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두 대학원의 AI분야는 아무리 논문 실적이 좋고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나 열정이 보여도, 설카포 summa cum laude 아니면 어렵겠죠? 다른 분야 (기계공학 등)는 저거보다 스펙이 낮아도 가는 경우를 봤지만 AI는 정말 경쟁이 빡센거 같아서요
사실 중경외시 학부 이하에서 탑스쿨 "AI"대힉원 간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자공학과 처럼 다른 분야는 중경외시도 탑스쿨 잘 가는 사람들 많던데 AI는 한명도 못봤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2.18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2025.02.18
대댓글 3개
2025.02.18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