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논문을 하나 썼는데, 저희 랩은 논문을 쓰면 교수님이 읽어보시고 교수님께서 저널에 투고하는 방식입니다. 그 과정에서 논문 저자 이름을 넣는데, 지금까지 제가 쓴 논문은 당연히 제가 제1저자로 올라갔고, 별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논문은 제가 첫번째에 이름을 올리긴했지만, 시료를 제공해준 다른 분이 두번째에 이름이 올라갔는데, 저와 그분 이름 옆에 십자가 표시가 붙었더군요. 이름 옆에 표시를 하면 순서에 상관없이 주저자로 올라가는 것으로 아는데, 교수님께 말씀드려야하는 사항일까요..?
시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긴 하지만, 예전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고 그때는 표시같은 걸 안했었거든요. 그리고 이번 연구를 위해 시료를 채취한 것도 아니고, 잔여 시료를 받은 거고, 그 뒤에 실험, 데이터 정리, 논문 쓰는 것은 모두 제가 했고 그 분은 관여하지 않아서 저는 이해가 잘 안가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5.03.26
네 말씀드려야 합니다. 공1저자 들어가신 분과 교수님 모두에게 조심스럽게 한번 물어보시고 서류상 공1저자가 그분에게 꼭 필요한 상황인지 물어보세요.
대댓글 3개
2025.03.26
말씀을 드렸더니 시료를 제공해서 넣은거다 라고 말씀하시고 말을 돌리시는데 다시 언급하기도 그렇네요.. ㅠㅠ 중요한건 다음 논문도 같은 시료로 쓸 예정인데 그때도 똑같이 할 것 같거든요.. 다음번에는 시작할때 미리 말씀드리는게 좋을까요? 그래도 달라지는 것이 있을까 의문이지만요
2025.03.26
말은 그렇게 하는데 뒤로는 복잡한 이유가 많을 수 있습니다. 시료가 얼마나 중요한 건지(남은걸 줬던 만들어 줬던) 저는 잘 모르고 어떤 상황에서 그렇게 판단한지 잘 모르니까요. 단순히 공1저자분을 밀어주는 걸수도 있고요 그냥 시료 줘서는 아닐겁니다
2025.03.26
아무래도 여러가지가 있을수는 있겠죠.. 원래도 항상 같은 실험실 사람들은 2번째, 3번째에 이름을 올려주기는 했었지만 의미가 큰건 아니라서 딱히 신경을 안썼거든요 그런데 주저자로 두번째에 이름을 올리는 거는 다른 경우인거죠? 다시 교수님께 가서 진지하게 얘기해볼 예정인데, 충분히 민감하게 생각할 문제가 맞나요?
2025.03.26
공동과 공저자는 아예 다른겁니다. 아무리 중요한 샘플을 줘도 논문참여와 1저자와 상의도 없이 공동이라뇨 말도안되는겁니다. 명확하게 얘기를 나눌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대댓글 2개
2025.03.26
이 부분이 헷갈렸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시 교수님과 진지하게 얘기해볼 예정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걸리는 점은, 그쪽에서 연구비를 일부 지원?해줬는데 혹시 이것때문에 교수님이 이름을 넣어주신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확하게 연구비를 준 것은 아니고 연구분석에 필요한 처리를 다른 업체에 맡기는데 그 과정에서 그쪽 아이디를 사용했거든요. 이러한 경우에도 제가 부당함을 요구할 수 있는 입장일까요?
2025.03.26
아래의 성급한 백석님말에 동의하오나, 단독1저자는 작성자님이 가져가시고 교신을 두명으로 하는 것이 맞다 생각합니다. 연구 실험비 약간/시료 제공(이 시료가 있어야만 논문화가가능한경우)이라 할지라도 논문이나 대이터확보에 기여가없다면 공동은 무리라고생각합니다. 대신 공동 교신을 넣는게 맞죠 다만 교수님선에서의 예의? 암묵적인 정성적 관계가 있다면 어쩔 수 없어보입니다..ㅋ 개인적으론 명확하게 교수님께 여쭤보시죠. 단독저자와 공동저자는 취업시엔 문제없지만 임용시엔 큰 손해입니다.
2025.03.26
공동1저자라는게.. 사실 'equally' contributed 라는게 말이 안되죠. 어느정도가 공1저자인지는 연구책임자가 판단하기 나름인 문제라.. 해당 시료가 없다면 진행 자체가 불가능한 연구 였다면 시료 제공만으로 1저자, 또는 교신저자가 되는 경우도 물론 있습니다. 물론 'writing 에 참여해야 1저자' 라는 기준을 주장할 수는 있겠습니다만, 보아하니 연구비 집행, 향후 시료 제공, 그쪽 연구책임자와의 관계가 모두 얽힌 문제인듯 한데, 교수님께서 얼마나 들어주실지는..글쎄요.
2025.03.26
감히 엔빵을 할려고 들어? 그거 나중에 어디가면 점수 엔빵됩니다.
2025.03.26
교수님께서 제출 하신다는 걸로 미루어보아 어느정도까지 수정해서 제출하시는지 모르겠으나 큰 수정이 있다면 그냥 두시는게 맞는 판단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작성자 분께서는 억울할 수 있겠지만 그전에 1저자 논문이 이미 있고 이번 논문도 1저자 타이틀을 빼앗긴건 아니니 지금 상황에서 concern 하는건이 좋은 판단 일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졸업이나 향후 커리어 패스를 고려하면 좀더 거시적으로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논문 하나가 다는 아니니까요. 관련해서 다음 논문도 유사한 상황이 예측 되면 논문 작성을 차일 피일 미루는 것도 방법입니다.
2025.03.27
시료에 따라 다르긴함. 측정 실험을 작성자가 전부 진행해도 실험적으로 측정은 늘상 하는 유니크함이 없는 실험이고 시료에 특별함이 있으면 실험 측면에서는 반반기여라고 봄.
다만 조금 이상한건, 실험은 반반이라 할 수 있는데 라이팅을 한쪽만 하는건 조금 불공평해 보이네.. 교수님이 완고하시면 차선책으로 draft 적기만 하고 레퍼런스 달기등 귀찮은 없무는 넘기셈.
2025.03.27
교수님이 저자 순서 정하는 분이라면 교수님한테 물어보세요.
2025.03.27
어차피 얘기 안하면 앞으로 계속 이럴텐데 교수님한테 확실히 물어보고 넘어가는게 좋을듯 시료 제공만으로 공동주저자 주는건 좀 오버같은데 교수님께 잘 말씀드려봐
2025.03.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님아 짧게 얘기하자면, 논문에 지가 멋대로 공 1저자 표시한거면 그분이 진짜 잣같은 짓 한겁니다! 양아치에요
저자는요 기본적으로 교수님 권한이에요!! 이거 그냥 넘어가시면 절대 안됩니다!!! 교수님에게 확인해보니 이런 상황이 왔다. 근데, 교수님이랑 얘기 된거로 알고 하려고 했는데 아무리봐도 시료 제공으로 공동 1저자 가는게 이해가 안가서 교수님꼐 물어보러 왔다. 해도 되는거냐? 라고 말을 해요! 그럼 사정을 물으면 다 말하고, 하란대로 해야됩니다.
발견 정말 잘하셨어요!! 만약 그 공 1저자 만든 사람이 그렇게 한거면 진짜 양아치입니다 그건!!
2025.03.26
대댓글 3개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대댓글 2개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7
2025.03.27
2025.03.27
2025.03.27
2025.03.28
대댓글 1개
2025.03.28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