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KP 2026 전기 입시(석사) 관련되어서 몇가지 여쭙고자 글 쓰게 되었습니다. [반도체 소재 관련]
2025.02.13
0
244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지거국(전,충 라인) 재료공학 전공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현재 3학년 마친 상태이고 GPA는 4.38/4.5이며 현재 석차는 1등이며 재료공학 주전공이며 반도체융합전공을 복수전공으로 하여 졸업 예정입니다. (회로 관련 과목도 많이 수강하여서 기초지식은 어느정도 있습니다.) 반도체 소재 쪽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대학원 석사 입시 준비 중 입니다.
현재까지 해 온 것은 파이썬을 조금 다룰 줄 알아서 데이터 관련 경진대회 장관상 1회, 장관 표창 1회 수상 반도체 관련 공정실습 2회(서울대학교 공정실습, KIDS 디스플레이스쿨) 반도체 솔버톤 참여 1회 [TCAD(Sentaurus)를 이용한 수율 개선] 반도체 테스트 기업 교육 수료(Teradyne) 직무부트캠프(코멘토) PECVD 분야, Photolithography 분야 2회 이외 반도체 관련 플라즈마, 패키징 관련 교육들
연구 관심분야는 2D materials의 응용이며 관련된 논문은 꾸준히 서치하고 읽고(전문) 있습니다.
학부연구생은 여러 컨택을 시도했지만, 해당 연구실에 석사 진학을 하지 않겠다는 의견을 먼저 피력하니 받아주는 곳이 없어서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면
현재 입시 준비 예정인 곳은 반도체 계약학과(K,Y,H), P(반도체대학원), K(반도체공학대학원), 서울대학교(재료공학부) 입니다.
1. 전기 대학원 입시의 경우 S는 10월에 시작하는 반면 K나 P(1차)는 6월과 4월에 마감이므로 3학년 2학기 까지의 성적만 보고 입시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2. P 대학원의 경우 1차와 2차 모집이 있는데, 1차의 경우 인기 랩실 TO가 선제적으로 채워지고 나머지 TO를 2차에 채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의 상황은 이번년도 4학년 1학기에 졸업 학점의 대부분을 채우고, 4학년 2학기에 캡스톤 1과목만 수강하면 되어서 하계 방학부터 2학기 끝까지 관심 있는 랩의 인턴 경험을 하고자 랩에 문의 드릴 예정입니다. 7월부터 인턴을 수행하게 된다면, 2차 지원을 할 때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하는데요. 다만 1차 지원에서 대부분을 뽑는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여쭙습니다. 어느 방향이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3. K와 P의 경우 하이닉스와 삼성 등의 산학협력 학위과정(PSEP. EPSS 등)이 존재하는데, 지원하신 분이 계신다면 혹시 합격 난이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4. 반도체 계약학과의 경우 자대생들이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 관련된 입시를 준비하셨거나 합격하신 분이 계신다면 컨택이 입학에 있어서 많이 중요한 요소인지 궁금합니다.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