년부터 점차 꺾이고 4년차부터는 안좋게봐요. 미국정착을 목표하는게 아닌이상에는요.
그것제외하더라도 어차피 미국에서 FICA tax가 2년까지만이라서 3년차될때부터 급격히 허리띠 졸라매야돼요. 3년차보다는 연도로 따질때 3년이라서 더 짧기도하고요.

2025.01.22

세종은 올해 썼는데 될지 모르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5.01.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작년이였으면 세종이 많아서 괜찮았을텐데, 올해엔 세종 경쟁이 심해서, 혹시 안내셨으면 내년에 도전해서 넘어가시는걸 추천함

2025.01.22

S제외한 나머지학교들은 SPK라고 부르질 않던데 ㄹㅇ임?

대댓글 1개

2025.01.22

아님. Ex 갓준표

2025.01.22

K박사따고 S포닥 고민중인데 집이 서울이라 서울지내고싶어서요. 연구 좀 더 해보고싶어서 포닥 결정한건데 연구실에 플젝 중심이라 연구못하고 직원처럼 일만하는건 아닌지 (그럼 취업하지..) 고민이 들어요. 곧 교수님께 지원 여부 답장을 해야하는데 어떻게해야할까요. 그리고 무급포닥도 경력으로 인정되는지 궁금합니다. 연구 성과 있는 경우예요.

대댓글 1개

2025.01.22

분야가 다른건지 조금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는데 모든 연구실이 플젝 중심 아닌가요? 과제를 말씀하시는 건가... 다 떠나서 무급 포닥은 본인이 버티기 힘들지 않을까요?

2025.01.22

그냥 궁금해서요. 포닥이 석사생들 트러블슈팅까지 다 해줘야하나요?

대댓글 1개

2025.01.22

같이 프로젝트 하는경우에만 같이 도와주고 있습니다. 이러나 저러나 프로젝트 빨리 끝나는게 좋으니까요

2025.01.22

저도 오는2월에 졸업인데, 어디 연구소라도 들어가서 포닥해야되나 싶어요 ㅠㅠ

대댓글 1개

2025.01.22

연구 계속 생각 있으시면 컨택 ㄱㄱ...

2025.01.22

내가 알던 포닥은 석사생들 트러블 슈팅은 커녕 커버할 힘도없어서 관심 안 갖고 지 실험만 했는데 그만큼 실험실 인력 배출도 안되고 그랬는데, 님은 실력자 이신 가보네요. 교수 되었을때도 지도 또한 잘 하실 것 같습니다.

2025.01.22

2+1 전문연 제도 없으셨죠...?
어느분야인지 어디로 추천받아 포닥 가실건지 질문드립니다
후회안하시는지도요

대댓글 1개

2025.01.23

펠로우십이 되면 탑스쿨... 아니면 교수님이 추천해주시는 곳으로 가야겠죠? 아마도... 근데 이제는 스쿨보다 어드바이저가 누군지, 그 분야에서 명성이 있는지가 중요한듯 합니다

2025.01.22

To be continued plz

2025.01.23

분야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미국 포닥 나오실꺼면 바로 나오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오셔서 펠로우십 지원하려도 박사 졸업 후 2년 내까지가 제한걸린 경우가 종종 있어서 한국에서 1~2년 보내다 오시면 스트레스 받으실 상황이 생길수 있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