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제목을 보고 들어오신 분들께 죄송합니다. 우문인줄 알지만 너무나 고민이 되어 질문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올해 대학에 입학하는 스무살입니다. 기계공학 분야의 교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대학에 합격하기 전에는 학부가 어떻던간에 오래, 열심히, 그리고 잘 공부한다면 교수의 꿈을 이룰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김박사넷을 포함한 연구자 커뮤니티, 자대 및 타대 교수님들의 학부 학벌. 자대 학부 선배들의 대학원 진학 사례 등 여러 자료들을 찾아보았습니다. 특히나 로보틱스 랩의 경우에는 자대 출신들로 TO가 끝나는 경우들도 보였습니다. 그 결과 지금의 학부 수준으로 교수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이 많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철없는 질문글을 올리게된 이유도 1) 학부의 레벨이 제 진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면, 갓 대학에 입학하는 현시점에서 시급히 편입 혹은 재수를 준비해야할 것이고
2) 설령 학부 레벨이 중요하지않다 해도 명쾌하게 풀리지 않은 의심을 품은 상태에서 학부 공부, 스펙 등에 집중할 수 있을지 자신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높은 레벨의 학부를 졸업하신 연구자 선배님들, 혹은 저와같은 고민을 하셨던 선배님들, 관련 분야를 잘 아시는 분들, 아니면 철없는 질문을 하는 저에게 일침을 가해주실분 모두 좋습니다. 그 어떤 피드백도 저에겐 큰 도움이될 것 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0개
2025.02.03
학벌인플레는 갈수록 심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교수 TO가 같이 늘어날까요? 글쎄요... 한정된 자리에 경쟁자가 많아지면 문턱은 지금보다도 훨씬 높아지겠지요.
2025.02.03
하고싶은대로 하세요 어차피 학부 skp로 시작해도 교수까지 가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이러나 저러나 바늘구멍일거 후회라도 안남는게 좋겠죠
2025.02.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을 더 좋은데 가세요. 나이 학벌 다 중요합니다. 학벌 망한거 아니면 빨리 학부연구생부터 연구 경력 쌓는게 더 좋을 수도 있어요. 중경외시 이하만 아니면 괜찮아요
대댓글 5개
2025.02.03
건동홍 -> skp 석박중이고, -> 이후에 해외 포닥 준비중인데 망한건가요..?
2025.02.03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요즘 잘 모르겠네요
2025.02.03
그 아래급 학교입니다. 전공공부와 편입 병행해서 1년 허비없이 가는게 나을까요?
2025.02.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중경외시 이하면 당연히 일단 학부학벌부터 올려야죠, 당장 편입준비부터 추천합니다 마지노는 서성한이예요
2025.02.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중경이하인데 교수가 하고 싶은거면 재수하는게 맞아요
2025.02.03
본인이 수능(혹은 논술)과 같은 시험과 기질적으로 안맞으나 학과 공부나 연구에서 훨씬 두각을 나타낼 자신이 있다면 시간 허비하지 말고 그냥 다니는게 낫습니다.
만약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재수 해볼만은 하겠으나, 수능이 본인에게 불리한 시험이 아닌데 못 봤다? 단순히 불운한 걸수도 있겠지만 본인 전공 공부나 연구 능력도 딱 그정도일 가능성도 있는거고 그러면 꿈이 너무 큰거. 이건 본인이 냉정하게 판단해야 함.
일단 목표를 검토해봤을 때, 어느 대학의 교수를 목표로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한국의 임용 시장에는 유리천장 같은게 있는데 그것은 자대 수준의 대학교 교수가 거의 상한이라는 겁니다. 그 이상으로 올라가려면 압도적인 실력과 남들 보다 더 돌아가야 하기에 더 오랜 시간이 필요합니다.
2025.02.03
아무래도...
글쓴이가 교수를 채용하는 입장이 되어보세요...
2025.02.04
근데 올해 갓 스무살이고 연구경험이 전무한데(심지어 학부레벨을 보면 어지간해선 과고 출신도 아닐테고) 어째서 교수가 되고 싶으신건지 궁금하네요
멋있어서? 안정적일것 같아서? 내가 연구에 맞을거 같아서?
셋다 전부 아닐수 있고 더 맞는 직업이 세상에는 많은데 굳이..?
대댓글 1개
2025.02.05
우선 진로를 로보틱스 분야로 정한지 꽤 되었습니다. 또한 고등학교때 이족보행 로봇 ZMP 관련해서 작게나마 연구를 진행하고 소논문 작성해본 경험이 너무 즐거웠었고요. 연구라고도 할 수 없는 수준이지만 로보틱스 분야에서 연구할 수 있다면 너무 기쁠것같다고 생각했습니다.
2025.02.04
유학가세요 지방사립대여도 유학다녀와서 교수된 경우 많습니다
2025.02.04
아무 학교 교수라도 상관없으면 안좋은 학교 나와도 가능은 합니다만 기왕이면 학부 학벌 높이는게 좋습니다.
