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58 - 대학원 순위 올리는 글 올라오는 거 보면 100년은 걸릴 듯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28 - 한국은 애초에 누가 개척해놓은 길만 갈려고 하잖아
처음 가는 길을 개무시하고 깎아내리는게 한국인데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나오겠나? 나온다면 그건 한국이 해낸게 아니라 그 개인이 해낸거지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40 - 저는 무조건 한국에 남을것 같습니다. 한국의 미래가 매우 긍정적이고 교수의 대우가 날마다 좋아지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미국 탑 대학 부럽지 않게 능력이 좋으며, 인구 감소로 엘리트들만 살아남아서 전반적으로 한국인들의 dna는 우수한 쪽으로 살아남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면에 미국은 몰락의 길을 걷고 있으며, 예전과 다르게 전세계의 우수 인력을 어트렉트 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남아서 최고 수준의 대우와 워라밸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19 - 뭔 디시에서도 안나오는 헛소리를 정신스럽게 싸질렀냐?
논문 못쓰는게 교수가 안가르쳐줘서 못쓰는거라는게 말이야 방구야?
왜 아주그냥 학원 없어서 선행학습 못해서 논문 못쓴다고 하지 그러냐
이 모든 건 스스로 하지 않는 대학원생의 남탓일 뿐이다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20 - 허수아비 때리기 고만
너가 논박한 말 중에 어떤 말도 내가 한 말은 없어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8 - 여기는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교수가 높아 보일거야.
더 나은 위치는 너무 너무 많아.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7 - 조선이 나라망할때까지 노벨상을 못받는 이유
1. 정부 지자체가 이미 입증된 연구만 밀어줌
2. 새롭거나 참신한 의견은 비웃음/배척받는 민족문화
3. 똑똑한 놈들은 모두 의치한or해외로
4. 이공계 자연계 천시문화. 창업할래도 이미 대기업이 다 털어먹을 준비가 되어있는 사회.
5. 어릴때부터 주입식교육하는 문화
수백개더있는데..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3 - 어원을 따질 거면 ‘교수’는 한자가 아니라 영어 Professor 에서 봐야 한다.
Professor 의 어원인 라틴어 professus 는 “공언하다, 선언하다” 라는 뜻이다.
즉, 교수는 단순히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과 학문적 신념을 세상 앞에 공언하는 사람이다.
그 행위에는 가르침뿐 아니라 탐구, 연구, 비판, 토론이 모두 포함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소위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도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사고하게 만든다’에 가깝다.
질문을 통해 상대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
즉 탐구와 성찰의 대화적 구조가 교육의 본질이었다.
그러니까 교수의 역할을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으로만 규정하는 건
고대 그리스의 교육 철학에도, 현대 학문 공동체의 가치에도 맞지 않는다.
학위논문 밀리는 철부지 대학원생의 핑계일 뿐이다.
결국 교수와 학술적인 토론을 할 만큼의 소양을 쌓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다.
이게 해결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는 것도, 연구자가 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8 - 진정 소크라테스 메소드(Socratic method)는 알고는 있냐?
훨씬 교수에게 부담되는 방식임.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8 - 가르쳐야 되는 사람이
본인은 교육에 대한 논문을 안읽고
원생들에게는 연구 논문을 읽으라 하는데
어떤 변명이 필요한지 모르겠음.
너무 당연해서 당연한거지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19 - 맞는 말을 해서 우르르 긁혔나봄ㅋㅋ
가르치는 스킬이 별로인 교수는 준비와 노력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걸 ’교수는 연구자인데 왜?’라며 책임전가 하는거고 ㅋㅋㅋ 연구만 할거면 연구만 하는 포지션으로 가야지. 같은 교수여도 교육 방식을 고민하고 연구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에는 간극이 존재함.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16 - 교수는 부모가 아닙니다
인권 운운하면서 여자 꼬시고 술 마시는 비용까지
교수한테 청구하지 마세요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7
유니스트 AI 대학원 컴퓨터비전 연구실 정리
2025.02.06

연구실 소속의 연구원이 1저자(또는 공동 1저자)인 8페이지 이상의
탑티어~2티어 컨퍼런스 논문 (CVPR, ICCV, ECCV, ICLR ..)만 포함했습니다.
AI 대학원 지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백승렬 교수님 (컴퓨터 비전, 2020년 부임, 연구원 수 : 12명)
컴퓨터 비전, 특히 hand pose 분야에서 대가 이신 분 입니다.
