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런 방식의 학위 논문 지도가 흔한가요?

2025.06.09

18

5894

저는 석사 학위 논문을 쓰는 중입니다.
그런데 교수가 이래도 되나 싶고 얼척이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1. 생각 여러 번 하고 신중하게 생각해서 보내라고 합니다 (=즉, 자기한테 여러 차례 글 보내지 말라는 뜻)
2. 제가 이메일로 논문 관련 학술적인 개념 질문 하자 "너가 생각했을 때 말이 되면 써라" 라고 일축
3. 중간 프로포절 발표문 다섯페이지 짜리 글만 봐주겠다고 못 박고, 오로지 그것만 봐주겠다고 하십니다. 2025년 1월 2일 부터 지금까지
중간 프로포절 발표문 다섯 페이지 짜리 글만 계속 봐주고 나머지 글 및 자료는 전부 다 안 봐주십니다. 제가 올해 논문 본문을 40페이지 가량을 썼는데 그것을 단 한 페이지도 지도해주시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쓴 40페이지 가량의 글은 헛짓거리가 되어버렸습니다. 쓰나 마나 한 것이 되어버렸습니다.
4. 방학 때 질문 받아주시냐고 제가 이메일로 여쭤봤는데 제 이메일 읽씹하셨어요


다른 교수님들도 글을 이렇게 봐주시나요?


여기서 제가 화나면 예민충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6.09

뭐.. 교수가 학생에게 가르쳐야 할 것들중 글쓰기도 분명 포함이고, 학위 논문은 글쓰기를 가르치기에 대단히 좋은 기회이기 때문에, 학위 논문 작성을 열성적으로 지도함으로써 학생의 과학적 글쓰기 실력을 크게 키워 주는 것이 바람직한 교수자 이겠습니다만.
냉정하게 원론적인 이야기만 하면, '학위논문 작성' 을 지도해줄 의무는 없다고 봅니다. 가장 대표적인 논리는 학위논문은 학생 단독저술 이기 때문에 교수가 에디팅할 의무가 없다는거죠. 반면 학술논문은 교수가 교신저자로 들어가니, 원고를 퇴고해야할 의무가 있구요.
교수님이 글쓰기를 전혀 봐주시지 않는다면 학생 입장에서 불만을 가질 수 있겠습니다만, 평소 학술지 제출 논문은 잘 고쳐주시면서 '학위논문' 만은 지도해주지 않으시는 것은 이해할만 하다고 봅니다.

대댓글 3개

2025.06.09

그리고 여담으로 아주 특수한 몇 분야를 제외한다면 이공계열에서 학위논문의 위상은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박사학위논문도 학술지에 제출한 논문들을 적당히 섞어서 쓰는 일이 아주 흔하고, 이건 한국만 그런 것도 아니에요. 심지어 석사학위논문은, 솔직히 말하면 제 주위에서는 지도를 받은 경우가 더 드물거같은데요

2025.06.11

이공계 아니에요...

2025.06.12

그렇군요.. 방학때 질문 받아주냐는 말에서 알아차렸어야 하는건데.
인문계열은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분들도 거의 다 이공계열이신거같네요

2025.06.09

아주 열정적이신 지도교수님이군요 한번이라도 봐주신다니

2025.06.09

??학위논문을 왜 봐줌

2025.06.09

40페이지라고 해봤자 다 아는 이야기 적어놨을텐데 그걸 봐서 뭔 의미가 있나요? 그냥 핵심만 보는 것이 맞지요.

2025.06.10

열정 있노ㅋㅋ 근데 나같으면 그냥 논문 써서 국내학술지나 번역해서 해외학술지에 제출하고 피드백받아서 수정하는게 더 실력증진에 좋을 듯 특히 테크니컬 미스같은 부분은 본인이 정말 틀렸으면 리젝 사유로 적혀있으니 보고 수정하면 점점 실력좋아짐 꿀팁 대방출

2025.06.10

학위 논문을 왜..지도해주죠..?

2025.06.10

석사과정들 이런글 올리는거 보면 참 ㅋㅋㅋ 어디까지 떠먹야줘야하나 생각 드네 ㅋㅋㅋ 얼마나 퀄이 처참하면 5장만 보고 치우겟음?

2025.06.10

흠.. 나도 석사학위 논문은 혼자썼는데.. 석사논문이 리젝될리도 거의 없구.. 어차피 해놓은거 정리하면서 쓰는거잖아..

대댓글 2개

2025.06.11

해놓은걸 왜 정리를 해면서 써요?

2025.06.11

이과세요?

2025.06.10

학위논문은 스스로쓰고 지도교수가 안봐주는겁니다. 졸업을 위한 마지막 관문인데 교수가 봐주다뇨?
수업때는 선생님 가르침을 받지만 시험칠때 선생님이 알려주나요? 같은 맥락입니다.
그래도 학생이 멋모르고 봐달라고 들이대니 내치긴 뭐하고 해서 저 정도로 봐주시는거겠죠;

그리고 학위 논문이 아니라 학술지 논문은 지도교수가 확실하게 지도하는게 맞습니다. 교신저자로써 논문에 책임이 있으니까요.
그렇다해도,
1번내용=당연합니다. 교수는 님 논문만 볼 시간도 없고 당연히 해주는 사람 아닙니다. 스승으로써 지도를 해주는거지, 유치원 선생님처럼 일일히 해주는 사람 아닙니다. 최대한 혼자 고민하고 수십번 검토 수정하고 스스로 완벽하다고 생각할 때 보내는게 올바른 초안입니다.
2번내용=마찬가지입니다. 평소에 얼마나 생각나는대로 물어보고 들이댔으면.. 생각하고 신중하고 스스로 해결하고 도저히 안될 때 질문하세요. 배우는 사람의 기본 자세입니다.
3, 4번내용=1, 2번이 반복되면 나라도 읽씹합니다.

2025.06.10

전공이 뭔진 모르겠지만
학위논문을 봐주시는게 대단하신건데... 저널 논문도 아니고 ㅇㅇ 학위논문은 대학원 학위동안 내가 했던거 완료하는 결과보고서 같은건데...

2025.06.10

석사 학위 논문은 사수도 안봐줌…

2025.06.10

파트대학원생임?? 파트도 안저럴거 같은데 ㅋㅋㅋ 학위논문 봐달라는건 도대체 ㅋㅋㅋㅋㅋㅋ 그냥 논문 없이 졸업시켜달라고 부탁하는게 나을듯 사실상 둘이 똑같은데

2025.06.11

다섯페이지 잘 하시면 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