2025.02.04
스카이 말고는 다 비슷해서 거기서 편입할 정도면 1년 재수해서 스카이 가는 걸 추천
2025.02.04
편입은 길이 많이 좁은데 재수를 하심이.. 그리고 기계공학이면 수능으로 서성한 이상 못갈 머리면 애초에 교수로 성공 못해요 애초에 되기도 힘들고요 결정하기에 앞서 본인에 대한 메타인지를 한번 제대로 해보시기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5.02.05
감사합니다
2025.02.05
10년 뒤면 없어질 대학이 수두룩인데 왜 굳이 교수 …
2025.02.05
그리고 연구 열정으로 가다보면 교수가 되는거지 교수가 못 될것 같아서 학부 공부도 집중을 못하겟다는데… 뭐라 할 말이 없네요.
대댓글 1개
2025.02.05
학부에서 수석을 해도 서성한급이 아니면 포기하라는 의견들도 많이 봐서요. 제 노력이 쓸모없던 것이 될까봐 조금 두려웠습니다.
2025.02.05
지거국 조교수 입니다. 흔히들 말하는 지잡대 나왔구요 (생전 처음 들어본다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학부 학벌 컴플렉스 때문에 재수, 편입 고민하다가 연대 편입 최종 면접까지 가서 떨어지고 나서는 아예 싹 마음 접었습니다.
대신 인맥 넓히고자 서울대에서 석사하고, 미국 주립대 (제 분야 TOP 20 정도?) 유학가서 박사 받고 바로 해외 교수 임용되었다가 (미국은 아니구) 다시 한국으로 컴백해 지거국으로 옮겼습니다. 한국에 올 때 서강대도 잡 톡 까지 갔었는데, 자대 출신을 뽑더라구요. 요즘 뭐 서강대도 재정이 간당간당 한 거 보면 지거국 된 게 잘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지방대에서 군계일학으로 잘해서 학부 교수님들과 돈독한 관계 맺었고, 석사 및 유학 갈때, 그리고 지거국 임용 될 때에도 도움 되었습니다. 그리고 미국에선 논문 많이 썼구요. 연고대 출신 동기들보다 논문 실적은 좋았습니다. 어차피 편입해도 배척 받고, 재수하면 시간 걸리느니, 용 꼬리 되기 보다는 뱀 대가리 되는 전략으로 가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요즘에 다들 현직 싸움이기 때문에 박사 좋은데 가서 (TOP 10 정도?), 논문 뽑아내고 포닥이라도 좋은데 가야 한국도 비벼볼 수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2.05
정성어린 조언 감사드립니다. 서울대 랩으로 가셨다는건, 학부생때 많은 실적을 쌓으셨으리라 생각됩니다. 편입 공부와 그러한 노력을 병행하셨는지요?
2025.02.05
한국에서 교수직을 하고 싶으시면 학부 컷이 있기는 합니다 해외에서 교수가 하고 싶으시면 유학가고 나면 아무도 학부 대학에 관심이 없습니다 근데 그냥 전반적인 인생을 사시기에 아카데믹한 인생을 살꺼라면 학부가 좋은게 여러모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정말로요 재수를 권장드립니다
2025.02.05
숭실대 출신 교수님도 봣고 절대로 안된다 그런건 아닌데 나이도 어리시니 그냥 재수하시는게 나을듯
2025.02.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외에서 교수하고 싶으면 남자면 고추부터 떼시던가 게이가 되셈.
2025.02.06
교수님들 보면 학부 학벌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하시는데, 그건 본인들이 이미 좋은 학부를 나왔기 때문이죠.
2025.02.07
학부가 안좋으면 뭔가 특별한 전략이 필요하죠. 연구실적이란게 엄청 좋거나 해외에서 일찍 나가 그쪽에서 자리잡았다가 한국으로 이직하는..... 그래서 확률 상 서성한, ist 이상은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와 별개로 학부에 따라 같은 수업명이라도 배우는 양이 달라요. 이래저래 자대생 타대생 다 받는 편인데 국숭세단이 자기 스스로 연구하는 거에서는 거의 경계 같더라구요. 그래서 연구생각하면 더 좋은 환경에 본인이 있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위에 멋진 경우에 대해서도 본인 경험담을 말씀해주시는데 정답은 없는 것은 사실이나 평균적인 흐름이란게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온라인에는 아무래도 평균값 위주로 말씀 드릴 수 밖에 없으니 적당히 걸러서 들으시면 됩니다.
2025.02.03
2025.02.03
2025.02.03
대댓글 5개
2025.02.03
2025.02.03
2025.02.03
2025.02.03
2025.02.04
2025.02.03
2025.02.03
2025.02.03
2025.02.03
2025.02.03
2025.02.04
대댓글 1개
2025.02.05
2025.02.04
2025.02.04
2025.02.04
2025.02.04
대댓글 1개
2025.02.05
2025.02.05
2025.02.05
대댓글 1개
2025.02.05
2025.02.05
대댓글 1개
2025.02.05
2025.02.05
2025.02.05
2025.02.06
2025.02.06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