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00년생, 인서울 건동홍라인 전/화/기 중 하나이고, 올해 25년 2월 졸업을 한 상태입니다.
제 학점은 3.8/4.5, 전공학점은 3.87/4.5 입니다.
구체적인 스펙은 -학부연구생 6개월 -관련 전공 교육 이수 (연구소, 협회 등) -opic IM3 (텝스 토익 성적 x) -인턴쉽프로그램 2개월 -캡스톤 특허출원 1개 -전공심화수업 프로젝트 3개 정도 일반적인 스펙이라고 생각됩니다.
원래는 가정형편이 어려워 바로 취업을 하고자 마음을 먹었었지만, 부모님께서 빚을 내더라도 대학원 지원을 해주시겠다고 하셨고 지금에서야 대학원을 가고자 앞만 보고서 마음을 단단히 굳건하게 먹은 상태입니다.
skp라인은 어학성적이 필수라고 알 고 있어, 25년 2학기 모집은 입시지원까지 한 달 정도의 기간으로 당장은 어려울 거 같고 ssh,ist라인으로 노력을 해보고자 하고는 있지만, 영어 공부도 겸하여 내년 26년 3월 입학까지는 최소 기한을 설정하였습니다.
대학원 컨택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일단 학부연구생 경험과 학점, 영어 성적이라고 판단하는데, 저 같은 경우는 학부연구생 경험(전공기초지식만 아는 상태) 이 많이 모자라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관하여 궁금한 점은 1. spk라인 준비를 위해 졸업 후 1년간 준비가 괜찮은 것인지(00년생입니다) 2. 자대 연구실이라도 졸업생 신분으로 인턴을 하며 영어 성적 준비하는 게 맞는지 3. 당장이라도 spk아래 라인으로 컨택을 시도하는게 맞는지, 가능한지 4. 제 스팩으로 대학원을 갈 수 있는지가 정말 궁금합니다( 1,2,3번 통합) 5. 선배님들의 개인적인 의견
김박사넷에는 정말 다양하고 유능하시고 재능한 선배님들이 많은 거 같아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긍정과 비판을 겸하여 선배님들의 견해를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2025.02.26
카이스트는 학점 너무 낮아서 불가능
나머지 ssh ist도 힘들 수 있음. 진학자만 2배가 넘어서..
대댓글 5개
2025.02.26
답변 감사합니다! 본문에 게시를 못하였지만 석박이여도 같은 생각이신가요
2025.02.26
석박이여도 k는 불가능.. 석박이면 yk ssh ist는 평타랩은 갈 수 있음. 근데 단지 석사만 하는걸 추천함.
한국에서 박사는 지금 상황이 말도 안되게 흘러가는걸 아실거임. 제일 베스트는 자대석사 따고 해외박사긴함.
2025.02.26
추가적으로 굳이 가실꺼면 서강대나 디지스트는 일단 제외하고 컨택 넣는걸 추천함. 연구과제 많이 탈락함.
2025.02.26
ㄹㅇ 디지스트는 경북대랑 연구환경 별차이없슴
2025.02.26
저도 yk ssh ist에서 서강대 디지스트는 후순위로 지원하는걸 추천. 평타랩은 충분히 갈 수 있을거같은데... 윗댓분 한국 박사는 말도 안되게 라는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민지 알 수 있을까요?
2025.02.26
저도 yk ssh ist에서 서강대 디지스트는 후순위로 지원하는걸 추천. 평타랩은 충분히 갈 수 있을거같은데... 윗댓분 한국 박사는 말도 안되게 라는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민지 알 수 있을까요?
2025.02.26
음.. 학점이 그리 중요한가요.. 연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잘 말하면 어디든 뽑아주지 않을까요?
안되면 굳이 국박 입시하는데 온힘쓰지말고 미국으로 눈을 돌려버리세요.
대댓글 2개
2025.02.26
반대로 석사도 아니고 학부생이 학점으로 말하지 뭘로 하나요?
2025.02.26
물론 중요한데 4.5에 3.8이면 공부 안한 건 아닌 무난한 성적 아닌가요? 저라면 연구경험을 체크해볼 것 같아요~
카는 서류에서 정량적으로 떨군다고 하고 서의 경우 명시적으로 서류 탈락을 시키지 않더라도 전공 구술 면접이 있는 경우, 통과가 어렵습니다. 컨텍이나 학부생 연구 인턴 등의 경력이 대학원 입시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세간에 알려진 것에 비해 매우 적습니다.
대댓글 2개
2025.02.26
저는 공감 잘 못 하겠습디다... 차석인데도 연구 경험 없고 컨택 시기 늦으니까 skp 아니어도 인기랩은 전부다 떨어지더라구요...
2025.02.27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닙니다.
2025.02.27
1. 영어는 꾸준히 해야해서 지금부터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2. 인턴을 하시면서 영어를 하시는 게 효과적일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5.02.27
선배님, 궁금한 점이 있는데 spk 25년 후기 모집은 영어성적이 준비가 안 되어있어 힘드니 spk 26년 전기 입학 노리면서, 교수님께 이번년도는 해당 교수님 랩 인턴과 영어공부 하겠다하고 컨택해보라는 말씀이신가요?
2025.02.27
1. 영어 성적은 당장 필요 없고 1년 준비는 비추입니다. 2. 인턴은 필요 없고 컨택하면서 영어 준비하면 됩니다. 3. 당장 컨택하세요. 4. 갈 수 있습니다. 5. 컨택이 가장 중요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2.27
선배님, 궁금한 점이 있는데 spk 25년 후기 모집은 영어성적이 준비가 안 되어있어 힘든데 spk 26년 전기 입학 노리면서, 교수님께 이번년도는 해당 교수님 랩 인턴과 영어공부 하겠다하고 컨택해보라는 말씀이신가요?
2025.02.27
선배님들의 의견,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2025.02.27
1. spk는 때려 죽여도 안될 겁니다. 쿨하게 놓읍시다. 2. 인턴을 할 시간이 남는다면 해보라 하겠지만, 아니라면 하지마십시오. 별개로 영어는 필수. 3. 네. 안됩니다. 학부 시절에 논문 짱짱한 거 한 두편 내셨다면 모를까. 4.SKP는 안되겠고, 그 아래 랩도 인기랩은 쉽지 않을 것이나, 들어가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2025.02.28
서울대,카이스트만 필기 시험있고, 다른 대부분은 지도교수님 컨텍이 중요합니다. 지금이라도 랩으로 메일보내고 상담부터 먼저하세요.
2025.02.28
K는 서류 때문에 ㅠㅠ 그래도 본인이 노력하고 일부 교수님께 컨택이 된다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만 컨택에서 학점이 저정도면 많이 씹힐 순 있습니다만 계속 찾아보셔야 할 것 같아요.
2025.02.26
대댓글 5개
2025.02.26
2025.02.26
2025.02.26
2025.02.26
2025.02.26
2025.02.26
2025.02.26
대댓글 2개
2025.02.26
2025.02.26
2025.02.26
2025.02.26
대댓글 2개
2025.02.26
2025.02.27
2025.02.27
대댓글 1개
2025.02.27
2025.02.27
대댓글 1개
2025.02.27
2025.02.27
2025.02.27
2025.02.28
2025.02.28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