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교수님들께서 취업에 회의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2025.01.30

21

4866

학부연구생 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지도교수님께 석사 후 취업이 목표라고 말씀드렸더니, 해외 박사를 가는 게 낫다며 취업에 대해 좀 부정적인 말씀을 하셨습니다.
김박사넷을 쭉 둘러보니까 교수님들께서 대게 취업에 회의적인 분들이 많으시더라고요.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키워놨더니 기업체로 가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5.01.30

자기들은 해봤더니 교수가 편하고 좋으니까요.

대댓글 1개

2025.01.30

그말씀 하시긴 하더라고요. 답변 감사합니다.

2025.01.30

우리랩 기준으로 석졸 취직한 애들 결국 2~3년 이내로 박사 가는 놈들이 많긴하던데

대댓글 1개

2025.01.30

박사 졸업하고 취직하는 경우가 취업 폭이 좁아지니 더 어려울 수도 있다는 말을 들었는데, 좀 더 알아봐야겠네요.
혹시 그분들께서는 어떤 이유로 다시 박사 학위를 취득하려 하시는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2025.01.30

석사만 할 분들은 교수님들이 과제비등 인건비를 따면서 랩에 있게 할 ROI가 안 나온다는 이유도 있고, 또 사실 CS쪽이라면 국내 석사만 하는 것보단 해외 박사 하는게 압도적으로 더 좋은것도 사실이긴 하죠..국내 석사야 별로 해 봤자 학부랑 다른것도 없고 국내 기업들 대우도 나쁜데

대댓글 1개

2025.01.30

저는 R&D 직무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CS의 경우와 비슷한 부분이 많나요? 더 알아보고 싶어서요..

2025.01.30

먼 전공인지 모르겠지만 r&d 희망인데 석사만 하고 취업한다고 하면 당연히 박사유학 가라고하죠

대댓글 3개

2025.01.30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이유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석졸 R&D는 좀 더 전문적인 연구직을 못 하기 때문인가요?

2025.01.30

석사는 연구직이라기보다는 자동 파이펫 로봇 정도입니다.
이게 나쁘다는 것은 아니고 그만큼 스트레스도 없음. 다만 전문적인 연구직을 생각한다면 현타가 올 수 있음.

2025.01.30

학사 졸업이 로봇이라 생각했는데 역시 2년 조금 더 배워봤자 크게 달라지는 건 없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대담한 리처드 파인만*

2025.01.30

기업가서 하는 일이 특별할 것없는일이니..
열심히 키운학생이 큰일하길 바라다보면
창업이나 연구하길바라죠.

대댓글 1개

2025.01.30

제 상상과는 좀 다른가 보군요.. 저는 석사 졸업도 연구 부문에서 박사만큼은 아니지만 우대받을 줄 알았습니다. 다들 어떻게 이런 현실들을 알고 계신건지... 검색으로 알아보는 건 역시 한계가 있네요..ㅎㅎ

2025.01.30

좀 자극적인 말일 수 있지만.. 공감을 못하거나 닫힌 세상에 계신지 오래되서 일것 같습니다.

비유하자면 크게는 일종의 부모님이 자식들 잘 되라는 의미이거나 본인들 추진 프로젝트에 오래 일할 사람이 있으면 좋아서 일 가능성 정도가 되겠습니다.

전자는 요즘 같이 5년 뒤 세상도 예상이 안되는데... 과거의 기준을 갖고 말씀하시는 거라면 따를 필요 없다 생각합니다. 다만, 인구학과 같은 전문 지식이 있거나 미래애 대한 통찰이 있으시다면 예외가 되겠죠.

후자는 노동력으로 학생을 보는것이고 이거는 나쁜의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5년만 지나도 학생수는 급격히 줄어들것이고.. 불확실성 가득한 미래대비 차원에서 방향성을 그렇게 설정하신 것일 수 있습니다.

변수가 워낙 많다보니 딱잘라 이야기 하기 어렵지만, 작성자분이 교수님의 철학이나 가치관을 살펴보시면서 정답을 찾아야할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대댓글 1개

2025.01.30

방향을 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시 한 번 진지하게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01.30

좋게 생각하면, 본인들은 박사하고 학계에서 교수까지 하는 성공한 인생을 살고있어서, 본인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성공방안을 학생들한테 추천하는 거죠.
근데 한편으로는 학계에서의 영향력을 위해 계속 남겨두려는 것도 있죠, 특히 젊은 교수님일수록 그런 거에 집착을 보이는 게 있더라고요.

대댓글 1개

2025.01.30

소름이네요.. 젊은 교수님이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2025.01.30

연구부서에 뼈를 묻고 싶다면 연구조직에서 석사는 석사라기 보단 석사자격증을 가진 학사로 취급받는 다는 걸 알고 가셔야합니다. 그 대우 못견디겠으면 중간에 튕겨나와서 박사가는거임..

대댓글 1개

2025.01.30

아... 이래서 교수님께서 석사 졸업에서 끝내지 말고 미국 박사 하라고 그렇게 강조하시는 거군요.. 나중에 취업하고 후회하느니 석-박 통합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고. 너무 고민되네요.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1.30

제 경험상 석사는 갖추어진 일은 곧잘 하지만 새로운 일이나 처음부터 만들어서 하는 일을 맡길 수 없어서 연구 조직에서 한계가 명확합니다. 그런데 회사 생활 좀 경험 하고 박사 들어가는 것도 좋아요. 시야나 동기 부여나 석사 후 바로 진학한 경우보다 좋은 경우도 많이 봤어요.

2025.01.30

기업 R&D에서 박사가 가지는 위상은 학위보단 자격증임. 학사 석사졸은 그냥 노예이고, 하고싶은걸 하려 해도 박사학위가 없으면 안시켜주고, 저새x보단 내가 더 잘하겠다 싶어서 유학 나온 사람들 많이 봄. 요즘에야 탈조선 러쉬때문에 유학나오는 사람들이 많지만, 내가 1-2년차일때까지만 해도 전자 부류가 많았음

2025.01.31

그냥 자기 연구실에 남았으면 하는 마음이죠 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