탑티어 컨퍼런스의 매 챌린지마다 1~2위를 다투며 최고의 성과를 보이십니다.
연구원들 또한 네이버/버밍험/KETI 등 좋은 곳에 인턴, 취업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주소 : https://vision.unist.ac.kr/
탑티어 컨퍼런스 논문 개수 : 총 9편
AAAI 2025 1편
AAAI 2025 1편
CVPR 2024 Highlight 1편
CVPR 2024 1편
WACV 2024 1편
WACV 2024 1편
CVPR 2023 1편
ECCV 2022 1편
ICCV 2021 1편
2. 심재영 교수님 (컴퓨터 비전, 연구원 수 : 11명)
정통 컴퓨터비전이 메인이며 사람인식, 360도 드론 등을 연구하십니다.
인공지능대학원의 학과장님이시며, 역사가 있는 연구실 입니다.
AI계에서 저널 등 좋은 분야에 논문을 많이 작성하고 학생들 또한 대기업(삼성,LG,현대 등)으로 취업,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주소 : https://vip.unist.ac.kr/
탑티어 컨퍼런스 논문 개수 : 총 5편
AAAI 2024 1편
WACV 2024 1편
ECCV 2022 1편
ICCV 2021 1편
CVPR 2020 1편
3. 주경돈 교수님 (컴퓨터비전, 로보틱스, 2021년 부임, 연구원수 : 19명)
로보틱스, 컴퓨터비전, 3D비전 에서의 대가 이십니다. 연구실 분위기 또한 매우 화목하고 많은 성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우수 교수상을 수상하셨으며 관련 분야에서 정말 뛰어난 역량과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주소 : https://unist.info/
탑티어 컨퍼런스 논문 개수 : 총 6편
-포함 되지는 않았지만, 로보틱스 저널 쪽도 많이 내셨습니다.
CVPR 2024 1편
ACCV 2024 1편
AAAI 2024 1편
ICCV 2023 1편
CVPR 2023 1편
AAAI 2023 1편
4. 유재준 교수님 (생성모델, 2022년 부임, 연구원수 : 11명)
생성 모델의 대가 이십니다. GAN, Diffusion, LLM등 최신 트렌드에 맞는 최고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컴퓨터 비전 컨퍼런스에 특히 ECCV 2024에서 3편의 논문을 어셉시키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생성모델의 평가방법, 현실세계에서의 응용도 충족합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주소 : https://sites.google.com/view/jaejunyoo/
탑티어 컨퍼런스 논문 개수 : 총 9편
ICLR 2025 1편
AAAI 2025 1편
ECCV 2024 3편
ICLR 2024 1편
WACV 2024 1편
AAAI 2023 오랄 1편
NeruIPS 2023 1편
5. 김태환 교수님 (멀티모달, 2022년 부임, 연구원수 : 20명)
멀티 모달, 딥러닝, 머신러닝, 생성모델 분야 관계 없이 연구하십니다.
연구원 수가 많으며, 홈페이지에서 보면 연구원들은 각기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것 같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주소 : https://sites.google.com/view/mvllab
탑티어 컨퍼런스 논문 개수 : 총 1편
천체 관련 저널 논문이 2편있으나, 연구원이 1저자가 아님으로 제외하였습니다.
ICCV 2023 1편
도움이 되시면 좋겠고 지원에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카이스트를 정리해서 올려보겠습니다!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명예의전당 86 45 32880-
168 30 46319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214 33 2618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2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9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20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0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31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6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3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33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6 - 솔직히 워라밸 따지는 학생들 보면
9 - 미국에 있으면서 워라벨 관련 생각
7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33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24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9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6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5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5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6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6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AAAI Phase 2
11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4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8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12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82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69 - 워라벨 논쟁도 지겨운데 지도나 잘해줬으면
20 -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20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31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46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3 - 라이덴 랭킹 기반 연구 중심 대학 카테고리화
33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6 - 솔직히 워라밸 따지는 학생들 보면
9 - 미국에 있으면서 워라벨 관련 생각
7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33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진짜 남자와 여자는 아예 다른데 왜 같다고 하는건지?
24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59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6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5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35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6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26 - 나는 워라밸에 대해 그렇게 생각함
9 - AAAI Phase 2
11 - 박사과정이 R&D제안서 과제 발표해도될까요?
14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8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12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9
2025.02.06
대댓글 1개
2025.03.04
2025.02.07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