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조작논문 신고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2025.03.27

14

4816

조작한 논문을 발견해서 신고를 해야하나 고민중입니다.

이미 논문은 출판된 상태입니다.
사유로는
1. 측정한 다른 결과들과 모순이 있는데 설명이 가능한 데이터만 사용
2. 부족한 논리를 보강하기 위해 참고문헌을 인용했으나 데이터의 경향성은 참고문헌과 정반대 (어떻게 리뷰어를 통과했는지 모르겠네요)

이런경우 해당저널의 편집장에게 이러한 사유로 논문 재검토를 요청한다고 하면 될까요?
저널에 재검토를 요청할때 익명의 신고가 가능한가요?
저널별로 다르겠지만 보통의 프로세스는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3.27

놀랍게도 저도 비슷한 고민 중인데요
혹시 저널만 쪽지로 말씀주실 수 있을까요? 분야는 디바이스입니다!!

대댓글 2개

2025.03.28

쪽지기능이 없다는데요..?

2025.03.28

혹시 어떻게 되셨나요???

2025.03.27

아뇨. 말씀하신 건 조작이 아니라 왜곡된/불성실한 해석의 영역이고 단지 운이 좋았던/흠이 많은 논문일 뿐인 것이지 무슨 연구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한 논문인 것은 아닙니다. 이럴 때 쓰라고 Letters to the editor, Comments on~ 형태의 Article format이 있는 겁니다. 물론 해당 저널에서 그런 포맷을 택하고 있지 않을 수 있고요. 그 경우 추후 본인 논문에 해당 논문의 해석에 대한 비판을 담아내는 것 외에 취할 수 있는 액션은 없습니다.

대댓글 2개

2025.03.28

음.. 그렇군요
그런데 논문에서 주장한 내용들이 인용한 참고문헌과 전부 배치되는데 이거를 그냥 놔두면 잘못된 지식이 더 퍼지는게 아닌가요? 심지어 10% 이내 저널인데 틀린내용이 너무 많아서 눈을 의심했습니다.

2025.03.28

피어리뷰 시스템은 원래 완벽하지 않아요. 리뷰어 운이 좋았든 에디터와의 커넥션 때문이든 이 정도 급 저널에 이런 개판인 연구가 실린다고? 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고요. 데이터 조작 등의 연구윤리 문제가 아닌 이상 이미 출판된 논문이 안고 있는 문제는 이후의 논문들에 의해 논박 평가되는 것이 학계가 돌아가는 방식이고, 모든 논문을 비판적으로 읽는 것은 독자에게 요구되는 기본 자세입니다.

2025.03.28

익명신고 가능하고 편집장에게 직접 메일 보내면 됨 근데 이 정도 사유로는 명확한 조작이라기보단 논리부족이나 데이터 편향성 정도로 평가해서 철회까지 가긴 힘들듯 이정도 사례는 의외로 흔해서 리뷰어 통과도 생각보다 많음 정말 철회 원하면 추가적인 결정적 근거 찾아서 명확히 제시해야 편집장이 움직일거임

2025.03.28

본인의 논리와 증빙이 매우 강력해야겠네요. 제시한 근거로 조작이란 단정을 하는 방식자체가 어린이 같아요.

2025.03.28

이런 고민을 많이 하지만, 실제로 논문은 완벽한 사실을 리포트하는것이 아닌 본인의 의견을 최대한 make sense하게 주장하는것입니다. 이런 수많은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하나의 사실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양자역학도 그랬고 지동설과 천동설도 그랬습니다. 본인이 그런 논문을 보면서 이건 주장이 틀렸으며, 왜 그런지 논리적인 사고만 가지고 계시면 됩니다. 나중에 논리적인 근거를 들고 본인만의 반박 논문을 작성하시면 되겠죠.

2025.03.29

정확히는, 본인이 똑같은 실험을 최대한 많은 수로 한 다음에 검증하는 방식으로 해야 comment를 저널에서 받아줄겁니다...
단순 뇌피셜로 딴데에서 이랬는데 얘네는 사기를 친다.. 이런식으로는 전혀 먹히지 않아요

충분한 검증을 본인도 하셨는지 궁금하네요.

대댓글 1개

2025.03.31

넵.. 같은 그룹이었거든요

2025.03.29

2로는 어렵고 (조작이 아니라 그냥 멍청한거죠), 1은 엄밀히 말하면 연구윤리 위반이긴한데, 입증이 상당히 어려우며, 고의적으로 감춘게 아니라고 하기도 어렵습니다. 즉, 삭제한 데이터가 내가 포함시킨 데이터로부터 나온 내 주장을 크게 약화시키거나 반박하며, 이를 "의도적으로" 감추기 위해 삭제했다 정도는 되야 확실하게 부정으로 될거 같습니다.

그냥 여러 데이터 측정한뒤 잘나온거 사용하거나 노이즈 많은건 빼거나 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까? 말씀하신 모순이란게 뭐고 어느정도인지가 중요할텐데 그 부분은 주관적인 부분이 포함되어있을 수도 있고요.

2025.03.29

실제 데이터 조작해도 내부고발아니면 철회시킬 방법은 없습니다 탑컨퍼 논문들 중에도 대놓고 성능 조작한 논문이 버젓이 돌아다니는데요

2025.03.29

그래서 기존 출판된 논문의 재현성만 따지는 논문지도 나왔습니다. 바이오 쪽에서 십여년전에 너무 재현이 안되는 게 많아서 리트랙션 와치 같은 사이트도 생기고 그랬지요. 이상한 논문들은 재현 시도해보고 안되면 그런 재현성만 다루는 논문지에 투고해서 반박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